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다문화 학생의 학력부진 실태와 영향 요인 탐색

        오성배,김성식 한국교육사회학회 2016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6 No.-

        이 연구는 다문화 학생의 학력부진 실태 및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문화 학생들 의 학업성취, 학습 특성, 학습 환경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을 종속변인 으로, 관련 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과목에서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 간에 학업성취 수준의 차이가 있었고, 다른 변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학업성취 수준의 차이 가 의미 있게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입된 변인들 중에서 교과흥미, 학생 및 부모의 기대학력, 수업 태도, 사교육 시간 등의 변인들이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나타났다.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두 집단 간에 다소 차이가 있음 을 보여주었다. 다문화 학생 집단은 비다문화 학생과는 달리 지역 규모(중소도시), 친구 관계, 사교육 시간 등의 변인들이 학업성취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다문화 학생 들의 낮은 학업성취가 불리한 가정환경 외에도 학생들의 특성 또는 학습 경험과 상당 부분 관련되어 있으 며, 지역에 따른 심화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제기한다. 또한 학력부진 다문화 학생 지원을 위해서는 친구 관계의 향상, 학교 밖에서의 학습경험(멘토링, 방과후 프로그램 등)의 보완적 제공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지역간 학업성취도 격차 원인 분석:지역 효과와 학생이동의 영향 탐색

        오성배 한국교육개발원 2004 한국교육 Vol.31 No.2

        To analyze factors of different degrees of school achievement in areas of nonーequalized high schools, this study sampled the school achievements of 8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education and occupations in and near Mokーpo areas. The degree of schooling achievement is testifi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interーareas. As the factor of family background is controlled, the degree of school achievement showed to be modestly significant in middle school in interーareas, whil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effected in interーareas.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into two reasons. One is due to the difference of effectiveness of high school in interーareas. The other reason is because of the excell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migration to the high level high schools.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discrepancy of school achievement in interーareas was testified to be effected by two factors. One is the different effectiveness of schools or educational environment, the other reason is caused by the migration to enter higher grade school in city. 지역간 학업성취도 격차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목포시와 인근 군 지역 중고등학교 학생 800 여 명의 학업성취도, 부모의 학력, 직업 자료를 수집하였다. 중고등학교 모두 목포시와 인근 군 지역간의 학업성취도 격차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가정배경을 통제 한 이후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의 학업성취도는 지역간 격차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고등학교의 학업성취도는 지역의 영향력을 매우 크게 받고 있었다. 지역간 격차가 고등학교 단계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지역간 교육 환경의 차이이거나 군 지역의 학업성취도가 우수한 중학생이 고등학교를 시 지역으로 진학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분석 결과, 지역간 학업성취도의 격차에는 두 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지역간 교육 환경의 차이와 군 지역의 우수한 학생의 진학이동이 지역간 학업성취도의 격차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 KCI등재

        학교풍토가 중학생의 지역 간 학습역량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남지역과 비강남지역을 중심으로

        오성배,장은지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8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같은 지역 내에서 형성된 ‘사회·경제적 배경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강남, 비강남)’ 중학생의 학습역량성과에 학교풍토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의「서울교육종단연구」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풍토는 강남지역 중학생의 학습역량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강남지역 중학생의 학습역량성과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강남지역 중학생의 학습역량성과에는 모의 학력, 사교육비, 수업태도 변인이 영향을 미친 반면에, 비강남지역 중학생의 경우에는 학교풍토가 학습역량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풍토의 영향력은 부의 학력, 모의 학력, 사교육비, 수업태도, 자기주도학습시간 변인을 함께 투입하였음에도 여전히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교풍토가 사회·경제적으로 불리한 지역조건에 있는 학생들의 학습역량성과를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써 학교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chool climate on the regional gap by socioeconomic status (SES) (between Gangnam and non-Gangnam) in learning competences and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the sixth year by the Seoul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were used to perform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chool climate insignificantly affected learning competences and general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angnam but significantly affected learning competences and the performance of those in non-Gangnam. Specifically, the variables affecting learning competences and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angnam included simulated education leve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nd class attitude, while that of middle school children in the non-Gangnam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learning competencies. The influence of the school climate was still maintained irrespective of factors such as a father’s education, a mother’s educati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class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tim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howed the potential for school education by acting as an alternative to improving the level of learning competences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unfavorable regional condition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지역 간 학업성취 격차 분석

        오성배,박희훈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Currently, multicultural students by region is different in Korea. And the projects and the supporting systems that support them are also different in each reg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nfirms whether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students will differ depending on the region of the school.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students' achievement in inter-regional studies, we surveyed the schools where many multicultural students were enrolled. The data of 1,119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students attending secondary school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multicultural students had different inter-school learning achievements in all subjects such as Korean, math, and English depending on the school area. These results are different from achievement gap of non - multicultural students. And, we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chievement and school area.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were put together and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g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multicultura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lticultural students may experience low academic achievement in towns and villages such as marginalized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ocal environment in supporting the learning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lan for supporting the learning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the towns and villages. 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 재학 현황을 살펴보면, 지역규모에 따라 다문화가정 학생 수는 균등한 편인데 비해 전체학생 대비 다문화가정 학생 비율은 읍면지역이높은 비대칭적인 상황을 보인다. 그리고 이들을 지원하는 사업과 추진체계도 지역별로 상이한 상황이다. 이러한맥락에서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이 학교소재 지역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였다.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지역간 학업성취 격차를 분석하기 위해 전국의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일반학교에 재학하고있는 다문화가정 중학생과 비다문화가정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다문화가정 중학생, 비다문화가정 중학생 1,11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문화가정 중학생과 비다문화가정 중학생의 지역간교과별 성취 수준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수학교과를 제외하고는 지역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던 비다문화가정 중학생에비해 다문화가정 중학생은 학교소재 지역에 따라서 국어, 수학, 영어 교과에 학업성취 수준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교과별 학업성취에 학교소재 지역이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진행하였다. 분석과정에서 학교소재 지역은 읍면지역을 기준으로 대도시 소재 학교와 중소도시 소재 학교로 설정해투입하였고,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된 변인들도 함께 투입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소재지역은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중학생이 대도시, 중소도시가 아닌 읍면지역 소재 학교에 재학할 경우 낮은 학업성취를 경험할 가능성을 함의하고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학습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지역별 교육 여건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읍면지역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학습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