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택 실내의 1년간 온,습도 변화

        염지선,이기영 대한보건협회 2011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Vol.2011 No.-

        [연구배경] 실내의 온·습도는 거주자의 쾌적함을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이며, 온·습도의 조절은 에너지소비와 직결되어 있어 지구온난화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한국에서 외기의 온도에 따른 가정 실내에서의 온·습도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연구목적] 계절과 주택형태에 따른 가정의 온·습도 수준을 파악, 비교하고 ASHRAE 55_2004의 Adaptive model을 이용하여 Thermal comfort temperature 범위와 실제 주택실내의 온도수준을 비교한다. [연구방법] 2010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1년 동안 아파트 7가구, 주택 7가구를 대상으로 거실에서 온·습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Data Logger (Onset)를 이용하여 30분단위로 측정하였으며, 외기의 온·습도는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실내의 월 평균온도는 외부온도보다 일 년 내내 높았고 실내 월 평균습도는 외부 습도보다 항상 낮았다. 14가구의 일 평균온도는 24.8℃, 최저온도는 12.9℃, 최고온도는 35.5℃로 나타났으며, 평균 상대습도는 48.9 %, 최저 상대습도는 15%, 최고 상대습도는 83%이다. 계절에 따라서는 1월의 외기온도가 -7.2℃로 가장 낮았으며 이때 실내온도는 21.3℃였으며, 외기온도는 8월에 26.5℃로 가장 높았으며, 실내온도는 29.6 ℃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하루 동안 실내온도의 변동폭은 약 1℃, 상대습도는 5% 정도로 실내에서의 온·습도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상 가구 중 자연환기로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아파트 2가구, 주택 3가구를 대상으로 Adaptive model를 적용시킨 결과 실내 온도의 분포는 아파트는 2가구 모두, 주택의 경우 1가구만이 거주자의 80%가 만족감을 느끼는 Thermal comfort temperature 범위를 만족하였으며, 주택의 나머지 2가구는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Institutional Analysis of Intergovernmental Policy: A Case of Medicaid Program

        염지선,류나영 한국공공관리학회 2019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3 No.3

        As the largest jointly funded policy, Medicaid has been a locus of tension between federal and state government since it was created. This paper tries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Medicaid expenditures by focusing on the federal and state relationship, and tries to show how this relationship and state institutional factors affect Medicaid policy implementation. This paper considers intergovernmental relations as an important institutional arrangement to maximize policy benefits based on the rational choice approach and federalism. This paper found that factors separately influence total Medicaid expenditures and the State share amount, for Medicaid reflects state spending behavior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federal government. Also this paper found that federal and state relationship influences increase or decrease of Medicaid benefits per recipient.

      • KCI등재

        지속가능한 스마트 시티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혁신 방안에 관한 연구

        염지선,김준형,이사빈,김민영 한국거버넌스학회 2023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30 No.2

        Recently, scholars of smart cities (urban models to solve urban problems and improve citizens' quality of life using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aim at an open smart city based on demander centricity for sustainable operation of smart cities, an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opinions of the private sector in design and operation of smart cities. Under this awareness of the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governance innovation measures for sustainable operation of smart cities from a demander-centric perspective.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collaborative governance as an influential factor of smart city performance and uses types and requirement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as the theoretical resources to analyz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mart city governance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smart city governance through Delphi method on experts and presents the governance innovation measures for sustainable operation of smart c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se governance innovation measures are presented as the public-centric, private-centric, and public-private collaborative governance innovation measures from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erspective. 최근 스마트 시티(첨단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시 모델)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서는 수요자 중심성을 바탕으로 한 개방적인 스마트 시티를 지향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민간부문의 의견을 스마트 시티의 설계와 운영에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요자 중심적인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스마트 시티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혁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스마트 시티 성과의 영향요인으로서 협력적 거버넌스에 주목하면서, 협력적 거버넌스의 유형과 필요조건을 스마트 시티 거버넌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이론적인 자원으로 활용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스마트 시티 거버넌스의 현황, 문제점, 개선 방안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스마트 시티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혁신 방안을 제시한다. 분석 결과, 지속가능한 스마트 시티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혁신 방안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점에서 공공부문 중심 협력적 거버넌스 혁신 방안, 민간부문 중심 협력적 거버넌스 혁신 방안, 공공부문-민간부문 협력적 거버넌스 혁신 방안으로 제시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