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활동에 대한 학부모 인식

        양소현,이미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학연구 Vol.51 No.2

        This study examined the awareness of parents on leisure of adolescen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tal 106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frequent leisure activities of their children were ‘watching TV’ in hobby․refinement area. There were ‘using smartphone’ in recreation․socializing area, ‘going to the movie theater’ in appreciation․seeing area, and ‘jogging and taking a walk’ in health․sports area. Mos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joyed their leisure activities with their family members in their houses. Whereas, they wanted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were ‘preparing food’ in hobby․ refinement area, ‘conversation with friends’ in recreation․socializing area, ‘going to the movie theater’ in appreciation․seeing area, and ‘jogging and taking a walk’. Parents thought that the general meaning of leisure is that the time of playing or having fun. In addition, the biggest personal challenge that disturb leisure of their children was ‘the impossibility of independent traveling of their children’ and the biggest environmental challenge was ‘absence of persons who can support their children’s leisure activities’. The developments for the leisure of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ddressed as ‘expanding the leisure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chools’, ‘improving the atmosphere of sharing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local communities’. In Addition, a lot of parents didn’t know about the presence of curriculum on leisure i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they felt the necessity of curriculum on leisure to make them to live meaningful postsecondary lives. Finally, with these results, school-wide leisure programs should be provided and the atmospher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needed to be fostered.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중․고등학교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발달장애학생 학부모 106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청소년은 ‘취미․교양’의 경우 TV보기, ‘오락․사교’의 경우 스마트폰 조작, ‘감상․관람’의 경우 영화관, ‘건강․스포츠’에서는 조깅․산책을 주된 여가활동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가정에서가족과 함께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또한 학부모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 시간을 놀거나 즐기는시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녀가 참여하길 기대하는 여가활동으로 ‘취미․교양’의 경우 음식 만들기, ‘오락․사교’의 경우 친구와 대화하기, ‘감상․관람’의 경우 영화관, ‘건강․스포츠’에서는 조깅․산책을언급하였다.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활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독립적인 이동 불가능, 여가활동을 함께할 사람의 부재를 들었으며, 자녀의 여가활동을 개선할 방안으로는 학교 차원의 다양한 여가프로그램확충과 지역사회 차원의 분위기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보호자를 위한 지원 실태 및 개선 방안: 장애인 보호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양소현,이미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학연구 Vol.57 No.4

        본 연구는 장애인 보호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보호자 지원의 실태 및 개선 방안을 살펴보기 위하여 장애인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11명의 장애인 보호자가 설문조사에 응답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자료는 기술통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장애인 보호자는 장애인을 돌보는 데 하루 10시간 이상을 할애하고 있었다. 장애인 보호자는 장애인 보호자를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지원을 경험하지 못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의 보호자가 경험한 지원은 교육적, 심리・정서적, 의료적, 일상 및 사회활동 지원 영역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애인 보호자들은 장애인 관련 정보 전달 체계의 확립 및 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정보 제공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토대하여 장애인 보호자 지원을 위한 다양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수공학 활용의도에 관한 구조 분석

        양소현,이미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on behavior intention of the structure ofinstructional technology of teachers who working at the special schools. School-wide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of fellow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regarding instructional technology were selected as variables by investigating preceding researches.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e.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311 teachers who works at special school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chool-wide social support did not affect the behavior intention of instructional technology of teachers at special schools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social support of fellow teachers affected the behavior intention of instructional technology of teachers at special schools positively through full mediation of attitud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teaching efficacy affected the behavior intention of instructional technology of teachers at special schools positively through full mediation of attitud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orth, attitude regarding instructional technology highly affected the behavior intention of instructional technology of teachers at special schools positive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consequence, discussions for this research were laid for the practical schools. First, to increase the social support of fellow teachers, research groups of teachers are needed to share the information and emotional support among teachers. Second, to increase the teaching efficacy, the opportunities of training and self-development regarding using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utilizing instructional technology strategies in class are needed. Third, the lectures of successful cases regarding instructional technology in class are needed to promote the positive attitude of teachers who working at the special schools.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수공학 활용의도에 관한 구조를 분석하고자,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31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교수공학과 관련된 학교차원의 사회적지지,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 교수효능감, 교수공학 관련 태도를 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구조를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차원의 사회적지지는 특수교사의 교수공학 활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는 교수공학 관련 태도 변인을 통하여 특수교사의 교수공학 활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은 교수공학 관련 태도 변인을 통하여 특수교사의 교수공학 활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공학 관련 태도는 특수교사의교수공학 활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의 적용 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부재 척도(ACSS-FAD) 타당화 연구: 노인을 대상으로

        양소현,서장원 한국건강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8 No.5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부재 척도(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Scale-Fearlessness About Death: ACSS-FAD)는 자살의 대인관계 이론에서 자살실행력의 구성요소인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부재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부재 척도(ACSS-FAD)를 노인 450명에게 실시하여 ACSS-FAD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 450명을 대상으로 ACSS-FAD 척도의 내적 일치도를 확인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ACSS-FAD 척도의 요인구조를 살펴보았다. 또한 ACSS-FAD 척도의 성별에 따른 측정동일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살에 대한 공포, 통증 불안, 신체적 염려, 우울과의 상관 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ACSS-FAD 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은 원척도와 동일하게 1 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른 측정동일성을 확인한 결과, 측정동일성 또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렴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변인들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ACSS-FAD 척도는 자살에 대한 공포와 통증 불안, 신체적 염려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변별타당도를 살펴보았던 우울과는 유의하지만 약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Scale-Fearlessness About Death(ACSS-FAD) is a measure that assesses the absence of fear of death, which is a component of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in the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ACSS-FAD with a sample of 450 elderly individuals. The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CSS-FAD by assessing its internal consistency and conduc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explore its factor structure in the elderly population. Furthermore, a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ACSS-FAD across genders. Finall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xamined by correlating the ACSS-FAD with measures of fear of suicide, pain anxiety, physical concern, and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ACSS-FAD demonstrat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one-factor structure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scale.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genders was also confirmed, indicating that the scale measures the same construct in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For convergent validity, the ACSS-FA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fear of suicide, pain anxiety, and physical concern. However, for discriminant validity, it exhibited a significant but weak correlation with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Ga,Al)이 도핑된 ZnO를 투명전극으로 가진 Cu(In,Ga)Se<sub>2</sub> 태양전지에 수분이 미치는 영향

        양소현,배진아,송유진,전찬욱,Yang, So Hyun,Bae, Jin A,Song, Yu Jin,Jeon, Chan Wook 한국태양광발전학회 2017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Vol.5 No.4

        We fabricated two different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thin films of ZnO doped with Ga ($Ga_2O_3$ 0.9 wt%) as well as Al ($Al_2O_3$ 2.1 wt%) (GAZO) and ZnO doped only with Al ($Al_2O_3$ 3 wt%) (AZO). It was investigated how it affects the moisture resistanc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In addition, $Cu(In,Ga)Se_2$ thin film solar cells with two transparent oxides as front electrodes were fabrica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humidity resistance of transparent electrodes and device performance of solar cells was examined. When both transparent electrodes wer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distilled water, they showed a rapid increase in sheet resistance and a decrease in the fill factor of the solar cell. However, AZO showed a drastic decrease in efficiency at the beginning of exposure, while GAZO showed that the deterioration of efficiency occurr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at the long term moisture resistance of GAZO was better.

      • KCI등재

        2022 개정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전자 저작물 편찬 지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양소현,이미숙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4 특수교육 Vol.2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2022 개정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전자 저작물 편찬 지침 초안 적합도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 일치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집필 경험이 있거나 심의 혹은 검토 경험을 지닌 특수교육 전문가 10명을 델파이 조사 패널로 선정하여 2차에 걸쳐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전자 저작물 편찬 지침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전자 저작물의 개발 방향, 전자 저작물의 형태, 전자 저작물의 구성 체계, 전자 저작물의 내용 선정 및 조직, 전자 저작물의 저작권 보호 방향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높은 수준의 합의도 및 수렴도를 보였다. 하지만 전자 저작물의 미래 활용성을 고려한 전통적인 형태(일방향)의 전자 저작물 지양, 클라우드(웹사이트) 형태의 전자 저작물 배부, 교사의 원활한 전자 저작물 활용을 돕기 위한 통일성 있는 전자 저작물의 형태 제시가 제안되었고, 의미가 모호한 지침의 삭제 등이 제안되었다. 결론: 언제 어디서든 접근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 저작물이 제공되어야 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이 용이한 전자 저작물 편찬 지침이 개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llective opinions of special education experts on the publication guidelines for digital content of 2022 Special Education Textbooks using a Delphi technique. Method: A total of 10 special education experts with previous experience in authoring or reviewing special education textbooks were members of the Delphi panel and shared their opinions in two rounds of the survey. Results: Each guideline across the areas of directions for publication, formats, content structures, topics and organizations, and copyrights for digital content of 2022 Special Education Textbooks showed high levels of agreement and convergence. However, some suggestions included sharing digital content on a cloud-based platform (e.g., websites), using a unified format of digital content for teachers’ ease of use, and deleting ambiguous publication guidelines. Conclusion: Digital content for 2022 Special Education Textbooks should be accessible anywhere using a cloud-based platform, and the content should facilitate the restructuring of the curriculum. Also, the publication guidelines should be written clearly.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공학 연구동향

        양소현 ( So Hyun Yang ),이미숙 ( Mi Suk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에게 적용되는 교수공학에 관한 연구들이 어떠한 흐름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요 학술정보 사이트에서 국내 학술지 논문을 검색하여 수집된 1994년부터 2013년까지의 175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학생에게 적용되는 교수공학에 관한 연구는 주로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지난 20년간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 이외의 일반교육과 공학 관련 학술지에서도 이러한 연구가 게재되는 횟수가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공학 관련 논문에 사용된 연구방법은 실험연구와 문헌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2000년대 이후부터는 개발연구, 조사연구의 수가 증가하는 등 연구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었다. 분석 대상 논문에서 교수공학과 관련하여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용어는 CAI, ICT에서 디지털교과서, 스마트러닝으로 변화되어가며 다양해지고 있었다. 분석 대상 논문에서 제시된 장애유형은 주로 정신지체와 학습장애였으며, 최근에는 청각장애, 시각장애, 자폐성장애 등 다양한 장애유형을 다루고 있었다. 특히, 장애학생의 교수공학과 관련된 실험연구에서는 읽기이해와 의사소통을 주요한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rticles regarding the instructional technolo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figured out 175 articles which were from 1994 to 2013. The articles were analyzed by the area of the journal, research methods, key-words, types of disabilities, and dependent variable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most of the articles about the instructional technolo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s related to the special education, but there were some articles published from different academic areas such as educational technology or general technology.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of the articles were experimental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However, the number of the articles using the survey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not enough. The key-words used in the articles were changing from CAI, ICT to Blended learning, s-learning, etc.. The prominent types of disabilities in the studies w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The prominent dependent variables in the experimental researches were communication and read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