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크래치를 활용한 초등학교 맞춤형 음악창작 프로그램 개발

        양소영,최영미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한국초등교육 Vol.34 No.3

        이 연구는 컴퓨팅 사고와 창의적 사고를 기반으로 교육용 코딩 프로그래밍인 스크래치를 활용하여맞춤형 음악과 창작 영역의 수업 방안을 모색한다. 문헌 고찰을 기반으로 교육용 프로그래밍 스크래치를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창작 수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팅 사고와 연계하여 음악과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음악을 중심으로 특히 창작 영역에서 컴퓨팅 사고, 즉 음악 창의적 사고 함양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둘째, 음악과 교육과정에 새롭게 대두된창작 영역에 관한 수업 방법을 탐색한다. 미래 디지털 기반 사회로의 대비를 위한 디지털 소양 능력을강조하는 이때 스크래치는 학생에게 디지털을 사용하여 맞춤형 수업 형태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수업을 선택하여 참여할 기회를 마련해 준다. 셋째, 창작 수업의 수준별, 단계별내용을 확인한다. 디지털을 활용하여 음악창작 수업이 활용되는 예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무궁무진하게 발휘될 수 있는 학생의 창작 범위를 재고찰하고 무분별한 디지털 도구 재생이 되지 않도록 수준별, 단계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미래 디지털 기반 사회, 지능정보화사회 등 사회 곳곳에서 인공지능을 외치는 현시점에서 음악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을 음악 중심에서 비판적으로 살피고 인간고유의 특성을 살려 음악을 우리 삶에 한 부분으로 삼을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differentiated music courses and creative classes using the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Scratch, which is based on computing and creative thinking.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music courses in connection with computing thinking. In other words, it suggests a way for enhancing creative thinking in music, i.e., creative computing thinking. Second, this paper explores creative courses that have newly emerged in music education. Recently, scholars have emphasized the need for digital literary in a digital-based future society. Scratch provides students with differentiated courses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offers them opportunities for selecting their courses and thus self-directing their music education.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creative courses according to grade. Specifically, it reviews the scope for students to use their creativity in such courses. In addition, it assesses course contents by grade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digital technology. Curr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come a common component of society, and it will continue to remain central in a future digital-based an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review digital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education and identify methods for integrating music as a part of human life in consideration of human characteristics.

      • KCI등재

        기초 음악성 신장을 위한 초등학교 3․4학년 단계별 통합 활동 방안 연구

        양소영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2

        이 연구는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새롭게 바뀐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를 가지고 초등학생의 기초 음악성 신장을 위한 단계별 통합 활동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초 음악성은 기능을 갈고 닦기에 앞서 향상시켜야 할 어린이들의 전반적인 기본․기초 음악 능력이다. 이를 위해 수업 내용과 활동에 있어 단계적․통합적 접근은 음악 교과의 특성을 살리고 수업 전체의 연계를 계획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기초 음악성 신장을 위해 종적으로 고든의 기능학습연계를 수업 전체의 단계별 틀로 삼고 횡적으로 교육과정에서 꾸준히 강조되고 있는 이해와 활동 영역의 자연스런 통합을 시도함으로써 초등수업에서 단계별 통합 활동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김윤성 초기시에 나타난 공간 이미지 연구

        양소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硏究 Vol.- No.73

        His early poetry consists of plain and usual poetic words. In this respect, rather, the insight into the life and the fundamental problem are located in his early poetry. First of all, the sea appears in his early poetry. The sea is a unknown space that is beautiful and bright on the surface and that transcends everything. This point overwhelmingly approaches to the narrator and makes us feel a sense of distance. Eventually, the narrator does not identify with the sea and merely looks at the sea. The intensity of the sea that appeared in his early poetry makes the narrator dark and depressed. However, this initial poetry tends to intend something hopeful and a positive inner beyond the gloomy aspect. This is possible through the space of an alley. The alley in his early poetry becomes an open space full of life harmonizing with “children” and “magnolia flowers”. In this space, the narrator finds the “eternal joy”. This means that a positive inner is formed through the alley. However, his initial poetry is still lonely and depressing. The ‘mountain’ shown in his initial poetry is below the infinite space of the sky, and this may be also linked to divinity and transcendence. In addition, the mountain shown in his poems is associated with a “fountain of eternal time”, This time inside the acid is present beyond the boundaries of life and death. The mountain in this time will exist beyond the boundary life and death. But, this makes the narrator feel human limitations. 그의 초기시는 평범하고 일상적인 시어들로 이루어졌다. 오히려 이런 점에서 삶에 대한 통찰과 근본의 문제가 자리하고 있었다. 특히, 그의 초기시에는 바다, 산, 골목 등 공간과 관련된 표현이 비교적 많이 나온다. 김윤성은 공간을 중심으로 자아와 대상의 관계를 역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이는 그의 내면세계와 관련되며, 김윤성 초기시에 나타난 공간을 연구하는 것이 그의 시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기도 하다. 우선, 그의 초기시에는 바다라는 시어가 나온다. 바다는 표면적 으로 아름답고 환하고 모든 것을 초월하는 미지의 공간이다. 이런 점은 화자에게 압도적으로 다가오며 거리감을 느끼게 만든다. 결국, 화자는 바다와 동화되지 못하고 그냥 바다를 바라만 볼 뿐이다. 이런 점은 화자 자신을 “작은 보따리”(「바다」)에 비유하며 비애와 소극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준다. 시인에게 바다는 자유로운 존재의 사유를 제약한다. 즉, 초기시에 나타난 바다의 강렬함은 화자를 슬프고 우울하게 만든다. 하지만 이런 초기시에도 우울한 면을 넘어서 무언가의 희망과 긍정적인 내면을 지향하는 면도 있다. 이는 골목이라는 공간을 통해서 가능하다. 그의 초기시에 나타난 골목은 “아이들”과 “목련꽃”으로 생명력이 넘치는 공간이 된다. 이런 공간에서 화자는 “영원한 기쁨”(「골목 안에서」)을 찾는다. 이는 골목을 통해 긍정적인 내면을 형성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이는 그가 느꼈던 비애와 외로움이 극복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초기시는 고독하고 슬프다. 그의 초기시에 나타 난 ‘산’은 하늘이라는 무한한 공간 아래 있으며 이는 신성함과 초월성과도 연결시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그의 시에 나타난 산은 “영원히 남는 시간의 샘”(「산」)과 연결되며, 이런 시간 속의 산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어 존재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화자에게 인간의 한계점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화자는 대상과의 거리감을 갖게 되며, 자신의 비애, 고독을 다시 한 번 느끼게 한다. 그 결과, 시인은 긍정적인 내면을 확립하지 못한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그의 초기시는 슬프고 고독한 정서를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선천성 시청각 장애 환자에서 점자법을 이용한 기계환기기 이탈 -증례 보고-

        양소영,최용선,박진하,고신옥 대한중환자의학회 2011 Acute and Critical Care Vol.26 No.1

        To achieve adequate depth of sedation and assess the severity of pain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ppropriate communication with the patients is necessary. Communication is also important for successful weaning from the mechanical ventilator as well as weaning predictors, such as respiratory muscle capacity. Here, we present a case report of a 39-year-old man with congenial blindness and hearing impairment who successfully weaned off ventilator support using Braille to communicate under an optimal level of sedation and analgesia after septic shock management.

      • KCI등재

        만학도의 대학 교양영어 과목에 대한 선호도 연구—실용영어와 대학영어

        양소영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22 영어영문학21 Vol.35 No.4

        This research investigates not only the perceptions of adult Kore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who start college at the age of 26 or over, in terms of two different general English courses, but also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preferences. Twenty-nine adult learners who have taken both Practical English and College English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Data from pre- and post-surveys and in-depth individual or group interviews with 15 adult learn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e surveys indicate that adult learners slightly prefer Practical English. However, the findings of the interviews show that the participants want both kinds of courses because of a sense of achievement, culture acquisition, usefulness in everyday life and travel, English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nd teaching methods. The findings support the necessity of culture-related reading courses implementing Content-based Instruction and Critical Literacy for adult beginners.

      • KCI등재

        주거의식변화에 따른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설치현황 및 특성 연구

        양소영,문정민,조성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소비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이 변하고 주택시장이 자유화되면서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춘 커뮤니티시설은 다양화, 대형화, 고급화로 공급되고 있으며, 거주지의 가치를 결정짓는 잣대가 되었다. 그러나 마케팅수단으로 커뮤니티시설을 보급하고 사전계획 전무, 현실과 다른 공동시설의 법 규정 등으로 인해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은 빈 공간으로 남아 공간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의식에 대한 거주민의 요구를 수반하며, 공동주택의 새로운 주거트렌드를 나타내는 커뮤니티시설의 개념과 변화를 바탕으로 광주광역시 공동주택단지 커뮤니티시설의 설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커뮤니티시설의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주거의식변화에 따른 커뮤니티시설의 변화를 파악하여 키워드를 도출한다. 그 후 커뮤니티시설의 유형을 재분류하고 특성을 도출하여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역을 중심으로 2013년 이후 완공된 500세대 이상의 규모를 가진 단지 6곳을 사례로 한정하여 분석한다. (결과) 주거의식변화에 따른 커뮤니티 시설의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첫째, 주민화합교류의 공간은 단지 중앙의 독립적 건물로 배치되거나 커뮤니티센터에 위치하여 시설간의 연계로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동선을 유도하고 있었으나 출입구의 시각적 인지가 낮아 메시지 및 개방감을 확보하여 장소에 대한 접근이 요구된다. 둘째, 문화교육의 공간은 지하 내 운동시설과 함께 배치되어 있으며 소규모의 공간을 다목적으로 활용하고 취미와 연계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거주민들의 문화접촉기회를 증대시킨다. 셋째, 자연적 휴양의 공간은 단지 중앙이나 주거동 주변에 배치되어 있으며 녹지, 친수, 휴게가 복합적으로 작용될 때 그린 어메니티를 향상시키고 모임, 대화, 놀이 등의 다양한 행위를 유발한다. 넷째, 즐거움건강증진의 공간에서 실외는 단지 내 분산배치 되고, 실내는 지하 1층에 집중배치 되어 있으나 안전하게 시설을 활용하기 위해 출입구부터 차도와 보행로 분리가 요구되며 공통적으로 의자나 벤치의 휴식공간을 제공해 편의를 도모해야 한다. (결론) 주거의식변화에 따라 다양한 커뮤니티시설이 공급되었지만 사용계획이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양적으로 제공하는데 급급함을 알 수 있다. 양적확보가 아닌 질적 활용으로 커뮤니티시설이 계획되어야 하며, 정기적으로 공간이 사용될 때 거주민들이 소통하고 공동의 가치와 커뮤니티가 실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초점을 두고 진행함에 따라 지역적 한계를 지니며 향후 거주자들의 인식도, 수요특성 등의 설문조사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정한모 후기시에 나타난 자연 이미지 양상 연구

        양소영 문학과환경학회 2017 문학과 환경 Vol.16 No.4

        The late poems of Jeong han mo shows the emotions of loneliness with his early poetry. In the early days, emotions of solitude emerged due to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In the late period, the emotion of solitude was expressed by industrialization and capitalism. In particular, the solitude of late poems was possible through the sea. In "My Loneliness", "Hyeonhaetan" gives a deep reflection on the speaker's own existence. the special emotions of the night sea give negative emotions to those who are more dreaming. In this sense, the "Hyeonhaetan" makes a lonely and deficient self-image of self and the crack of the world. However, Late Poetry has a positive and hopeful world view in his world. This was possible through trees. In other words, the poet showed through the tree the life force, the intention of the pure, which he sought in his poetic world In "tree", "tree" is "bloomed with leaves that are smoother than flowers" and "dazzling". This shows the natural state of pure life. In addition, this tree "fell through the thick wall of rocks and pierced the root" and "the roots of life went down underneath". This represents a stronger vitality in response to the exhaustion of life. And thus, the poet's life consciousness expressed through the wind with the tree. the dynamism of the wind in Late Poetry abolished the dual boundary of self and the world and made the poet a positive and active sense of purpose for life. If the sea formed him a lonely and lonely self, the wind made "always free" and made an active inner consciousness that could be lifted upright in the outskirts of justice. The earth has meaning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life, and it is implied to death. So, from the smell of soil, "the origin was earth," the speaker thought through the soil the circle of life. Also, the vitality of soil is in common with the basic meaning of women. In the "most secret", there is darkness in the place where the speaker is, but it is warm and stable because it is in the mother's body. In other words, the mother's body has specific nutrients that mental activity requires, and through this nutrient, the speaker finds emotional stability. The late poems of Jeong han mo creates his own lyric poetry by completing a positive and hopeful poetry world. 이 논문의 목적은 정한모의 후기시를 자연이미지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정한모 후기시에는 일상적이고 평범한 자연물들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자연은 산업화와 자본주의 여러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이상적인 공간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정한모는 자연물을 통해 반문명적인 목적으로 표현하기보단 세계에 대해 투쟁하고 극복해야 하는 견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그는 자연물을 통해 생명력을 회복하며 강인한 정신 세계를 구축하며 어떤 시련에도 이겨내는 긍정적인 내면 세계를 얻게 된다. 우선, 그에게‘바다’의 원초성은 주체성의 결여를 만들며 고독한 자아의 모습을 간직하게 한다. 특히,‘현해탄의 밤바다’는 화자에게 고독과 적막을 확인시켜 주었다. 그러나 후기시에 나타난‘나무’를 통해 시인은 내면의 상처를 치유하며 견고한 자아를 형성하고자 한다. 나무는 꽃보다 소담하게 피어나 그 어떤 것보다 눈부시다. 이는 자연 본연의 생명 상태를 잘 보여준다. 게다가 이 나무는 두꺼운 벽을 비집고 헤치며 뿌리는 내리는 질긴 생명력을 보여준다. 이는 생명력이 소진한 사회에서 더욱 강한 생명력을 추구하고 싶은 시인의 마음이다. 그에게 자연 자체는 아름답고 이상적인 공간이기 보다 극복하고 이겨낼 수 있는 힘을 만들어 주는 대상이다. 시인은‘바다’에서 경험했던 내면의 상처를 나무를 통해 치유하며 세계에 대항해 나갈 수 있게 된다. 시인의 견고한 의지는 나무뿐만 아니라 바람을 통해서 더욱 발전된다. 바람의 역동성은 화자에게“폭풍우 몰아치는 칠흑의 바다에서 스스로의 불빛으로 길을”(「바람이 불어온다」) 찾게 한다. 또한 화자에게“언제나 자유”를 외칠 수 있게 하며 “정의의 외길 위에서 꼿꼿하게 치켜들”수 있는 긍정적인 내면의식을 만들어 주었다. 바람의 역동성은 자아와 세계의 경계를 가볍게 허물어 버리며, 그 결과 시인은 불안한 내면 세계를 극복하며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시 세계를 정립하게 된다. 흙은 생명의 시작과 끝의 의미가 있고 죽음까지 내포되고 있다.「흙냄새」에서“원점은 흙이었다.”며 화자는 흙을 통해 생명의 원환을 생각하게 했다. 원점은 모든 것을 초월하게 만드는 지점이다. 또한 흙의 생명의 원천이자 귀결은 모성과 상통한다.「가장 은밀했던」에서“모든 것은 어둠 속에”존재하지만“어머니와 교신”은 그 어둠마저 빛으로 만든다. 이는 생명력의 정점을 보여주며 평화와 융합, 초월을 내포한다

      • KCI등재

        2022,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양소영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3 한국교육논총 Vol.44 No.3

        Follow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 2022 revised curriculum was announc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investigates the 2015 and 2022 revised music curricula for elementary schools from diverse perspectives When the table of contents was compared, redundant goals and characteristics were grouped and sorted in an organized and uniform manner. In addition, the content structure and the value and attitude of achievement standards were further expanded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compared wkth the 2015 revision. In terms of text-mining-based emphasis, term frequency, and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contexts similar to current social situations, such as competence, category, trans-curriculu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2022 revision. Through such research activitie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due to rapid social chang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music curriculum further. Second, a study should be conducted on how to evaluate the value and attitude categories. Third,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must be critically reviewed. With regard to academic background, social context and the use of terms in such a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continue amending and upgrading the particularity and generality of the curriculum through continued studies.

      • KCI등재

        음악역량 함양을 위한 창의적 사고과정 기반 초등음악창작수업 사례 개발

        양소영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4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mentioned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refers to ability to apply knowledge to new situations, not to just use it as it is. In such new circumstances, self-directed and active courses are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plans music creation courses and apply them step by step (perception, train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reative thinking process- based creative creation course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competencies in music. During the perception stage, students learn basic music concepts through ‘listen and sing along’ and ‘learn rhythm’ and experience simple physical expressions. In the training stage, based on whey they obtained from the perception stage, students express rhythm or melody patterns in the staff or iconic scores and sing a song in a chord. Lastly, ‘composition’ is a creation stage. Students’ creative thinking processes can be observed through diverse activities such as music making, singing and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In terms of implications acquired from the above case, students should be given an opportunity to free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encouraged to take part in courses with confidence. Furthermore, teachers are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a type of class organization and support students’ activities. To help students build creativity, in addition, all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cluding actual acts should be applied to creation cours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competencies in music, there should be continued studies on how to put it into practice. 새롭게 고시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언급하는 역량 중심 교육은 지식을 고정적인 것이 아닌 새로운 상황에 활용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하는 것으로, 학생의 자기 주도적이고 적극적 수행 과정을 강조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과정 기반 창작 수업 모형인 <감지>, <숙련>, <구성> 단계에 따라음악창작 수업을 계획하고 단계별로 적용해 보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첫째, 자기 주도적 능력을 기르는 데 체계적 과정을 제시해 준다. 둘째, 학생의 적극적 참여와 친구와의 협동 등 적극적 수행 과정및 협업을 실천할 수 있다. 셋째, 모둠별 창의적 산출물 분석을 통해 창의적 사고 과정과 발전 과정을 관찰할수 있다. 넷째, 수업 진행 시 문제 상황에 부딪혀 잘 해결되지 않는 경우, 서로 의견 충돌이 생겨 다툼이 생길경우 등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음악 역량 함양을 위한 창의적 사고과정 기반 초등음악창작수업을 통해 학생의 내재된 지식을 적극적인 사고 경험과 상호작용으로 실천하고, 이러한 학생의적극적 수행 활동 과정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지속적으로 학교 현장에 실현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김명순 시에 나타난 생태여성주의 특성 연구

        양소영 문학과환경학회 2019 문학과 환경 Vol.18 No.1

        이 논문의 목적은 김명순 시에 나타난 생태여성주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면서 김명순 시 세계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분석하는 데 있다. 김명순은 초기시에 저항적인 작품을 창작하였다. 저항적인 작품은 조선 사회의 남성 질서에 대한 적극적인 거부의 자세를 의미한다. 그녀는 ‘두 팔에 힘을 내뽑는 것’(「싸움」)처럼 적극적으로 사회에 대응한다. 또한 나와 수리의 동일시(「귀여운 내수리」)는 주체를 더욱 사회 중심으로 올려 놓고 시대와 현실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하게 만든다. 생태여성주의에서 자연과 여성의 동일시는 여성들에게 자연에 지배받는 수동적 객체보다 능동적인 주체로 남성보다 우월한 존재로 여긴다. 수리와 나의 동일시를 통한 능동적인 주체성은 “조선의 민중 너희는 피땀을 흘리면서 같이 살 길을 준비하고 너희의 귀한 벗을 맞으라”처럼 민족의식으로까지 확장된다. 능동적인 주체성은 더욱 남성적인 사회에 적극적인 대응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시인은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저항시를 남기기보다는 모든 관계의 연대성을 강조하면서 새로운 세계를 꿈꾸게 된다. 「언니의 생각」에 나타난 언니는 꽃을 통해 열매를 맺게 하는 주체이자, 꽃을 피었다 지게 하는 생명의 영속성을 주관한다. 언니의 생명력은 우리를 깨우는데 깨운다는 것은 모든 관계를 초월하게 하는 능동적인 주체성을 지향하게 한다. 또한 시인은 ‘빨간 열매’(「옛날의 노래」)와 ‘황금 열매’(「남방」) 에 나타난 열매의 생명과 영원성을 통해 능동적인 주체성을 더욱 강조하게 되며 현실에 대한 불신을 공격적인 노출이 아니라 연대성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찾으려 한다. 이런 점은 생태여성주의 특성을 강조하는 부분이다. 나와 애인이 해방의 노래를 통한 자유와 해방의 동지적 연대(「고혹」), 모든 생활의 시초와 우리 역사의 연대(「오오 봄」) 등은 타자와 연대를 통한 남성 중심 사회를 거부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이를 통해 그녀는 현실을 자유롭게 직시하면서 새로운 세상을 꿈꾸게 된다. 후기시에서 김명순은 자연과 더욱 교류하면서 나라는 존재가 독립된 존재가 아니라 자연과 교류하는 관계적 자아를 보여준다. 관계적 자아는 인간과 자연과의 상생과 조화를 관여하며 더욱 자아와 타자의 관계를 초월하며 포용과 승화를 하게 된다. 마지막에 ‘무지의 원’을 통해 시인의 여유로움과 평화스러움이 확장되고 존재의 확장은 어머니를 통해 더욱 견고하게 되며 그 결과 모든 경계를 초월하게 된다. 키워드: 저항시, 동일시, 열매, 연대성, 관계적 자아, 포용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world in a variety of ways,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ecotomism that appeared in the city of Kim Myeong-soon. Joseon literati looked at her as a morally promiscuous woman, constantly calling her Tang-nyuh. Kim Myung-soon thought of it as an attack on himself and a new woman and created a resistant work in the early days to escape their criticism. A resistant work means an active rejection of the male order of the Joseon society. She actively responds to society, such as "pulling out forces on both arms" ("fights"). Also, the same view of repair with me ("Pretty domestic demand") puts the subject more centered on society and makes me think about the times and realities in detail. Ecofeminism The nature and the identification of women in women as active than passive objects that controlled the entire body in the natural than men as superior intelligence. The active identity of the people of Joseon, such as "You prepare a way to live together by sweating blood and greet your precious friend," extends to the national consciousness. Active identity is an active response to a more masculine society. However, the poet dreams of a new world by emphasizing the solidarity of all relationships rather than leaving a protest poem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The older sister in "Another's Idea" is the main source of fruit through flowers, and presides over the permanence of life that causes flowers to bloom and grow. Your sister's vitality awakens us, and awakens us toward an active identity that transcends all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life and eternity of the fruit in the Red Fruit ("formerly Song") and the Golden Fruit ("Southern") accentuates the active subjectivity, which the poet seeks to find a new world through solidarity, not through strong but aggressive exposure. This is where we emphasize the nature of ecotomism. The camaraderie of freedom and liberation ("tortured") by me and my lover through songs of liberation, the beginning of all life and the solidarity of our history ("Oh spring") are another way of rejecting a male-dominated society through batters and solidarity, and through which she dreams of a new world while facing the reality freely. In his later poems, Kim Myung-soon further interacts with nature, showing that the nation is not an independent being but a related self that interacts with nature. The relational self is involved in the coexistence and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transce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and batter, and engaging and sublimating. At the end of the day the poet's composure and peacefulness are extended through the circle of ignorance, and the expansion of existence is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mother, thereby transcending all boundaries. Keywords: when resisting, equal to, fruit, solidarity, relational self, embr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