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악과두부에 발생한 골연골종의 구내 접근을 통한 종물 제거 및 재건술: 증례보고

        양재영,임대호,Yang, Jae-Young,Leem, Dae-Ho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2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4 No.5

        Osteochondr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benign tumors that occur in the bone, but in the head and neck region, osteochondroma appears rarely. Malocclusion, temporomandiublar disorders and facial asymmetry can occur in most cases with osteochondroma of the mandibular condyle. Most surgeons prefer massive removal of osteochondroma and reconstruction of condyle, simultaneously, to prevent various complications, such as a lateral open bite on the contralateral side. We report a surgical treatment and reconstruction of osteochondroma on a mandibular condyle through intraoral approach.

      • KCI등재

        한국 목조건축의 삼중량(三重樑) 가구(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한국건축역사학회 2008 건축역사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of the framed structure with triple beam. 61 existing buildings with the triple beam structure were selected and analyzed extens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described in detail like below. The triple beam structure is used in the highly graded and symbolized building like the Buddhist sanctum and the Confucian sanctum. And the triple beam structure was chiefly used in $1600{\sim}1800's$. Generally, 1 Koju-type with Toikan(退間) is applied to the triple beam structure. Despite of the sameness of framed structure,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rear Toikan(後退間) is used in the Buddhist sanctum and the front Toikan(前退間) is used in the Confucian sanctum. This different application of the Toikan(退間) resulted from the different spatial characteristics which reflect function and grade of the building. The application of Sangjungdori(上中道里, upper purlin) and two Danyeon(短椽, short rafter) is a necessary consequence, because Jungbo(중보, middle beam) is located between Daebo(대보, beam) and Jongbo(종보, small and high located beam) as an additional member of frame. And these ar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framed structure with triple beam. The triple beam structure is formed in a transitional period, as the result from eliminating the inner high-column from the 2 Koju and double beam structure. Though the Daebo is longer, the structure is more stable. But the rate of application of the triple beam structure is low, because it does not exceed the double beam structure in merits. Some of buildings with the triple beam structure has the asymmetrical characteristic in design, which is appeared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낙우송(Metasequoia glyptostroboides)으로부터 분리한 flavonoid의 금속단백분해효소-9 발현 억제 활성

        양재영,이호재,고영희,권병목,전효곤,Yang Jae-Young,Lee Ho-Jae,Kho Yung-Hee,Kwon Byoung-Mok,Chun Hyo Kon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2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MMP)는 기저막이나 간질성 조직 등에 있는 세포외기질 성분을 분해하여 상처 치유, 태아의 발생, 종양세포의 침윤과 전이 등을 포함하여 조직이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인 과정 양쪽 모두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MMP-9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천연물에서 탐색하였고, 탐색된 시료 중에서 높은 역가를 가진 낙우송과의 Metasequoia glyptostroboides가 선택되었다. 여러 가지 flavonoid 성분을 가지고 있는 Metasequoia glyptostroboides를 이용하여 4개의 biflavonoid와 2개의 monoflavonoid 구조의 물질을 분리하였고, 이 flavonoid들은 sciadopitysin, isoginkgetin, bilobetin, 2, 3-dihydrohino-kiflavone, luteolin, apigenin으로 정제하여 구조를 밝히고 zymography, WST-1을 이용한 세포독성시험, northern blot 등의 실험을 통하여 각 화합물의 구조적인 특성과 함께 MMP-9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re a family of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related zinc-dependent enzymes responsible for proteolytic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 such as base membrane or interstitial stroma. MMPs play an important role in a variety of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tissue remodeling processes, including wound healing, embryo implantation,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Since MMP-9 (gelatinase B) has unique ability to cleave type IV collagen, gene expression of MMP-9 has been focused on as a pharmacological target. Flavonoids are a class of compounds that are widely spread in plants. In the coures of screening for the suppressors of MMP-9 gene expression from natural products,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was selected. Six flavonoids, sciadopitysin, isoginkgetin, bilobetin, 2,3-dihydrohinokiflavone, luteolin and apigenin were purified as suppressors of MMP-9 gene expression from M. glyptostroboides. The suppressing activity of the isolated flavinoids on the MMP-9 gene expression was measured by gelatin zymography and Nothern blot analysis.

      • KCI등재

        대학생들의 신체활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재영(Yang, Jae-Young),허승은(Hur, Seung-Eun),박성한(Park, Seong-Han),문황운(Moon, Hwang-Woon) 한국체육과학회 2017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6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relationship of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four different types of self-regulated motivations to intention to exercise. Participants(N=203; 137 male, 66 female)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ir psychological measures at the end of fall semester in 2016.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revealed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ignificantly predicted intention to exercise. Three self-regulated motivations also emerg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intention to exerci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an integrated theoretical framework in the promotion of university students’ exercise behavior.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국내 계통연계기준에 따른 신재생발전기 주파수조정 성능의 전력계통 임계관성 영향 분석 사례

        양재영(Jae-Young Yang),송유훈(Yu-Hoon Song),최우영(Woo-Yeong Choi),국경수(Kyung-Soo Kook),이호일(Hoil Lee),신병윤(Byeong-Yun Shin),이성무(Seong-Mu Lee)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본 논문에서는 국내 전력계통의 주파수제어 운영현황을 고려하여 주파수응답 성능을 신뢰도 기준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관성에너지의 임계수준을 산정하여 보고 향후 국내 전력계통에 수십 GW 규모로 연계될 신재생발전원이 계통연계기준에서 요구되는 주파수조정 성능을 제공할 경우 이를 통한 임계관성의 영향을 사례연구로써 분석하였다.

      • KCI등재

        평화선 논쟁의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양재영(Jae-Young Yang),이윤철(Yun-Cheol Lee) 한국해사법학회 2018 해사법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1952년 ‘ 평화선 선언 ’ 에 대한 관련국가 간의 논쟁과 주요 쟁점을 분석하여 평화선 선언의 법적 정당성을 규명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평화선 선언은 일제강점기를 전후로 이어져온 일본의 한반도 연안 어장 침탈에 대응하여 한반도 인접해양에 한국의 관할권을 선포한 조치였다. 하지만 평화선 선언 이후 한국은 일본, 미국, 영국, 중화민국 등 국가로부터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치게 되었다. 한국과 관련국 간의 평화선 논쟁은 크게 두 가지의 쟁점에서 논의되었다. 첫 번째 쟁점은, ‘ 평화선은 영해선인가?’였고, 두 번째 쟁점은 ‘ 평화선이 공해어업에 관한 국제법을 위반했는가?’ 였다. 두 가지 쟁점에 대한 분석 결과, 평화선은 한국 정부의 입장, 후속 법률의 내용, 별개의 영해제도 시행 등을 고려했을 때 영해선이 아니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그리고 평화선 선언은 당시 새롭게 변경된 공해어업에 관한 국제관습법에 부합하는 조치였으며, 현재의 배타적 어업수역과 EEZ의 창설에 기여한 ‘법창설적 효력’ 을 지닌 관행으로 평가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평화선 선언은 당대의 국제법에 부합했으며, 현대 국제해양법의 발전에 기여한 관행으로 인정받아야 하는 것이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regal justification of the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in 1952, by analysing the arguments among related countries on the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and its main issues. The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act of despoiling of coastal fishing ground of Korean Peninsular which was continued by Japan since colonial era, was an action to proclaim the right of jurisdi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over adjacent seas of Korean Peninsular. After the declaration, however, Korean government faced strong opposition from some countries such as Japan, USA, UK and the Republic of China. The controversy among Korea and the related countries derived from two major issues: the first issue was whether the Peace Line is a borderline of territorial waters, and the second was whether the Peace Line violates international law on the high seas fisheries. The research on two issues forms conclusions that the Peace Line was not territorial sea line, regarding the stance of Korean government, content of follow-up legislations and the existence of different system of territorial sea. Furthermore the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accorded with customary international law on the high seas fisheries, which was amended at the time. It could be also regarded as a practice which has the effect of the establishment of law in the case of establishment of Exclusive Fishing Zone and EEZ. From these points of view, the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corresponded with international law of the time and should be considered as a practice, which contributed to progress of Law of the Sea.

      • KCI등재

        힙합과 아시안 아메리칸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소고

        양재영(Yang, Jae Young) 한국대중음악학회 2010 대중음악 Vol.- No.5

        미국에서 음악 혹은 문화로서 힙합의 생산과 소비는 더 이상 아프리칸 아메리칸 흑인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하지만 다양한 인종과 민족의 청년집단들이 힙합 문화의 주체로 활약하고 있음에도 아시안 아메리칸(아시아계 미국인)들은 여전히 힙합의 주변인으로 간주되는 게 현실이다. 이는 주류 언론과 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아시안 아메리칸에 대한 편견의 탓이 크다. 가령, ‘흑인도 백인도 아닌’ 애매한 인종적 특성과 주류사회에서 구축된 ‘모델 마이너리티(model minority)’ 이미지 등을 이유로, 아시안 아메리칸은 기존 힙합 문화의 ‘마치스모(machismo)’적인 태도에 맞지 않는 인종 혹은 종족(ethnic) 집단으로 단정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러한 편견과 부정에도 힙합 음악과 그 문화적 표현물들은 미국 내 대도시를 중심으로 아시안 아메리칸 청년집단의 새로운 문화적 실천 코드로 자리 잡고 있다. 이 글은 이들 새로운 세대 아시안 아메리칸들이, 특히 주류 음악산업 바깥에서 힙합 문화와 음악의 실천에 개입하는 과정과 방식을 살피고자 한다. 샌프란시스코 베이에리어를 중심으로 진행된 필드워크와 리서치를 바탕으로, 아시안 아메리칸 청년집단이 하나의 지역 하위문화로서 힙합의 수용과 생산에 관여하는 과정과 그 실천의 가능성을 살펴볼 것이다. 아울러 힙합의 다양한 문화적 표현물과 이벤트를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재전유’함으로써 이들이 자신의 복잡한 정체성을 표현하거나 재고하는 과정과 방식도 다루고자 한다. 힙합 문화와 그 공동체가 일반적으로 아시안 아메리칸 청년집단을 배제해왔음을 고려할 때, 힙합의 소비 혹은 생산에 개입하는 과정이 아시안 아메리칸 청년들의 인종, 혹은 종족 정체성 형성과 어떤 연관을 맺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흥미로운 인류학적 주제가 될 것이다. It is not surprising that both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hip-hop music and culture are no longer confined to African American youth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among those non-African Americans, it seems still uncomfortable to relate Asian Americans to hip-hop. Mainstream journalism explains that such an oddity is mainly due to their race and ethnic identity of “neither White nor Black,” while their ‘model minority’ image does not fit well with the typical ‘machismo’ attitude of hip-hop culture. Regardless of such a preconception, hip-hop music and its related cultural expressive forms have developed to become a new way of cultural practice for Asian American youth, particularly in metropolitan areas where Asian American populations are heavily concentrated. I examine how Asian Americans have been engaged and involved in the cultural practice of hip-hop. Based on my fieldwork research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it is focused on what are the meaning and the potential of popular music reception and production of this youth group as a subculture. I will also explore how, by reappropriating various cultural expressive forms and events in hip-hop, the younger generation Asian Americans in the local can express and negotiate their complex ident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hip-hop culture’ and its community have been dominated by non-Asian American youth, it would be interesting to observe the complicated identity formations of Asian Americans in terms of race and ethnicity through both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hip-ho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