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들의 경험을 통해 본 유치원에서 1학년의로의 전이

        염지숙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7

        본 논문은 유아들의 학습 경험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1학년으로 전이하는 동안에 그들의 경험을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는 15개월에 걸쳐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실에서 이루어졌으며 세명의 유아 즉, 조쉬아(Joshua), 벨(Belle), 줄리엔(Julien)과 그들의 교사, 부모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유아들의 경험을 이야기 식으로 적음으로써 이 시기 동안 그들이 구성해 온 경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있도록 내러티브적 탐구를 연구 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참여 관찰로부터의 현장 노트, 비 형식적인 대화, 대화식 일기(Journal entires), 자유해답식 면담(open-ended interview), 다양한 종류의 형식적·비형식적 문서, 사진, 유아들의 작품을 기초로 “현장 텍스트”(field texts)를 구성하였다. 유아들의 전이 경험을 연속적으로 만든 것은 초등학교 1학년 교실의 방문, 친구 사귀기, 가족의 지지, 교사의 도움 등이었고 길어진 학교 시간, 물리적 환경의 변화, 형식적 교수의 시작, 교사의 기대 등은 유아들의 순조로운 전이에 방해가 되었다. 세 유아들의 이야기는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 이동하는 동안 그들의 경험과 이러한 경험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를 말해준다. 구성주의 입장에서 조수아, 벨, 줄리엔의 전이는 그들이 자기들의 경험을 주위 사람들, 환경과 함께하고 협상하는 동안 점차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과정으로서 보여진다. 이 연구는 교육자들이 유아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그들에게 이야기를 말할 수 있는 편안한 장소를 제공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교사, 행정가, 부모들이 이러한 공간을 마련해주려고 협력해서 일할 때 유아들은 그들의 전이 경험을 통하여 성장 할 수 있다.

      • KCI등재

        영아반 교사의 놀이 중심 교육과정 만들어가기

        염지숙,오채선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he teachers’ play centered curriculum making for infants and the ways of change of their perspectives in that process. Action research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our teachers for a class of 1-year-olds and a class of 2-year-ol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from teachers, classroom observations, and researcher’s journal from June 2015 to September 2015. The processes of the curriculum making were the preparation stage; the first stage: having discerning eyes about infants’ and toddlers’ play and providing a non-standardization toys; the second stage: changing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infants and suggesting expansion of infants’ play; the third stage: implementing play oriented curriculum for infant and making play topics; and the infant teacher’s dilemmas and the process of solving them. The teacher’s changes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making for infants were interpreted as breaking the frames: seeing the infant play action; catching the focus: knowing the infant’s play needs; and enjoying: experiencing play together.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교육과정 실행 개선을 위한 교사협의회를 통해, 영아반 교사가 영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 과정은 어떠하며,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변화는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만1세와 만2세 영아반 교사 4명이다. 실행연구로 수행된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5년 6월부터 2016년 2월까지 교사협의회에서의 대화, 개별면담, 연구자 저널, 문서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영아반 교사들이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 과정은 첫째, 정형화되지 않은 놀잇감 제공하기, 둘째, 영아교사의 놀이 상호작용 바꾸기, 셋째, 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행하기로 나타났다. 이에 더하여, 영아반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딜레마와 딜레마 해결과정을 기술하였다. 영아반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교사들은 영아놀이에 대해 가지고 있던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서, 영아의 놀이 요구를 알게 되고, 영아와 함께 놀이하는 즐거움을 경험하게 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극소규모 학급에서 삶으로서의 교육과정 만들어가기: 교사와 어린이의 경험을 중심으로

        염지숙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극소규모 학급에서 교사와 어린이들이 어떻게 삶으로서의 교육과정을 만들어 가는가를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여 살펴봄으로써 극소규모 학급 교사와 어린이의 삶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연구 참여자는 극소규모 학급 교사와 4명의 어린이들이다. 자료 수집은 5개월 동안 3번의 교실관찰과 8번의 교사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차이를 존중하는 교육과정 만들어가기, 놀이와 실생활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 만들어가기, 관계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 만들어가기로 나타났다. 그 과정에서 교사는 교실에서 권위를 공유하고, 어린이들과 그 가족의 삶을 이해하고 가족과 협력하며, 학교의 지배적인 이야기에 맞서며 교수실천을 수행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극소규모 학급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극소규모 학급은 아이들이 능동적인 학습자로 자신의 속도에 맞추어 배울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며, 교사는 교육과정 개척자로서 역할을 할 필요가 있고, 복식학급 교사 지원을 위한 정책 수립과 이행이 반드시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es of teachers and children by examining how teachers and children make the curriculum of lives in an extremely small-sized class, using narrative inquiry.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a teacher and four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s and teacher interviews conducted for 5 month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propositions to create the following: curriculum that respects differences, curriculum based on play and real life, and curriculum based on relationships. In this process, teachers shared their authority in the classroom, understood the lives of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nd collaborated with them. The teachers engaged in teaching practices by confronting the dominant story of the schoo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a extremely small-sized class were discussed.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extremely small-sized class can be a space where children can learn at their own pace as active learners. Furthermore, teachers need to play the role of curriculum maker, and policy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to support multi-aged class teachers are essentia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와의 관계형성에서 초임유아교사가 겪는 경험에 관한 연구

        염지숙,홍춘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초임유아교사가 부모와 인간관계를 맺는 데 어떤 어려움을 겪으며, 그러한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해 가는가를 알아보고, 부모와의 관계 형성이 교사에게 주는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초임교사의 경험을 생생하게 드러내주기 위해, 두 명의 초임교사들과의 대화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임교사들은 예기지 못했던 돌발 상황의 발생, 교사-부모 상호간의 이해부족, 상황판단과 대처에 대한 교사자신의 경험부족 등으로 부모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초임교사들은 아이 마음을 헤아리기, 부모 입장되어보기, 열린 마음으로 대화하기 등을 통해 부모와의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해 갔다. 부모와 맺는 관계는 초임교사들에게 아이들을 교사 삶의 중심에 두는 것, 부모를 상호 협력적 동반자로 인식하는 것, 자기반성을 통해 유아교육의 전문가로 거듭나는 것을 의미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임유아교사들이 부모와 관계를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유아교사교육자들이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