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기업교육을 위한 수업체제설계모형 개발 사례연구 : HI-ISD 모형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of HI-ISD model

        엄우용 한국산업교육학회 1999 산업교육연구 Vol.6 No.-

        최근 국내 기업교육에서 ISD는 도입 초기만큼 그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 중의 하는 ISD 모형의 이론과 실천간의 괴리에 기인한다. ISD가 기업교육을 위한 과정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자사의 교육과정개발 실제를 반영한 ISD 모형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국내 기업교육담당자가 어떻게 자사에 적합한 ISD 모형을 만들 수 있을까하는 문제에 대하여 HI-ISD 모형 개발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효과적인 ISD 모형을 만들기 위한 제안을 한다. Since the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and development (ISD) models have been introduced in Korean corporate settings,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efforts to use them for developing their training programs. However, the ISD models seem not to be recognized anymore as an effective process for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in Korean corporate settings. One reason would be the gap between ISD models and practices. In other words, most ISD models do not reflect practices. Some researchers suggested that trainers or instructional designers must. have their own ISD model, reflecting their own design process in practice, to develop an effective and efficient training program. There is no model to be used for every situation, although generic ISD model can be used as a guideline.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discusses a general process to develop ISD model, along with a case of development of the ISD model for a Korean corporate setting. And then this article proposes several suggestions to develop an effective and efficient ISD model.

      • 급속 열처리 방식에 의한 Ti-실리사이드의 상전이 및 형성에 관한 연구

        엄우용,김민영,장호정,장지근 단국대학교 신소재기술연구소 1995 신소재 Vol.5 No.-

        n-type Si (100) 웨이퍼를 precleaning하고 HF용액에 dip etching한 후 e-beam evaporator에서 두께 800Å의 Ti 박막을 성장시켰다. Ti/Si 박막의 rapid thermal annealing 과정에서는 열처리 온도, 시간 및 가스 분위기(Ar/N_2)를 변화시켜가며 TiSi_2 형성을 실험하였고, 열처리 시 정상온도까지를 computer programming에 의해 다단계 step 방식으로 승온시켰다. 열처리 후 4단자 탐침법(4-point probe method)으로 면저항(Rs)을 측정한 결과, 형성된 TiSi_2의 면저항 값은 RTA의 가스분위기에는 크게 의존하지 않으며 열처리 온도에 민감하게 변화하였다. RTA 온도에 따른 Ti-실리사이드의 면저항 값이 T=500℃ 부근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T=700℃ 이상에서는 일정한 낮은 값(Rs≤1.2Ω/□, p=13∼16μΩ·cm)을 보였는데 이는 T≥700℃ 이상에서 C54의 안정된 TiSi_2 상이 형성된 결과이다. 또한, 시편을 N_2 분위기에서 500℃, 600℃, 700℃, 800℃의 온도로 20초간 열처리한 후 Ti-silicide 박막의 결정구조와 상전이를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한 결과, 500℃에서 20초간 RTA 열처리한 시료는 TiSi상과 불안정한 tiSi_2 초기상(C49)이 형성되었으며 열처리 온도가 700℃ 이상에서는 고온 안정상인 TiSi_2 상(C54)이 성장되었음을 보여주었다. C54의 TiSi_2에 대한 결정성장방향은 (040) 방향으로 배향(oriented) 성장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_2 분위기로 600℃와 850℃의 온도에서 20초간 열처리한 실리사이드의 표면과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관찰한 결과,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TiSi_2의 결정입계 크기가 증가하였고, 약 800Å 두께의 as-deposited Ti 박막에 대한 TiSi_2/Si 시편은 850℃에서 20 sec간 열처리한 경우 약 1500Å의 실리사이드 두께를 보여주었다. The substrates, n-type (100) Si wafers with the resistivity of 1∼10 Ω·cm are subjected to standard cleaning procedures followed by a diluted HF solution (HF : H_2O=1 : 50) dip immediately prior to loading into e-beam chamber. Thin Ti films with the thickness of 800Å are deposited by e-beam evaporation with base pressure of 4×10^6 Torr. The samples are annealed over a range of temperatures (T=450∼850℃) in an atmosphere of N_2 and Ar with annealing times (t=5∼60 sec) in a RTA system. After selective etching of unreacted Ti in a solution of (NH_4OH : H_2O_2 :H_2O=1 : 1 : 5), the reacted Ti-silicides are characterized by in-line four point probe, x-ray diffraction(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the results of four point probe measurements show that sheet resistances of TiSi_2(C54) are not greatly affected by the RTA process variables such as annealing temperatures, times and gas ambinets. the deposited Ti films start to convert into Ti-silicide phases at the annealing temperature of about 450℃, showing sheet resistance of about 1Ω/□ between 750℃ and 850℃ for 20 sec. The annealed samples show the mixed phases of TiSi-TiSi_2(C49) at 500℃ and the (040) oriented growth of TiSi_2(C54) above 700℃. SEM micrographs exhibit that the thickness and resistivity of TiSi_2 annealed at 850℃ for 20 sec is 1500Å(about 2 times of Ti thickness) and 15 μΩ·cm.

      • KCI등재후보

        학습자 통제형 학습환경으로서의 하이퍼미디어와 자기조절학습전략

        엄우용 한국산업교육학회 1999 산업교육연구 Vol.5 No.-

        최근에 학교와 기업교육현장에서 교수전달매체로서 WWW의 활용이 두드러지고 있다. WWW의 교육적 잠재성에도 불구하고, 이의 학습자 통제형 학습환경으로서의 특징은 방향감 상실과 인지적 과부하라는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학습자 통제형 학습환경에서 성공적이기 위해서 학습자는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필요로 한다. 자기조절학습전략은 메타인지, 인지, 자기관리, 그리고 동기전략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학습자가 어떤 학습전략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WWW과 같은 하이퍼미디어를 활용한 학습환경의 성공적인 설계/개발을 위한 선행조건이 될 것이다. 이글은 하이퍼미디어를 학습자통제형 학습환경으로 이해하고, 선행연구결과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 로봇 플랫폼을 위한 이족보행로봇 개발

        엄우용,이종호,Ohm, Woo-Yong,Yi, Chong-Ho 대한전자공학회 2006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43 No.4

        최근의 로봇들은 기능이 다양해지고, 제어해야 할 장치가 증가하였다. 이런 복잡한 환경에서 로봇을 보다 쉽게 연구 개발하기 위해서는 로봇을 움직이는 소프트웨어와 제어 대상이 되는 하드웨어 간을 유연하게 연결시켜 주는 로봇 플랫폼의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로봇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하여 현재 로봇 산업 분야 중에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통신 기능이 포함된 이족보행로봇을 개발하였다. As the function and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robot is more complicated, the robot platform which can link effectively between software and hardware is need to develop the robot easily.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humanoid robot that interests in robot industry part for robot platform with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 전문대학 특성화와 관련한 교과과정 연구

        엄우용,류장렬,Ohm, Woo-Yong,Ryu, Jang-Ryeol 대한전자공학회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37 No.4

        수학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습의용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학생의 수학능력과 학습의욕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전문대학 전자과의 교육과정을 세분야(전자통신기기 분야, 마이크로프로세서 분야, 집적회로설계 분야)로 편성하여, 전자통신기기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본 원리를 습득하는데 중점을 두고, 국제적인 추세인 집적회로설계 분야를 이해하게 된다. 특히 국내의 빈약한 반도체 설계 분야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설계기술을 집중적으로 훈련시키고 특성화하여, 반도체 설계분야의 기능화된 인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Because of the junior college students' learning ability stands on a relatively low level, this research is accomplished to inspire students with further desires, considering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desire. The curriculum of junior college is organized with three parts(electronic communication tool, micro processer, integrated circuit design):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tool and micro processer is carried out, and the training for the design skill on semiconductor devices will be focused. The main focus is reflected on the worldwide trend on the design engineering of semiconductor devices and considered for the market establishment on design engineers trained by the lab-oriented practice as well as fundament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 KCI등재

        웹 기반 토론에서 리더유무와 통제소재가 메시지 유형에 미치는 영향

        엄우용,박인영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웹기반 토론환경에서 집단의 리더유무와 통제소재가 메시지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85명의 여중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Henri(1992)의 메시지 분석틀에 근거하여 토론내용이 참여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인지적, 그리고 메타인지적 차원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참여적 차원은 리더의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내적 통제집단이 외적 통제집단보다 높았다. 사회적 차원은 외적 통제집단에서만 리더가 있는 집단이 높았으며, 상호작용적 차원은 내적 통제집단과 리더가 없는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차원은 외적 통제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메타인지적 차원은 내적 통제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즉, 리더가 있는 집단에서는 사회적 차원의 메시지 유형이, 리더가 없는 집단에서는 상호작용적 차원의 메시지 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외적통제집단은 리더가 있을 때, 내적 통제집단은 리더가 없을 때 토론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내적 통제집단이 외적 통제집단보다 참여적, 상호작용적, 메타인지적 차원의 메시지 유형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웹기반 토론환경에서 리더의 유무는 사회적, 상호작용적 차원의 메시지에 영향을 미치며, 통제소재는 참여적, 상호작용적, 메타인지적 차원의 메시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on the types of message in Web-Based discussion. Eighty-five nin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llocated into a group of two groups(leader driven group and no leader group). And then they had been allocated into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Each group had been consisted of five participants. There's no difference in academic abilities and computer abilities. Participants had been participated in a Web-Based discussion for three weeks, but messages from the last week's discussion have been analyzed by the unit of meaning, based on the five dimensions which were proposed by Henri(1992). Independent variables were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and dependent variable was message types. Two-way ANOVA had been used to test the difference in the types of message between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message(Social Dimension/ Interactive Dimension) by leader's existence in Web-Based discuss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message(Participative Dimension/ Interactive Dimension/ Metacognitive Dimension) by locus of control in Web-Based discussion.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 the types of message(Social Dimension/ Interactive Dimension/ Cognitive Dimension) between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in Web-Based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types of message in a Web-Based discussion. Having leadership in external locus of control showed stronger interactive relationship, to the contrary in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not having leadership showed better interactive relationship. Thus, to better interactive relationship and discussion in students, analyzing each student's character should be preceded before the proper leadership is given to the stud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