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만의 國語와 閩南語 코드전환 의도 연구 ―대만 시사토론 프로그램 중 코드전환 사례를 위주로

        염재웅 한국중국문화학회 2023 中國學論叢 Vol.- No.77

        In this study, through the data of code-switching between Mandarin and South Min diarect in a current affairs discussion program in Taiwan, we examined what intention the speaker uses code-switching in a situation where political positions are sharply divided. Among the 127 code-switching examples, excluding 7 cases with no particular code-switching intention, Therer are 120 code-switching examples that are divided three type, the first type is “speaker’s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which the speaker tries to reinforce and persuade his argument, the second type is “listener’s intention-centered code- switching” which is carried out by the speaker for the purpose of stimulating or placating the listener, and the third type is the combined type of “speaker’s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and “listener’s intention-centered code- switching”. “listener’s intention-centered code- switching” is used 86 times (72%), “speaker’s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is used 28 times (23%), and “speaker’s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and “listener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type were used 6 times (5%). 본 연구에서는 대만의 시사토론 프로그램에서 발생되는 국어와 민남어의 코드전환 자료 통해 정치적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는 상황에서 화자는 어떤 의도를 가지고 코드전환을 사용하는지 고찰해보았다. 127개의 코드전환 용례 가운데 특별한 코드전환의 의도가 없는 7개의 용례를 제외한 120개의 코드전환 용례를 화자가 자신의 주장을 강화하고 설득하려는 “화자의 의도가 중심이 되는 코드전환(화자 중심 의도)”과 화자가 청자를 자극하거나 회유할 목적으로 진행되는 “청자의 의도가 중심이 되는 코드전환(청자 중심 의도)”으로 분류하였는데, 상황에 따라서 “화자 중심 의도”와 “청자 중심 의도”가 결합된 용례도 발견할 수 있었다. 코드전환의 전체적인 사용 비율로 보면 “청자 중심 의도”는 86회(72%)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화자 중심 의도”는 28회(23%) 사용되었으며, “화자 중심 의도”와 “청자 중심 의도”이 복합적으로 사용된 경우는 6회(5%)로 가장 비중이 낮았다. 일반적으로 토론 형식의 발화라면 자신의 주장을 강조하는 것을 우선으로 삼을 것으로 예측할 것이다. 그러나 본고의 연구 대상은 친국민당 성향의 시사토론 프로그램에서의 발화 내용이다. 따라서 국어 코드를 주로 사용하는 친국민당 성향의 화자들의 숫자가 더 많은 이 프로그램에서 친민진당 성향의 청자를 자극하고 회유할 생각으로 상대방의 코드인 민남어 코드의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와 같은 이유로 “화자 중심 코드전환”보다 “청자 중심 코드전환”의 빈도가 3배 이상 높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中世韓國漢字音異讀字層次研究

        염재웅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9 No.-

        This article argues that we should use phonetic and semantic analysis when exploring the variants of Sino-Joseon Korean. After Korean people borrowed Chinese characters to use, the variants of Sino-Korean words must be transmitted to Korean peninsula too. A lot of Sino-Korean words are collected in the related documents. This study found that the Sino-Joseon words such as“坐、衣、射、枕、弟”which have derivation by tone-change retain the relation of the pronunciation and meaning in The Old Chinese, by studying the variants of Sino-Joseon Korean recorded in HunMongJaHoi(訓蒙字會), SinJeungYouHap(新增類合), ChoenJaMun(千字文), NonEoEonHae(論語諺解) which were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한민족이 한자를 수용하여 사용한 이래로, 중국어의 다음자 또한 전래되었을 것이다. 각종한국한자음과 관련된 문헌 속에 이와 관련한 증거를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조선초기에훈민정음이 반포된 이후 당시의 한국어체계로 기록된 『訓蒙字會』, 『新增類合』, 『千字文』, 『 論語諺解』 등의 자료 속에 나타난 다음자를 이용하여, 중국어의 상고음시기로부터 이미 존재했던 음변구사(音變構詞)의 다음자들이 중세조선의 한자음 속에서 역대 중국어의 음의관계(音義關係)를 보존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한국한자음연구에 있어서 음의관계(音義關係)를 사용하는 연구방법이 음운학과 어휘학 두 가지 측면에서 인증될 수 있으며,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한자음 이독자의 분포와 수용양상에 대한 음운학적 연구

        염재웅 중국인문학회 2016 中國人文科學 Vol.0 No.62

        本文主要考察韓國漢字音異讀字和古代漢語音變構詞之間的音義關係以及其中的音義規律,首先通過音義對應關係的比較瞭解兩者之間的相關關係,然後針對筆者所選定的每個異讀字做一個全面的對照工作,把檢查結果劃成表格讓讀者看著一目了然,也為了做出一個客觀而科學的研究成果。 本研究通過以上的研究方法發現韓漢音異讀字和古代漢語音變構詞之間有如下的三種類型。第一類,有些韓漢音異讀字本身就跟古代漢語之間保留相當高的“對應比率”,例如:“家:嫁”字, “見:現”字, “間”字, “強”字, “難”字, “分”字。 第二類,在承認韓漢音諺解類文獻的特徵“上去聲混用”的前提下才能發現很高的“對應比率”,例如:“古:故”字, “苦”字, “近”字, “女”字, “聞”字。 第三類,諺解類文獻中所收錄的例句太少或因有各種變數而很難判斷其音義關係的,例如:“覺”字, “假”字, “道:導”字, “內:納”字。

      • KCI등재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양안의 표준어사용 비교연구 -대만 청년층의 표준어 사용실태 조사를 위주로-

        염재웅 중국인문학회 2019 中國人文科學 Vol.0 No.71

        本論文主要調查兩岸人民實際使用的標準漢語並瞭解其特徵。筆者認為調查台灣年輕人說的標準語是本研究的關鍵,因為1949年以來國民黨在臺灣普及國語,受到國語教育的前兩三代的臺灣人說的國語不是很標凖,而且受到臺語的影響,所以相對來說,現在的臺灣年輕人說的國語裡面比較少有臺語的方言成分。本文主要使用兩種研究方法,第一種是問卷調查,第二種是訪問調查,筆者向24名臺灣年輕人進行了這兩種調查。通過這項調查發現臺灣年輕一代所說的國語,從語音、詞彙、語法、發話習慣等各方面來說,跟中國大陸人民說的普通話相比,存在不少的差異。並且我們認為臺灣年輕人心目中把國語定爲和其他種族溝通的重要的工具以及跟中國大陸人民交流的關鍵。

      • KCI등재

        從音義關係探討《一切經音義》中的異讀字

        염재웅 한국중국언어학회 2014 중국언어연구 Vol.0 No.53

        본 논문은 《壹切經音義(《玄應音義》、《慧琳音義》、《希麟音義》)》에서 뽑은 13개의 대표적인 音變構詞의 異讀字(數,乳,重,誤,雨,射,忘,妻,衣,被,坐,斷,冠)를 연구대상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異讀字들이 어떤 音義關系를 가지고 音變構詞를 형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壹切經音義》의 異讀字가 漢語上古音 이래로 보존되어 내려오던 音變構詞를 어떻게 전승하고 있는지, 또 《玄應音義》가 만들어진 初唐과 《慧琳音義》가 완성된 中唐시기 사이에는 어떤 변화양상을 거쳤는지 살펴보았다. 音義關系에 근거하여 《壹切經音義》의 音變構詞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 번째는 漢語上古音 이래로 각 문헌 속에 기록되어져 내려온 漢語音變構詞가 《壹切經音義》에서도 계속 전승되어지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漢語音變構詞가 《壹切經音義》에서 제대로 전승되지 않은 경우이다. 이상의 13개의 예 가운데에서, 첫 번째 분류에 해당하는 글자는 “數,重,雨,妻,被,坐,冠”이고, 두 번째 분류에 해당되는 글자는 “乳,誤,射,衣,斷”이다. 이 가운데 특히 “乳”자의 경우, 《玄應音義》에서는 漢語音變構詞의 상황이 제대로 기록되어있는데 반해, 《慧琳音義》에서는 漢語音變構詞 제대로 기록되어있지 않아서, 《慧琳音義》의 中唐시기에 일부 漢語音變構詞가 소실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斷”자는 中古音時期의 全濁上聲字로서 “濁上變去”에 따라 去聲과 合流하게 되는데, 《慧琳音義》에 수록된 “斷”자는 淸聲母上聲讀音, 全濁聲母上聲讀音, 淸聲母去聲讀音 및 全濁聲母去聲讀音 등 모두 4종류의 독음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이음들의 정체는 慧琳時期에 “濁上變去”와 “濁音淸化”등의 현상이 “어휘확산(詞彙擴散)”에 따른 교차적인 영향을 받음으로 인해서, 이처럼 다양한 변이음이 생긴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從入聲字看《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左右音在近代漢語中的地位

        廉載雄 중국어문학연구회 2009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58

        The Left and Right Sounds of Translated Nogeoldae and Translated Baktongsa are produced by two different autho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Left Sound is recorded just about 50 years earlier than the Right Sound. Therefore, the differences of the two sounds are not derived from the phonological change of historical time, but from the literal vs. oral pronunciations of the northern Mandarin dialects. In this paper, I try to prove that fact by comparing the Left and Right Sounds of entering tone characters in Translated Nogeoldae and Translated Baktongsa with three rhyme dictionaries published in the Old Mandarin period and the modern chinese dialects.

      • KCI등재

        漢語變調構詞와 閩南語 文白異讀의 音義關係에 대한 小考 -≪廈門音新字典≫ 중 音義關係 不一致 用例를 爲主로-

        염재웅 중국인문학회 2020 中國人文科學 Vol.0 No.76

        本論文主要討論古代漢語變調構詞的音義關係在閩南語詞典《廈新典》的文白異讀當中的傳承類情況與類型。本研究尤其關注古代漢語的變調構詞與《廈新典》文白異讀的音義關係不一致的五個例子,並把此五例分成三類。“取(娶)”字、“孫(遜)”字爲變調構詞的“原始詞”與《廈新典》文白異讀不一致的類型。“厭”字爲變調構詞的“滋生詞”與《廈新典》文白異讀不一致的類型。“守(狩)”字、“庭(廷)”字爲變調構詞的“原始詞”和“滋生詞”與《廈新典》文白異讀不一致的類型。《廈新典》中的“取(娶)”字、“孫(遜)”字、“厭”字、“守(狩)”字、“庭(廷)”字的文白異讀表示與變調構詞有比較緊密的音義對應關係,但是我們能發現與原始詞或者與滋生詞的音義關係略有出入。從變調構詞的角度把《廈新典》中文白異讀的音義關係的差異做比較,發現《廈新典》中文讀音音義關係釋義有出入的共有12例,白話音音義關係有出入的有1例。另外,和變調構詞相比之下,《廈新典》中的義項有錯誤的次數有11次,《臺多音》中的義項有錯誤的次數僅有3次。此統計數字反映了與上古漢語有密切關係的白話音層次與中古漢語時期以來屢次持續傳入閩方言層次的差異。我們認為這些錯誤與英國牧師甘爲霖編著《廈新典》的目的應該有密切關係。

      • KCI등재

        《洪武正韻》에 수록된 音變構詞에 관한 釋義用例 小考-上古漢語 變調構詞의 음의관계와 일부 불일치하는 용례를 위주로-

        염재웅 중국인문학회 2019 中國人文科學 Vol.0 No.73

        本論文的目的在於探討上古漢語變調構詞經過中古漢語時期與近代漢語時期經歷的變化如何。因此本研究關注上古漢語變調構詞在《廣韻》和《洪武正韻》中所記錄的音義關係中有變化的具有代表性的6個例字[巢, 帆, 長(長1/長2), 刺(刺1/刺2), 錯(錯1/錯2), 譽], 對這些例字進行整理和分析工作之後分成兩類, 第一類, 是上古漢語變調構詞的音義關係只和《廣韻》一致, 和《洪武正韻》不一致的情況, 屬於此類的用例爲“巢”字和“帆”字, 此類的特徵表示上古漢語變調構詞的音義關係保留到中古漢語時期, 到了近代漢語時期開始, 其音義關係才有所改變。第二類, 是上古漢語變調構詞的音義關係和《廣韻》不一致, 只和《洪武正韻》一致的情況, 屬於此類的用例爲“長(長1/長2)”字, “刺(刺1/刺2)”字, “錯(錯1/錯2)”字, “譽”字等。不過, 此例因為《廣韻》時期消失的音義關係到了《洪武正韻》時期重新出現, 從歷時的觀點或者音義關係的觀點看都很難解釋, 只能從《廣韻》和《洪武正韻》的編纂目的, 音韻性質等方面綜合考慮後判斷。本研究引用的中古音和近代音的材料爲《廣韻》和《洪武正韻》,我們認為這兩本韻書中的釋義描寫當時常用的主要詞義及從前代傳承下來的核心詞義,因此為了解釋這些詞義與上古漢語之間的音義關係,對於中古漢語及近代漢語時期的各種音義材料需要進一步研究。

      • KCI등재

        從音義關係探討朝鮮時期諺解類資料中的異讀字-以《小學諺解》中的異讀字爲例

        염재웅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8

        본 논문은 音義關係의 관점에서 16세기 諺解類 문헌인 《小學諺解》의 異讀字와 漢語의 異讀字간의 비교를 통해, 16세기 諺解類 자료에 반영된 한국한자음의 이독자의 音韻學的 層次를 살펴보고, 漢語史의 어느 시기의 異讀字와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小學諺解》 가운데 漢語의 音義關係를 비교적 명확히 반영하고 있는 15개의 異義異讀字를 선정하였고, 이 15개의 이독자를 수록한 《小學諺解》의 예문을 이용하여, 각 異讀字의 音義關係를 정리하였다. 한편, 漢語異讀字로서의 地位와 각 시기별 音義關係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漢語의 각 시기별 韻書 또는 音注書를 참고해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音義關係에 따라 韓漢音을 비교한 결과, 16세기 韓國漢字音의 異讀字는 아래와 같이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漢語의 音義關係를 반영하는 경우; 둘째, 漢語의 音義關係를 반영하지는 않으나 漢語의 “濁上變去” 또는 韓國語의 “音節偏向”의 영향을 받은 경우; 셋째, 漢語의 音義關係를 반영하지는 않으나 漢語近代音 가운데 異讀音의 어느 한쪽이 消失되어, 추후에 “音節偏向”의 영향을 받은 경우이다. 韓國漢字音의 層次의 측면에서 보면, 첫 번째에 해당하는 韓漢音 異讀字는 漢語史에서 上古音後期의 異讀字를 반영하고, 두 번째에 해당하는 韓漢音 異讀字는 漢語中古音의 異讀字를 반영하며, 세 번째의 韓漢音 異讀字는 漢語近代音의 音義關係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 KCI등재

        唐詩를 활용한 대학중국어 교수방안 고찰

        염재웅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11 중국어교육과연구 Vol.0 No.13

        隨著中國政治、經濟、外交上的地位提升,韓國大學裡的漢語教學也越來越受到重視。不過,因為以往在韓國大學裡漢語教學的材料和教學法比較單一,不少喜新的學生覺得老師的上課方式和教育材料的單調乏味就半途而廢。因此,我們可以把唐詩作爲學習漢語的教材來滿足想要學漢語的大學生們的需求,同時,也讓他們更有意思地欣賞中國文化的核心之一,唐詩。爲了達成這個目標,我們要用語言學的分析方法來分析唐詩的詩律和韻律的密碼。本文吸收丁邦新和竺家寧對唐詩的明律和暗律、音韻風格論的理論基礎,從一些唐詩作品中除了押韻,平仄,對偶等明顯的外在特徵以外,還找到了詩人有意暗藏的韻律上的特徵,比如:雙聲疊韻、頭韻、諧主元音、諧韻尾等。學生們在課堂上用唐詩來做各種活動可以提高漢語溝通能力,並且用這種語言學的分析方法來更深入地掌握漢語的音韻和韻律上的特徵。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