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인류학과의 조우(遭遇)를 통해 본 북한연구의 성찰과 과제

        오덕열 ( Oh Duk-lyoul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9 교육인류학연구 Vol.22 No.2

        남북 분단의 역사와 함께 북한연구는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전문성이 결여된 낮은 수준의 연구, 빈약한 방법론, 다학문적 접근의 필요성 등의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러 인접 학문을 토대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북한연구는 교육인류학을 통해 그동안의 성찰과 새로운 과제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갈 수 있다. 교육인류학은 기존 문화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더 나은 삶을 추구하려는 성찰적 대화에 교육적 의미를 부여하며 교육과 문화의 관계를 연구한다. 이를 기반으로 북한연구를 검토할 때, 지향해야 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성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온 북한연구는 간주관적 관점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연구로서의 북한연구를 수행할 시, 연구자는 괄호치기(bracketing)를 하여 북한문화를 살펴보고 해석해야 한다. 셋째, 북한연구에서도 자기 성찰적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북한이탈주민이 참여하는 연구에서 교육기술지 활용이 요청된다. North Korean studies have continued with the history of inter-Korean division. But it has been criticized for its low level of expertise, poor methodology, and the need for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However, we are looking for a new direction based on several adjacent sciences. With this background, we are looking at new possibilities for reflections and new tasks through Anthropology of Education for North Korean studies. Anthropology of Education gives educational meaning to reflexive dialogue which critically examines existing culture and pursues better life. And it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culture. When examining North Korean studies based on this, future tasks are as follows: First, the North Korean studies, which have been mainly discussed with objectivity, needs a subjective perspective. Second, when carrying out North Korean studies as cultural studies, researchers must interpret North Korean culture through bracketing. Third, self-reflection studies are needed in North Korea studies. Fourth, educography is necessary for research involving North Korean defectors.

      • KCI등재

        평화교육으로의 재구성을 위한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오덕열(Oh, Duk Lyoul),강순원(Kang, Soon-Won)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1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6 No.1

        남북한의 통일과 한반도의 평화 정착은 매우 복잡한 역학관계를 가진다. 특히 해방 이후의 역사적 과정을 회고해 볼 때, ‘평화’와 ‘통일’은 한반도 분단 극복이라는 역사적 과제에 있어 지속적으로 함께 논의되어야 할 교육범주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평화를 이룰 수 있는 교육적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에서의 평화교육 발전 과정과 통일교육의 흐름을 살펴보고, 이질적으로 전개되어 왔던 서로의 접목 지점을 검토해 보면서, 관련 문서를 비판적으로 해독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평화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은 첫째, 한반도 평화의 문화 조성이 최우선적으로 설정되어, 평화시민성(peace-oriented citizenship) 함양이 교육 목표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도덕ㆍ윤리 교육적 성격을 넘어, 한반도 분단 상황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통해 글로벌 정의라는 적극적 평화 구현을 도모하는 목적을 지녀야 한다. 셋째, 관용과 다양성의 유네스코 평화교육 원리를 기반으로 평화교육 철학이 통일교육에 담보되어야 한다. The inter-Korean unification and the peace-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involved the complicated dynamic relationship. In retrospect of the post-liberation historical process, ‘peace’ and ‘unification’ are also educational categories that should be continuously discussed together in the historical task of overcoming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critically codifying and analyzing the related documents,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peace education in Korea and the history of unification education as part of educational efforts for the purpose of peace-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Thus, we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firstly, unification education as a peace education should be set as a top priority to create a culture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ultivation of peace-oriented citizenship should be converted to educational goals. Secondly, beyond moral or ethical education, it should aim to promote the positive peace on the ground of global justice through critical thinking in the context for overcoming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Thirdly, the philosophy of peace education based on the UNESCO principles of “tolerance” and “diversity” should be secured in 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부 지침서와 시ㆍ도교육청 담당자들을 통해 본 평화ㆍ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탐색

        오덕열 ( Oh Duk-lyoul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2

        현재 학교 통일교육은 평화ㆍ통일교육으로 실천되고 있다. 그러나 평화ㆍ통일교육의 주관 부처인 통일부와 교육부의 실행 계획 속에 시ㆍ도교육청의 담당자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통일부와 교육부의 관련 문서들을 검토하고 주요 실행 단위인 시ㆍ도교육청 담당자들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하여 향후 평화ㆍ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결과, 평화교육에 대한 명료한 개념의 부재로 인해 담당자들의 이해와 지역적 맥락화에 따라 평화ㆍ통일교육은 다양한 방향으로 펼쳐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한 하향식 정책 기획으로 지역 차원의 평화ㆍ통일교육이 실천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향후 평화ㆍ통일교육은 학교 내 ‘평화의 문화’ 조성이라는 가치 아래 ‘일상에서의 평화’, ‘다른 영역과의 연결성’을 통해 외연을 확장시키고 지역 교육과정으로서의 특색이 드러나는 교육으로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Currently,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s is practiced a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However, the officials of the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in the implementation plans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offices in charge of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Therefore, related documents from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reviewed and FGI was conducted with officials from the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hich are major implementation units, to explore future directions and tasks for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were being conducted in various directions depending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eople in charge and regional contextualization due to the lack of a clear concept of peace education. Nevertheless, it was also difficult to implement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at the local level due to top-down policy planning. In the future,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hrough "peace in everyday life" and "connectivity to other educations" under the value of creating a "culture of peace" in schools and a shift toward education that reveals characteristics as a local curriculum.

      • KCI등재

        문재인 정부 통일교육에 관한 평화교육적 고찰 : 2019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을 중심으로

        오덕열(Oh, Duk Lyoul)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1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남북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통일교육에의 변화 가능성도 감지됐다. 2019년은 평화ㆍ통일교육이 실천되는 실질적인 시기로서 통일부의 대표적 프로그램인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도 변화의 시작을 알렸다. 이 활동은 평화의 가치를 통일교육 속에 담아내려는 노력을 통해 새로운 실천을 지향하고 있다. 통일교육 현장에서 오랜 기간 활동하고 연구자는 질적연구의 한 분야인 사례연구로서 2019 개정 강의안을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이에 따른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의 몇 가지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 활동 속에 등장하는 경쟁의 원리를 평화감수성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의 원리로 전환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의견이 펼쳐지는 통일교육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평화를 과정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교육적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넷째, 우연히 획득되는 ‘평화’의 모습이 아닌, 관심과 노력에 토대를 두는 ‘평화’의 이미지가 요청된다.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expectations for improved inter-Korean relations have increased, and as a result, changes in unification education have been recognized.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was actually implemented in 2019. Therefore, Visit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 a representative program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lso began to change. It is trying to put the value of peace in unification education. The researcher, a lecturer in unification education, reviewed the 2019 revised l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peace education as a case study, a field of qualitative inquiry. Following are some of the challenges of ‘Visit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First,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in game activities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principle of cooperation based on peace sensibility. Second, a place for unification education with diverse opinions should be prepared. Third, education is needed to view peace from the perspective of process . Fourth, the image of peace, which is based on attention and effort, is requested, rather than accidentally acquired peace.

      • KCI등재

        교육 실천의 과정으로서 자원활동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오덕열 ( Oh Duk-lyoul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0 교육인류학연구 Vol.23 No.1

        나는 20여 년의 기간 동안 자원활동을 해왔다. 학부 수업을 통해 처음 접한 자원활동은 여러 시행착오를 불러왔고 삶에 있어 반성의 소재가 되었다. 이후 나는 자원활동에서 만나는 학생들에 대한 사고가 전환되며 실천의 모습 또한 변화되었다. 그러므로 교육이 더 나은 삶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자원활동 경험은 교육 실천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활동 속에서 발견한 변화와 깨달음은 무엇이고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접근하고자 했다. 자원활동을 통한 교육적 성찰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활동 대상자에 대한 수혜적 관점에서 탈피했다. 둘째, 상대적 관점의 몰입으로서 이타성이 확대되었다. 셋째, 경계인으로서의 자원활 동가의 위치를 재고할 수 있었다. 넷째, 연구자ㆍ자원활동가의 성찰 과정으로서 자원활동 경험을 인식하게 되었다. 자원활동 경험은 시간의 축적과 함께 또 다른 삶의 과제들을 지속적으로 던져준다. 그렇기에 자원활동은 교육 실천의 또 다른 모습이기도 하다. I have been volunteering for over twenty years. I have been thinking a lot because of the 'volunteer' courses in undergraduate classes. And that experience has become the subject of reflection in life. Since then, I have changed my mind about the students I meet in volunteering, and I have changed an educational praxis. The experience of volunteering can be interpreted as an educational praxis in that, education pursues a better life. Therefore, I researched the changes and enlightenment found in volunteering activities and what they mean through autoethnography. To do this, I approached my volunteering experience by autoethnograph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out of view of seeing children as the object of help. Second, a relativistic view gave rise to altruism. Third, rethinking the position of volunteers as border people. Fourth, the experience of volunteering was recognized as the researcher & volunteer's reflection process. Volunteering continues to assign life challenges. Volunteering is thus another aspect of educational praxis.

      • KCI등재

        교육 실천을 통해 본 고등학교 교육학 수업의 방향과 과제 연구 : 두 연구자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정지수(Jung Jisu),오덕열(Oh Duk Lyo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고등학교 교육학 수업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교육학과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대학 수업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고등학교 교육학 교과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 논의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행연구 및 고등학교 교육학 관련 자료를 찾아보기 힘들었던 두 연구자는 현실적 고민과 함께 더 좋은 수업을 실천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러한 계획 속에서 두 연구자는 협동하여 교육학 수업을 실행연구로 접근하였다. 달빛고등학교의 정규 수업과 햇빛고등학교의 주문형 강좌는 여러 다른 상황들을 배경으로 수업이 전개되었고, 두 연구자는 서로의 경험을 주고받으며 더 나은 수업을 만들어 가고자 노력했다. 또한 2년차가 되어 운영한 수업은 연구자들에게 배움의 과정도 형성시켜 주었다. 두 학교에서 이루어진 교육학 수업을 통해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육학은 수업이 주는 무게감에서 탈피하여, 현장 지식을 담아내는 실천적 접근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리고 모든 교과 교사가 담당할 수 있다는 특징을 십분 활용하여 융합적 사고를 담아내는 교과목이라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또한 교수ㆍ학습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태들을 통해 교육 실천가의 성찰 과정으로 교육학 수업을 인식할 수 있다. 향후 교육학은 수업 실천에 있어 더욱 더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열린 교과가 되어야 한다.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related to high school education classes. Most education studies are university classroom studies. And high school education curriculum research is focused on theoretical discussion. Therefore, the two researchers, who had difficulty finding materials related to prior studies and high school education, felt the need for research to praxis better lessons with realistic concerns. Under this plan, the two researchers approached education classes as a cooperative action research. Moonlight High School s regular classes and Sunshine High School s on-demand classes were operated with different backgrounds, and the two researchers tried to make better classes by exchanging experiences with each other. In addition, by the second year, the teaching capacity of researchers has gr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pedagogy praxis conducted at the two school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education classes needs to shift from theoretical knowledge to a practical approach that captures field. And since all teachers can take charge, it can be thought of as a subject that can converge. In addition, education classes can be recognized as a reflection process of an teacher through various events occurring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the future, education should be an open subject that can explore more and more possibilities in class praxis.

      • KCI등재

        권리기반정책 및 실천에 근거한 학생인권 정책 방향 모색 :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인권종합계획 실천 경험을 중심으로

        순정(Kwon, Soonjung),오덕열(Oh, Duk Lyoul)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인권종합계획(2018~2020)의 실행 과정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향후 학생인권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책적 특성에 따라 학생인권종합계획을 권리기반정책으로 규정하였고, 본 연구의 분석틀로 ‘학교에서의 인권방법(HRMSE)’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수행하였고, 학생인권종합계획 수립과정에 참여한 연구진, TF팀, 정책 실행가(교육청 담당자, 교사, 학교 관리자 등)들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권한강화로써 일상에서의 권리들(보건, 안전, 건강 등)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성, 참여권으로서 자치 실현을 위한 인식 변화, 혐오와 차별을 넘어서기 위한 정책의 체계화 등 권리들에 대한 사고의 변화가 요청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인권 대상에 대한 인식의 확장이 요청되며, 교권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정립될 필요가 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 문화 속에서 인권이 자리 잡을 수 있는 기반으로 학생인권 정책이 구상되고 실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students’human rights policy by analyzing the practices of the master plan of students’ human rights(2018~2020) of Seoul Office of Education. To begin with, the research team defined the master plan of students’human rights as right-based policy. Therefore, considering the quality of the master plan, we used Human Rights Method in School Education(HRMSE) as an analytical frame.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used.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research team and TF team established master plan and the policy-practitioners such as the person in charge i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eachers and principals in school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re needs a change of perception on rights – emphasizing the rights in our daily lives (health, safety, etc), re-consideration of autonomy in school system as human rights, and the systemization of policy in order to overcome the discrimination and hatred. Second, the understandings of students human rights should be changed by expanding the concept of students. Last, the misrecognition of teachers’authority should be re-organized. We expect that human rights can land safely in school culture by making and practicing the human rights policy in new direction suggested in thi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