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시 의도의 관람객 수용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전시평가 방법론 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사례를 중심으로

        양지연,김정화,박선주,손차혜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5

        박물관의 전시가 의도된 주제와 메시지를 관람객에게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인식된 이 후 전시의 기획의도가 관람객들에게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측정하는 전시평가의 영역이 대두되 었다. 아직 국내에서 전시에 대한 평가는 주로 관람객 수나 만족도 등 산출적인 요소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으나, 전시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전시기획 의도의 관람객 수용결과를 측정하는 평가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전시가 갖는 속성을 바탕으로, 전시기획의 의도가 관람객에게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전시평가의 분 석틀과 평가방법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전시평가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진은 국립민속박물관 에서 2013년과 2014년에 이루어진 4개의 특별전에 대한 전시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전시기획팀의 기획 의도를 파악하고, 구체적인 평가의 질문들을 도출하였다. 질문에 대한 답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설계하기 위해 전시평가의 분석틀을 시간, 공간, 행동, 인지, 의견의 다섯 가지 요소로 도출하고, 이와 연계된 평가방법을 추적조사, 출구인터뷰, 출구설문조사로 설계하였다. 여기서 제 시된 전시평가의 분석틀과 복합적 평가방법은 전시의 기획의도와 관람객 수용 간의 상호작용을 보 다 효과적이고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museum exhibitions came to be recognized as communication media, the field of exhibition evaluation has emerged and been practiced widely to assess how the intention of a curator/museum was received by visitors. Even though the evaluations of exhibitions, in Korean museums, are currently limited to measuring such outputs as the number of visitors and visitor satisfaction, the systematic methodology to assess communicative effects of exhibitions need to be incorporated and studied. This study presented analytic framework for exhibition evaluation, based on the attributes of exhibitions as communication media, and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s to assess the visitor reception of exhibition’s intention. A case study of exhibition evaluation conducted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at applied the framework and methods of exhibition evaluation was introduced. The five elements of the framework to analyse visitors’ reaction were proposed as time, space, behavior, perception, and opinion. Based on the framework, the mixed methods to evaluate exhibition’s effectiveness to communicate its intention with visitors were incorporated: time and tracking study, exit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framework and mixed evaluation methods discussed and incorporated in this case study could be adopted as methodology to assess the interaction between curator’s intention and visitor reception more effectively and objectively.

      • KCI등재

        생체시료를 이용한 프탈레이트의 실내 노출인자 연구

        양지연,임영욱,신동천,이시은,이건우,김준혁,이용진 한국냄새환경학회 2018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7 No.4

        Phthalate is an endocrine disruptor that interferes with homeostasis and developmental regulation. It is highly toxicto the environment and is associated with various diseases of the human body. Using biological samples from140 adult subjects, to evaluate the influencing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contaminant concentration levels, weus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astly, in order to analyze the health effects related toexposure to phthalates, we conducted a risk assessment by estimating acceptable daily intake exposure accordingto the influential factors. When we compared the concentration level according to influential factors, in general,the subjects who had engaged in home remodeling work had higher urinary phthalate metabolite concentrationslevels than the subjects who had not engaged in home remodeling work. We can confirm statistically significantdifferences in DBP metabolites. In addition, we can confirm the concentration appeared higher in the categoriessuch as using air freshener, sofa and foods. Through conducting a risk assessment of DEHP, BBzP, DiBP, andDnBP by using data on phthalate metabolite concentration in urine,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of all metabolites did not exceed TDI.

      • KCI등재

        뮤지엄과 대중참여 : 크라우드소싱 기반 전시기획의 실천과 전망

        양지연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4

        Museums nowadays are expected to exist as cultural platforms for social interaction, rather than as a mer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based on their unique contents and expertise. In this aspect,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strengthen the museums’ social role by engaging general public with the museums’internal function through online platform. This phenomena is related with the rise of the concept and practices of‘crowdsourcing’, the term first coined by Jeff Howe in 2006 and is defined as“the act of taking a task traditionally performed by a designated agent and outsourcing it by making an open call to an undefined but large group of people.” In this paper, practices and prospects of the crowdsourcing based curating were explored in a museum context through a theoretical examination and case studies. Three exhibitions at the Brooklyn Museum, New York(<Click! A Crowd Curated Exhibition>), the ARKO Museum, Seoul(<Kang Ik Joong: the Things that I know>), the Kyunggi Museum of Modern Art, Kyunggi-do(<Tagging Art Works>) were selected as the cases that incorporated the various types of crowdsourcing in the process of curating. Through the reviews of documents and related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the curators, the cases were analyzed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s of crowdsourcing based exhibitions. Based on the case studies, meanings and prospects of the crowdsourcing based exhibition were examined in three inter-related issues. 오늘날 뮤지엄은 고유한 콘텐츠와 이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대중을 교육하는 공공기관의 모델에서 나아가 다양한 이용자 및 커뮤니티의 가치와 관심을 존중하고 참여를 이끌어내며 사회적 교류의 플랫폼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인식변화가 목도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온라인 상에서 일반 시민들이 뮤지엄이 기존에 내부적으로 수행해 오던 기능에 자발적으로 기여하고 참여하는 장을 마련하여 뮤지엄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는 사례가 시도되고 있다. 이는 2000년대 이후 기관이 기존에 수행해 온 기능을 불특정 다수의 대중(크라우드)에게 이임하는 형태인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의 개념적, 실천적 확산과 맞물린다. 이 논문에서는 웹2.0 시대에 보다 많은 사람들이 민주적으로 뮤지엄의 과정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뮤지엄이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접점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크라우드소싱 기반 전시기획의 실천적 양상과 그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국내외의 뮤지엄 전시 사례-부르클린뮤지엄, 경기도미술관, 아르코미술관-를 심층 분석하고 크라우드소싱 기반 전시의 의의와 전망을 세 가지 논점에서 검토하였다. 크라우드소싱의 개념과 이를 활용한 뮤지엄 전시기획이 갖는 의미와 실천에 대한 학술적 논의가 미흡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뮤지엄이 문화적·사회적 플랫폼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심연자탕 가감방으로 호전된 교뇌 출혈 이후 발생한 양측 반신부전마비, 연하곤란, 언어장애 치험 1례

        양지연,정택수,전경륭,옥소윤,선종주,Yang, Jee-yun,Jeong, Taek-su,Jeon, Gyeong-ryung,Ok, So-yoon,Sun, Jong-joo 대한한방내과학회 2017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8 No.2

        Objectives: This case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Chengsimyeonja-tang-gamibang (Gamicheongsim-tang and Cheongsimsunhwal-tang) in a patient with a pontine hemorrhage and quadriparesis, dysarthria, and dysphagia. Methods: A patient diagnosed with a pontine hemorrhage was treated with Chengsimyeonja-tang-gamibang (Gamicheongsim-tang and Cheongsimsunhwal-tang)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 manual muscle test (MMT), modified Barthel index (MBI),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modified Rankin Scale (mRS),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 (MMSE-K), and Articulatory Functional Ability of Achievement Scale were administered. Results: Improvements in the MMT, MBI, NIHSS, mRS, and K-MMSE were observed after the treatment. The MMT grade increased from Rt. 3/3- and Lt. 3/3- pretreatment to Rt. 4/4 and Lt. 4+/4+ post-treatment. The MBI increased from 10 to 50 post-treatment. The NIHSS decreased from 24 to 6 post-treatment, and the mRS fell from 5 to 4 post-treatment. Finally, the MMSE-K increased from 0 to 24 post-treatment. The Articulatory Functional Ability of Achievement Scale also improved.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hengsimyeonja-tang-gamibang can be used to treat the symptoms of patients with a pontine hemorrhage.

      • KCI등재

        교육적 매체로서의 박물관 전시와 의미생성

        양지연 한국문화교육학회 200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2 No.2

        이 논문에서는 박물관의 중심적인 교육 매체인 전시가 의미 소통의 기제임을 규명하고, 소통의 목적인 '의미'의 다충적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박물관의 전시가 전시 기획자의 의도를 관람자에게 전달하는 전통적인 형태를 넘어 관람자의 해석과 가치를 적극적으로 담아냄으로써 열려진 개념의 의미 생성(meaning-makmg)을 지향하기 위한 실천전략을 탐색하였다. 첫째, 관람자가 전시의 의미를 해석하고 소통하는 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전시에 적용하기 위해 박물관 실무자와 연구자들이 학습, 인지, 커뮤니케이션 이론 등을 전시 개발 및 연구에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둘째, 관람자와 커뮤니티가 전시 개발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전시개발 체제를 모색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시각문화 접근에 따른 전시물의 범위 확장에 주목하고 다양한 유형의 전시물을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관람자가 전시로부터 다양한 의미를 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표적인 전시 해석매체인 전시장 텍스트의 효과를 제고하고 해석의 개방성을 강화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seum exhibition as an important educational medium. With the focus on the 'meaning' which museum exhibitions make and convey, concepts of the meani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ur concepts of the meaning relevant in museum context, presented by Silverman. Museum exhibitions have traditionally been the medium which transmitted the intentions of curators to the visitors. More recently, however, concept of the meaning of exhibitions and the way museum communicate about them are changing. Each visitor or community supply another meaning by bringing their own interpretation and values to the encounter with the objects in a museum exhibition. "Meaning-making" came to refer the situation that visitors/communitie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lanning and interpretation of exhibitions. Thus, to explore the way that museum exhibitions could make more expanded and deeper meaning, four areas of strategies were proposed. First, museum professionals involved in exhibition development should recognize the educational aspects of exhibitions and try to incorporate leaning theories and communication theories in their exhibition development. Second, the system of exhibition development needs to change to assess and engage needs and values of diverse communities. Third, more attentions should be paid to the utilization of representational objects to supplement the meaning of original and authentic objects in exhibitions. Finally, exhibition texts should be improved in their quality and content in order to engage visitors' values and interests.

      • KCI등재

        미술품 시가감정 인력(art appraiser) 양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양지연,손차혜 한국예술경영학회 2023 예술경영연구 Vol.- No.65

        미술시장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이 되는 미술품의 시가감정은 진위감정과 구분하여 체계적인 교육과 자격요건에 따라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하는 영역이다. 최근 도입된 미술품·문화재의 물납제로 인해 제도적으로도 미술품 시가감정의 전문성과신뢰성이 긴요해지고 있으며 인력의 직업화가 논의되고 있는 시점이나, 인력 양성을 위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미술품 시가감정 인력(art appraiser) 양성 현황과 수요, 역할(직무) 및 핵심 역량, 그리고 인력 양성 방안의 포괄적인 연구 문제를 탐색했다. 해외 선진 사례 검토와 국내전문가 질적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인력 양성의 논의점을 첫째, 미술품 시가감정인력 양성의 구체적 수요와 전제, 둘째, 미술품 시가감정 인력의 직명 통일, 셋째, 미술품 시가감정 관련 용어 및 실무 가이드라인 정립, 넷째, 직무·역량을 바탕으로한 단계적·체계적 교육과정 설계, 다섯째, 자격 제도 도입 여부, 마지막으로 정부·산업계·학계의 상보적·협력적 역할 측면에서 제시했다. 본 연구는 미술품 시가감정의 실무 기반과 학술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실증적 자료에 기초해 미술품시가감정 인력 양성의 방향성을 탐색하여 향후 미술품 시가감정 제도 및 인력 양성정책 수립의 토대를 마련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Ca 테스트를 이용한 무기 박막들의 수분 투과 특성 조사

        양지연,김화민,김승태,박승환,홍우표 한국물리학회 2006 새물리 Vol.53 No.6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the water-vapor transition rate (WVTR) and the oxygen transition rate (OTR) properties of inorganic thin films to be newly adopted as passivation and gas barrier layers i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and the plastic substrates, respectively. Various diatomic inorganic films, such as SiO$_2$, ZnO, Al$_2$O$_3$, MgO, MgF$_2$, and BaO films, were packed as passivation films around Ca cells on glass substrates by using an electron-beam evaporation technique. When these Ca cells were exposed in ambient atmosphere, the water vapor that penetrated-through the passivation layers was adsorbed in the Ca cells, resulting in a gradual progression of the transparency in the Ca cells, which was represented by changes in the optical transmittances in the visible range. By comparing the saturation times at which the Ca cells become completely transparent in the atmosphere, we estimated the degree of protection-againsr water vapor peretration provided by the various passivation films. Most of the diatomic inorganic films show little barrier effects for water vapor and oxygen, which was due to the loose microstucture of the films deposited by using electron beam evaporation. Thus, an inorganic thin composite film consisting of a glass former (SiO$_2$) and the glass modifier (ZnO) was prepared as a passivation layer or a gas barrier. We found that the composite films provided superior protection against water vapor peretration compared with that of the diatomic inorganic films. We also found that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permeation of water vapor through the oxide films were the polarizability and packing density, and that the composite film deposited on a PES substrate had a WVTR value below 10$^{-3}$ g/m$^2$-day and an OTR value below 10$^{-3}$ cc/m$^2$-day by using the Mocon test. 본 연구에서는 OLED의 봉지막 또는 플라스틱 기판의 가스 차단막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무기 박막들의 수분 또는 산소 투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자선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SiO$_2$, ZnO, Al$_2$O$_3$, MgO, MgF$_2$, and BaO와 같은 다양한 이원자 무기 박막들을 유리 위에 형성된 Ca cell의 봉지막으로 증착하였으며, 이들을 대기 중에 방치하면, 대기 중의 수분이 봉지막을 통과하여 Ca cell에 흡착되면서, Ca cell은 점진적으로 투명해진다. 이 과정을 대기 노출 시간에 따른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율의 변화로 나타내었다. 대기 중에서 Ca cell이 완전히 투명해질 때까지의 시간 (포화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Ca cell 위에 증착된 봉지막들의 수분 투과 방지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자선 증착에 의한 대부분의 이원자 무기 박막들은 그들의 성긴 구조로 인해서 수분과 산소 투과 방지에 대한 별다른 효과를 보여주지 않는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유리 형성자인 SiO$_2$에 유리 변형자인 ZnO를 혼합한 무기 복합 박막을 봉지막 또는 가스 차단막으로 제작하였다. 무기 복합 박막은 이원자 무기 박막들에 비해 월등한 수분 또는 산소 투과 방지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분석한 결과 수분 투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는 무기 박막들의 극성과 박막 밀도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PES 기판 위에 증착된 무기 복합 박막에 대해서 투습율과 투산소율을 측정한 결과 Mocon 장비의 측정 한계인 10$^{-3}$ g/m$^2$-day와 10$^{-3}$ cc/m$^2$-day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