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리단길 창조계급의 유입과정과 문화경관 형성요인

        양희은,손용훈,Yang, Hee eun,Son, Yong-Hoon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6

        최근 '창조 경제', '문화 융성' 등이 도시 및 지역 성장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부상하면서 문화 산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Kim, 2013). 또한 지역의 창조역량을 강화하고 자생적이며 내발적인 지역문화 발전을 위한 정책마련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Ryu et al., 2012). 이러한 흐름에서 자생적으로 문화산업에 종사하는 창조계급들이 집적하여 나타나며, 새로운 문화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경리단길을 고찰하여 그 집적요인 및 문화경관의 변화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한 변화과정에 있는 서울 용산구 이태원2동 회나무로(경리단길)를 연구함에 있어, 인근 지역인 이태원1동의 상업시설 포화상태로 인한 상업 공간의 확장 때문이라는 기존의 인식과는 달리 경리단길에 유입되고 있는 '창조계급'이 지역의 변화를 직 간접적으로 유도하며, 지역의 문화 및 경관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10년대 일본군 기지 조성에 따른 영향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는 과정을 문화경관형성 과정으로 보고, 대상지 경관 변화의 역사적 맥락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둘째, 경리단길의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로서 창조계급이 경리단길에 유입된 과정을 고찰하고, 어떠한 요인에서 경리단길에 유입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이들의 활동이 지역의 문화 및 경관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가설 하에 이들의 활동을 분석하여 경리단길의 독특한 문화경관형성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창조계급의 4집단(디자이너 및 건축가 집단, 독립 갤러리 및 카페(음식점)+갤러리 운영자 집단, 예술가 집단, 에스닉푸드 음식점 운영자 집단)들이 경리단길에 유입되고 있는 과정을 생생하게 고찰하기 위하여 심층인터뷰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이를 객관적이며 구조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위해 Ratner(2002)가 제시한 인터뷰 대화내용 분석의 4단계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창의적 문화산업 종사자가 경리단길에 유입되는 요인으로는 '저렴한 임대료에 비해 이슈화되고 있는 지역', '자연과 공존하는 도시', '도시의 혼잡스러움과는 격리된 듯한 호젓한 분위기', '자신이 좋아하는 개성 있는 소재를 시험하고 공유할 수 있는 장소', '지인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의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소'라는 5가지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들의 활동으로 형성되고 있는 문화경관의 특징으로는 창의성 증진을 위한 소통의 공간, 일시적이며, 유연한 공간의 활용, 자신의 정체성 및 취향의 표현, 구분짓기, 기존 시설의 적극적 활용이라는 5가지의 특징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경리단길의 변화과정을 주도하고 있는 주체인 '창조계급'을 드러냄으로써 경리단길 문화경관이 형성되고 있는 양상을 밝혀냈으며, 문화산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고찰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자생적으로 문화산업에 종사하는 창조계급이 집적하여 나타나는 실제의 대상지를 연구함으로써 실증적인 유입요인 및 지역의 변화양상을 밝혀내었다. With the recent 'Creative economy' and 'Cultural prosperity' coming to the fore as a new code to build up a city or a reg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trengthening the regional creative capacity as well as developing spontaneous regional culture. In such trend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Kyunglidan-gil, Seoul, Korea in which creative-class are appearing autogenously in clusters and forming new cultural landscape, to identify the factors of their accumulation and changing aspect of cultural landscap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purposes: First,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Kyunglidan-gil's landscape. Second, considering the process of the creative-class being flowed into the Kyunglidan-gil as the subject lea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region. Third, their activity was analyzed to consider the unique aspect of forming the cultural landscape at the Kyunglidan-gil. Regarding why the creative-class should flow in, results of the study drew five factors including region in issue compared to inexpensive rents, coexistence with nature, quiet atmosphere seeming isolated from the urban confusion, location possible to test and share individual materials one likes, and a site with synergy effect of activity through the network with acquaintances. Also, fiv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landscape forming by the people's activity were drawn - space of communication for increasing creativity, temporary and flexible spatial use, expression of one's identity and taste, distinguishing, and positive use of the existing facilities. Like this, by exposing the 'creative-class', a subject of the leader in changing process of the Kyunglidan-gil,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aspect of forming cultural landscape.

      • KCI등재

        OBDII 데이터 기반의 실시간 연료 소비량 예측 모델 연구

        양희은 ( Hee-eun Yang ),김도현 ( Do-hyun Kim ),최호섭 ( Hoseop Cho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0 No.2

        자율주행차 시대가 도래하면서 ECU (Electronic Control Unit)는 점차 고도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차량에서 정확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하려는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ECU는 차량 제조사별로 상이한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어 상용 단말기로는 정확한 데이터 추출과 분석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차량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전용 펌웨어를 개발하여 차량의 2019년 1월부터 2월의 실제 주행데이터 53,580건의 데이터를 추출하였으며, 20회가 넘는 실제 도로 주행을 통해서 데이터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 연료 소비량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스태킹 앙상블 기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베이스 모델로 Ridge, Lasso, XGBoost, LightGBM이 사용되고 메타 모델은 Ridge가 사용되었으며, 예측 성능은 MAE 0.011, RMSE 0.017로 최적의 결과를 보였다.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for realtime fuel consumption prediction using real data collected from OBDII.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self-driving cars, electronic control units(ECU) are getting more complex,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attempted to extract and analyze more accurate data from vehicles. But since ECU is getting more complex, it is getting harder to get the data from ECU.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mware was developed for acquiring accurate vehicle data in this study, which extracted 53,580 actual driving data sets from vehicles from January to February 2019. Using these data, the ensemble stacking technique was us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realtime fuel consumption prediction model. In this study, Ridge, Lasso, XGBoost, and LightGBM were used as base models, and Ridge was used for meta model, and the predicted performance was MAE 0.011, RMSE 0.017.

      • OBDII 데이터 기반의 회귀 분석을 통한 실시간 연료 소비량 예측

        양희은 ( Hee-eun Yang ),김도현 ( Do-hyu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1

        자율주행 차량이 많아지고 차량의 ECU가 고도화되면서 정확한 차량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활용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에는 내연 기관 차량의 ECU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OBDII 포트(규격)에 기반한 CAN통신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OBDII 규격을 통해서 연비와 같은 중요한 차량 정보를 얻는 경우, 변환식(MAF 센서(흡입 공기량 센서)와 공기/연료 비율을 이용)의 오차 범위가 커서 데이터의 정확도가 낮다. 본 연구에서는 머신 러닝 기법 중에 하나인 회귀 기법을 통해서 기존의 계산보다 더 정확한 연비를 구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모델 개발을 통하여 차량의 RAW 데이터를 기반으로 필요한 차량 데이터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회가 넘는 실 도로주행을 통해서 본 모델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한 움직이는 대상의 이동 방향 추정과 이를 활용한 무선조정자동차 제어

        정성은(Sung-Eun Chung),문수진(Su-Jin Mun),조아영(A-Yeong Jo),석민아(Min-A Seok),양예슬(Ye-Seul Yang),양희은(Hee-Eun Yang),허서하(Seo-Ha Heo),김경태(Kyung-Tae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5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2차원 상에서 움직이는 표적의 좌표와 속도를 추정하는 칼만필터의 구현을 통해 기본적인 칼만필터의 기능을 숙지한다. 구현된 칼만필터의 성능을 가시적으로 확인하고 시스템 제어에 활용해 보기 위해 아두이노로 무선조정자동차(remote control car: RC CAR)를 제작하고 표적과 동일한 궤적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한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corynebacterium glutamicum 에서의 Shikimate Dehybrogenase 를 암호화하는 aroE 유전자의 분리와 분석

        양희은,이명석 한국유전학회 1999 Genes & Genomics Vol.21 No.4

        The aroE gene was cloned from Corynebacterium glutamicum by complementation of an Escherichia coli aromatic amino acid auxotroph. The E. coli aroE gene codes for shikimate dehydrogenase, an enzyme involved in the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 The cloned DNA fragment in the recombinant plasmid, named pROE1, was physically mapped with several restriction endonucleases. We determined the DNA nucleotide sequences of the DNA fragment and reported here the sequences of the aroE gene. The complet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aroE gene showed an open reading frame encoding a protein of 274 amino acids. Comparison of this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C. glutamicum aroE gene with those of the enzyme from Mycobacterium tuberculosis, Archaeoglobus fulgidus and Synechocystis sp. revealed 45%, 32% and 28% similarity,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