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수종족 마을을 통해 본 종족 정체성 유지 및 강화에 관한 연구 -미얀마 빨라웅족 마을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여수경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9

        Myanmar consisting of the most complex tribes in Asi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conflict and collide among tribes. Among those tribes, Palaung represents the mountainous people living in Shan Province, the northwestern part of Myanmar, and is a minority group that accounts for about 1% of the population. They are devout Buddhists who live on average 1,000 to 1,500 meters above sea level. The main economic life for Palaung people is to cultivate green tea and corn. Shan is the Autonomous Province of Myanmar consisting of the Shan people with a population of over 90%. They use the Shan language and follow the autonomous laws of Shan Province. The survey of the Palaung people was conducted by some European scholars during the British colonies in 1910. After that, it was suspended by Myanmar’s closure politics. In 2014, it was partially carried out by Japanese scholars, but it did not lead to full-scale village investigation. This article is about the Thanshan village of the Palaung people that has been investigated for about 3 years. Thanshan is a small village located 1,450 meters above sea level in the northwest of Shan Province. It consists of 35 households with a population of about 100 people; most of them are the Palaung people. They are devout Buddhists who use the Palaung language, but believe in animism and carries out the village festival according to the time of green tea cultivation. Although it was a restricted area for foreigners until the year of 2013, it was opened in 2014 due to an increase in trekking in the Hispaw area. This article examines their own ethnicity in terms of language, religion, and ritual aspects, which distinguishes them from the Shan people, through the life of the Palaung people living in Thanshan. In addition, due to Civil War between the Shan force and the Palaung force, which started in 2016, it describes what kind of changes occurred on cultural identity of Palaung in the village. The efforts of the villagers to maintain the Palaung language, which was treated as a low-level language in the past, are practiced in the home and school, and they are accepting Buddhism but maintaining animism and making their own religion. And the last festival of community solidarity and maintenance was one of the important matters that were not lost even in the situation of their civil war. This identity became more evident in the events that occurred through the civil war, and the deaths and a housing eviction in the village separated the border with the Shan people who were becoming obscured. As a result, they began to make separate areas even under the mountains, as they were able to identify the difference and to recognize that they are originated from Palaung. 아시아에서 가장 복잡한 종족으로 구성된 미얀마는 종족들의 갈등 및 충돌이 끊이지 않는 곳 중 하나이다. 그 중 빨라웅은 미얀마의 서북부 샨주에 거주하는 산악민으로 인구 약 1%를 차지하는 소수종족이다. 그들은 독실한 불교도로서 평균 해발 1,000m~1,500m에 거주하며, 주요 경제생활은 녹차와 옥수수 재배이다. 샨주는 인구 90% 이상이 샨족으로 구성된 샨족자치주이다. 샨어를 사용하고 자치주의 법이 적용된다. 빨라웅족에 대한 조사는 1910년 영국 식민지 시절 일부 유럽 학자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이후 미얀마의 폐쇄정치로 중단되었으며, 2014년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일부 진행되었지만 본격적인 마을 조사로 이어지지는 못하였다. 조사대상지 탄산은 샨주 서북부 해발 1,450m에 위치한 작은 마을이다. 38가구 121명이 거주하며 빨라웅어를 사용한다. 독실한 불교도이지만 정령신앙을 믿으며, 녹차와 옥수수가 주요 경제생활이다. 외국인 제한 구역이었지만, 샨주 띠보 지역의 트래킹 관광 확대로 2014년 개방되었다. 이 글에서는 탄산 사람들의 생활 중 언어 사용의 변화와 확대, 불교 믿음의 실천 방법, 의례 행위를 통하여 그들의 종족 정체성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탄산의 사람들은 과거 저급한 언어로 간주되었던 빨라웅어를 불교 의례에도 사용하면서 빨라웅어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빨라웅어를 보다 확대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불교 사원의 건립을 통해 다른 산악민들과 스스로를 구분하며 보다 안정되고 완성된 마을로 존재를 알렸다. 이는 무당의 존재를 부정함과 동시에 모든 의례를 불교에 의존하는 ‘의례의 불교화’를 통해 완성하고자 하였다. 10월에 개최하는 따띤쥬는 열악한 환경에서 공동체가 상호 의존하며 종족성을 재확인하는 의례이다. 특히 연장자에 대한 공양과 축제에서 행해지는 일탈의 시간 등은 외부적으로 마을의 존재를 알리고 그 위세를 표현하는 수단이 됨과 동시에 상호간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이 의례는 내전의 상황에서도 유지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로 표현되었다.

      • 한국체류 조선족의 갈등과 적응

        여수경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人文硏究 Vol.- No.48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한국인과 조선족의 관계는 길지 않은 시간 동안 한국사회와 중국 조선족 사회에 많은 문제를 제기하였다. 조선족은 중국 국적을 가진 중국인임 동시에 한국의 문화를 공유한 ‘한민족’이다.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많은 조선족이 ‘외국인노동자’로 체류하고 있지만, 단순히 ‘외국인’ 또는 ‘노동자’로서 이해할 수 없는 것을 바로 이러한 문제 때문이다. 민족자체가 근원적 감정이 아닌 역사적경제적정치적 상황에 의한 근대적 산물임은 이미 알려진 바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족들과 한국인의 관계에서 끊임없이 제기되는 ‘민족’에 대한 의문은 단순히 민족이 도구적이고 가변적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조선족들의 한국생활에서 겪는 갈등과 적응양상은 민족이 도구적이며 가변적임과 동시에 혈연에 근거한 근원적 감정에 근거함을 파악할 수 있다. 한국체류 조선족들은 한국사회에서 끊임없이 민족과 국민의 경계선에서 차별과 갈등을 경험하면서 다른 동남아외국인노동자와 구분되는 그들만의 차별적 대응방식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러한 조선족들의 한국생활에 대한 이해는 오랫동안 단일민족국가를 구성하고 ‘국가=민족’으로 이해하는 한국인들에게 다양한 시각과 세계에 퍼져있는 해외동포에 대한 이해 그리고 다른 동남외국인노동자와 함께 살아가는 시각을 제공해주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 conflict and adaptation of Chosunjok in South Korea

      • KCI등재

        미얀마 큰항아리 신오(Shink-Ole) 제작과 사회관계-신오 제작 마을 까우밍을 중심으로-

        여수경 국립민속박물관 2018 민속학연구 Vol.0 No.42

        The earthenware had been closely related to human civilization history and also been an important indicator of cultural behavior. For this reason, researches on the earthenware and social relations have been frequently conducted in terms of the ethnoarchaeology. Herein, the earthenware is a product of social community, which not only embodies the identity and role of village members, but also becomes a mechanism to maintain the village. This paper is prepar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process of Big-Jar called ‘Shink-Ole’ in Myanmar and its related social network through ‘Kyauk Myaung’, which is a Shin-Ole production village. Shin-Ole was early called Martaban Jar by Europeans, and named Black Glazed Big Pot (黑釉大壺) by Japanese scholars. The name Martaban Jar was taken from Mouktama, which is the place name in Myanmar, and Black Glazed Big Pot has a meaning of a big jar with glazed in black. Neither term is used in Myanmar. Shin-Ole has been an important trading commodity and a prestige good at the same time in Myanmar’s history, and is still used as a container for living in Myanmar. Shin-Ole is mainly used to store grain, salt, oil and others, and, also one of the main necessities for living in the apartments in the large city such as Yangon. Kyauk Myaung, a village where Shin-Ole is produced, is located in the central area of Myanmar, and the people are composed of Myanmar minority people, Mon people. They are known as people who migrated here from the southern area of Myanmar in the 15th century. Geographically, Kyauk Myaung is composed of four natural villages adjacent to the Ayeyawady Riverside, and over 1,000 people inhabit this village. Another nickname of this village is the Shin-Ole-Production Village, also known as a Myanmar's only pottery village, and most of the people are related to Shin-Ole's production. In Kyauk Myaung village, social relations are complicatedly formed, like a spider web, centered on a factory with firing kilns. Six Shin-Ole factories in the village have 15 firing kilns. All Shin-Ole produced in the village are fired in these 15 kilns. A lot of people are connected to the Shin-Ole production factories, mainly to the factory owner, and at their centers are Shin-Ole. The factory owner, master craftsman of Shin-Ole manufacturing, kiln management team, repair workers, rock crushers, pottery soil collectors, and decorators, etc., are mostly village residents. 15 to 30 people are closely linked each other, and they participate in the Shin-Ole production through a thorough division work and role. Their roles are not duplicated, they are passed down to their family through the generations, and they do not do any actions outside the scope of their roles. Since the master craftsman does not have any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the factory owner in terms of contract, his technology is not monopolized by a factory. This is also a mechanism by which Shin-Ole production technology can be settled to a technology of the village. In conclusion, although Shin-Ole is an economic means of Kyauk Myaung village, it is also an intermediate medium to maintain the solidar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village community. 토기는 일찍이 인류 문명사와 밀접한 연관을 맺으며, 문화적 행동의 중요한 지표가 되기도 하였다. 이에 민족고고학적 측면에서는 토기와 사회적 관계에 대한 연구가 성행하기도 하였다. 여기서 토기는 사회공동체의 산물로서, 마을 구성원의 정체성과 역할을 구체화함과 동시에 마을을 유지시키는 기제가 되기도 한다. 이 글은 미얀마에서 제작되는 도자기 중 ‘신오(Shink-Ole)’라 불리는 큰항아리의 제작 과정과 이와 관련된 사회관계망을 신오 제작 마을 ‘까우밍(Kyauk Myaung)’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신오는 일찍이 유럽인들에 의해 마르타반 항아리(Martaban Jar)라 불렸으며, 일본인 학자에 의해서는 흑유대호(흑유대호)라 명명되었다. 마르타반 항아리는 목타마라 불리는 미얀마 지명에서, 흑유대호는 검은 색의 유약을 바른 큰항아리라는 뜻이다. 두 용어 모두 미얀마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신오는 미얀마 역사에서 중요한 교역품이자 위세품이며, 미얀마에서 생활용기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주로 곡식과 소금, 기름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하며 양곤과 같은 대도시 아파트 생활에서도 신오는 주요 생활필수품 중 하나이다. 신오 제작 마을 까우밍은 미얀마 중부에 위치하며, 마을 주민은 미얀마 소수민족인 몬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은 15세기 미얀마 남부에서 이곳으로 집단 이주한 사람들로 알려져 있다. 지리적으로 에야와디 강변에 인접한 4개의 자연마을로 구성되며, 1,000여 명이 넘는 사람이 거주한다. 이곳의 또 다른 별칭은 신오 제작 마을이며, 마을 주민 대부분이 신오 제작과 연관된 미얀마 유일한 도자기 마을로도 알려져 있다. 까우밍 마을에서 사회관계는 소성 가마가 있는 공장을 중심으로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다. 마을의 총 6곳 신오 제작 공장에서는 15개 소성 가마를 가지고 있다. 마을에서 생산되는 모든 신오는 이곳 15개의 가마에서 소성된다. 신오 제작 공장에는 공장 주인을 중심으로 많은 사람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는 신오가 있다. 공장 주인과 신오 제작 장인, 가마 관리팀, 수비 작업자, 암석 분쇄자, 도토 채취자, 시문자 등으로 구분되며, 그들 대부분은 마을 주민들이다. 15명에서 30명 이상의 사람들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들은 철저한 분업과 역할을 통해 신오 제작에 참여한다. 상호간의 역할은 중복되지 않으며 세대를 통해 대물림되고 있으며, 역할의 범위를 벗어난 행위를 하지 않는다. 계약 관계의 장인은 공장 주인과 관계에서 종속된 관계를 맺지 않기 때문에 기술은 한 공장에서 독점되지 않는다. 이는 신오 제작 기술이 마을의 기술로 정착될 수 있는 기제가 되기도 한다. 신오는 까우밍 마을의 경제 수단이기도 하지만, 마을공동체의 결속력과 지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중간 매개체가 되고 있다.

      • KCI등재

        ARCS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식품표시 수업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와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및 활용도에 미치는 효과

        여수경,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me economics instruction in food labeling using a motivational(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strategy to increase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recognition and use of food labels. To achieve this purpose, teaching-learning plans of food label instruction using a motivation(ARCS) strategy were developed over four class periods using a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cross two groups as follows: 4 experimental groups that received the motivation(ARCS) strategy instruction, and 3 comparative groups that received lecture type instruction. The pretest-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were compared. The 203 data of questionnaires for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and evaluated by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using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eaching-learning plans, learning materials, and teacher reference materials for the home economics food label instruction that applied the motivation(ARCS) strategy were developed in five subject areas: nutrition labels, food additives, genetically modified food, irradiated food, and food quality verification labels. Second,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of the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Home economics instruction using a motivation(ARCS) strategy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an lecture type instruction. Third, as a result of ANCOVA which regulated the recognition of food labels in the pre-experimental design, the recognition of food labels in the post-experimental design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instruction style(motivation strategy and lecture type instruction). In addition, comprehensibility, practical use and educational necessity of food label detail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Home economics instruction using motivation(ARCS) strategy was more effective than lecture type instruction in improving students'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Fourth, as a result of ANCOVA which regulated the use of food labels in the pre-experimental stage, the use of food labels in the post-experimental stag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depending on the instruction style. Therefore, home economics instruction in food labeling using motivation(ARCS) strategy was more effective than lecture type instruction in increasing students' use of food label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ㆍ가정 교과의 식품표시와 관련된 수업을 ARCS 동기유발전략을 적용하여 개발한 후 이 수업이 학습동기와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과 활용에 효과를 주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RCS 동기유발전략을 적용한 식품표시 관련 가정과 수업의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총 4차시 개발하였고,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 4학급은 ARCS 동기유발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비교집단 3학급은 강의식 수업을 적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를 비교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7부를 제외한 203부를 대상으로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RCS 동기유발전략을 적용한 식품표시 관련 가정과 수업의 교수ㆍ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 교사용 참고자료를 4개의 학습주제(영양성분표시, 식품첨가물, 유전자조작과 방사선조사식품, 식품품질인증표시)별로 개발하였다. 둘째, 학습동기에 대한 실험에서 사전 학습동기를 통제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ARCS 동기유발수업을 받은 실험집단과 강의식 수업을 받은 비교집단의 학습동기와 동기유발요소(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전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을 통제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후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검사에서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이 수업방법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하위영역인 식품표시사항 이해도와 식품표시 실생활 도움 및 교육필요도에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사전 식품표시 활용도를 통제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식품표시 활용도에 대한 사후 식품표시 활용도는 수업방법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식품표시 활용도 하위영역인 식품표시사항 활용도와 식품선택시 활용도 모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의사결정에서 교사 영향력 측정도구 개발

        여수경(呂修京),박주호(朴柱澔)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2

        학교 의사결정에서 교사의 영향력 증대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나라의 학교 체제에서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학교 의사결정에서 교사 참여와 영향력을 구분하지 않고 단순히 측정함으로 인해 그 측정 목표와 그 결과가 불명확한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의사결정에서 교사 영향력 정도를 체계적으로 측정하는 서베이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교육청 소속 68개 중고등학교(중등 28개교, 고등 40개교)에 근무하는 정규교사 총 724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교사 362명(50%)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을 위한 가설모형을 수립하였다. 그런 다음에 나머지 362명을 대상으로 가설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교차적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은 교직원 인사 관련 의사결정, 교수관련 의사결정, 지역사회 및 학부모와 연계한 교육활동 의사결정, 학교관리 관련 의사결정, 그리고 학생지도 관련 의사결정에서 각각 교사 영향력이라는 5개의 구성요인과 22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모형을 수립하였다. 각 구성 요인별 신뢰도 계수(α)는 .890에서 .950으로 모두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검정한 결과, 모형 적합도는 비교적 양호한 정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 영향력 형성을 설명하는 이론적 관점인 학교 리더십을 기반으로 해서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의사결정에 적합한 교사 영향력 측정 문항과 구인을 도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creased teacher influence in the school decision-making process is paramount in contemporary schooling systems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However, prior research has measured and evaluated teacher influence without considering an elaborative difference between teacher participation and influence in school decision-making. Thus, results of measuring teacher influence have been vague to its effectiveness. Responding to this limi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rvey questionnaire to measure teacher influence in school decision-mak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otal 714 teachers from 68 secondary schools (28 middle schools, 40 high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city. In this study, half of the sample (n=362) was used to conduct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which builds a hypothesized measurement model. To test the measurement model defined by EFA, the second analysis used sample data from the other half (n=362)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ccording to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EFA first produced five hypothesized constructs loaded by 22 items. The five theoretical constructs were named with teachers’ staffing decision-making, instruction-related decision-making, decision-making related to communities and parents, decision-making for school management, and students’ guidance-related decision-making. Reliability (alpha) coefficients of the five factors ranged from .890 to .950 which all show very reliable results. Secondary, as evidence of a cross-validation, results of CFA revealed the actual data well fit the hypothesized model found in EFA. In this study, the validation of measuring teacher influence supported that teacher leadership and shared leadership in schools plays a role as a theoretical perspective on establishing teacher influence in the decision-making of Korean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방탄소년단 팬덤의 복합 영향력 분석을 통해 브랜드 활성화 방법 연구

        여수경(Yeo, Su Kyeong),정미선(Chung, Mi S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3

        본 연구는 미디어, 모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등 정보기술(IT)의 발전으로 인한 소비 형태 변화에서 시작되었다. 오늘날 소비자는 단순히 브랜드가 제공하는 재화를 소비하는데 그치지 않고 주체적 성향을 가지고 브랜드 고유의 가치관에 주목한다. 브랜드는 이러한 소비 시장과 마케팅 고도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유한 가치관과 팬덤을 보유하고 싶어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탄소년단과 팬덤 아미의 특성 파악과 실증 분석을 통해 팬덤이 브랜드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브랜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브랜드에서 재고하고자 활성화 방안을 선도 사례인 방탄소년단과 팬덤 아미(ARMY)에 대한 문헌조사, 실증조사 분석을 토대로 이행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연구의 배경 및 범위에 관해 기술하였다. 문헌조사(국내외 논문, 학술지, 전문서적, 인터넷 등)와 실증조사 방법을 소개한다. 둘째, 브랜드와 팬덤의 요소와 선도사례로 선정한 방탄소년단과 팬덤 아미(ARMY)를 대조하여 기술하였다. 셋째, 실증조사를 통해 방탄소년단과 방탄소년단 팬덤 아미(ARMY)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기술한 내용을 근거로 방탄소년단과 팬덤 아미(ARMY)가 브랜드 활성화에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에 대한 브랜드의 관점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팬덤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브랜드는 팬덤의 장기적 확산과 유지에 관심을 가지면 시장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began with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IT such as media, mobile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Today, consumers are not only consuming the goods provided by the brand, but also paying attention to brand-specific values with a subjective nature. Brand wants to have unique values and fandom to cope with this consumer market and marketing sophist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fandom has an influence on brand revitalization through character wave and empirical analysis of BTS and fandom ami and present ways to contribute to brand revitalization. Therefore, this paper implemented the activation method in order to reconsider it in the brand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and empirical investigation analysis of the leading cases BTS and the Fandom ARMY. Description of the research methods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background and scope of the study were described. Introduce methods of empirical investigation and literature research (such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academic journals, professional books, internet etc.). Second, it was described by comparing elements of the brand and fandom with those of the leading example, BTS and ARMY. Third,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BTS and BTS" fandom ARMY through empirical research. Fourth, based on 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tudy, the factors that BTS and the ARMY have on brand revitalization were comprehensively describ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change in the brand"s perspective on consumers is needed. Second, we need an understanding of fandom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brand expects to have new business opportunities in the market if it is interested in the long-term proliferation and maintenance of fandom.

      • KCI등재

        교사의 학부모와 교류정도, 학교의 변화 지향적 풍토 및 전문성 개발 활동 간의 관계

        박주호,여수경,정혜연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1

        교사의 전문성 개발활동과 관련해서는 교사 개인적 특성과 동기, 동료교사와 협력활동, 교장변인, 그리고 지역 여건이나 환경과의 관계가 주로 탐색되어 온 반면, 학부모의 영향 정도나 조직풍토 등 학교조직 환경이 어떻게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는 비교적 확인되어 오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TALIS 2018년 우리나라 중학교 자료를 토대로 교사의 학부모와 교류정도, 변화 지향적 학교풍토 및 전문성 개발활동 참여와의 관계를 무선효과 회귀계수(A random coefficient)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개인수준에서 학부모와의 교류 정도는 전문성 개발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교사차원에서 이들 두 변인 관계가 학교차원에서 변화 지향적 조직풍토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변화 지향성이 높은 조직풍토를 가진 학교에서 교사-학부모의 교류가 교사 자신들의 전문성 개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교사의 전문성 개발활동을 촉진시키는 학교정책 개발에 있어서, 교사와 학부모와의 밀접한 상호작용의 중요성 이외에 학교 조직풍토 상황을 동시에 감안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urpose: In relation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s of teachers, cooperative activities with peer teachers, principal variables, and relationships with local conditions or the environment have been mainly explored. On the other hand, it is relatively unclear how the school organization's environment, such as parental influence or organizational climate, affects discriminatively.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arents interaction degree, change-oriented school climat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based on TALIS 2018 data from Korean middle school as a random coefficient model.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interaction with parents at the individual teacher level has no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at the teacher level depends on the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limate at the school level.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in a school with a high organizational climate, change of teacher-par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Valu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addition to the importance of clos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the development of school policy that promote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f teachers,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situation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 KCI등재

        비선호시설의 건설에 따른 지역사회의 변화와 갈등:원자력발전소 인접 두 어촌의 사례

        이창언,여수경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人文硏究 Vol.- No.105

        한국에서 원전개발사업이 진행된 지 반세기를 넘겼고, 그동안 원전이 들어선 지역사회는 모든 면에서 커다란 변화를 경험해 왔다. 이 글에서는 원전이 들어선 두 어촌마을의 사례를 통해 한국에서 국가적 규모의 개발사업이 초래한 지역사회의 총체적인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원전 인접한 두 어촌에서 토착민은 떠났고, 그 빈자리를 이주민들이 채우면서 사회적 구성은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다양한 이해관계가 표출되었다. 이러한 이해관계는갈등의 요인이 되었다. 갈등은 마을과 마을 사이에서 나아가 마을과 더 큰 지역사회 사이에도 야기되는 등 그 양상은 넓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원전이라는 특수한 사정을 고려할때 향후 심화할 여지가 있다. 특히, 두 어촌의 사례에서 나타난 내외부적 갈등은 마을 내 관습과 관행을 통해 자연스럽게 해결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공성을 담보한 원전과 같은 대형 국책사업에서 야기되는 지역사회의 갈등은좀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제도적 노력과 학문적 논의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