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징경관으로서의 고지도 연구

        양보경(Bo-Kyung Y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지도와 지도에 표현된 내용이 상징 경관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조선시대의 세계지도인 <<천지도>>와 <<천하도>>는 동양 고대로부터 조선후기까지의 세계관이 담긴 심상지도이다. 조선의 세계지도에는 조선을 상대적으로 크게 그리고, 군현지도 중에는 지도의 위쪽이 북쪽이 아닌 다른 방위로 표시하기도 하며, 서울에서는 도성을, 지방에서는 읍치를 크게 그려 강조하고, 읍치를 지도의 중앙에 그리며, 하나의 지도에 중심부와 주변부의 축척을 서로 다르게 표현한 지도들이 존재한다. 이는 지도제작자와 당시 사람들이 세계 속에서 조선을, 우리 국토 내에서 서울을, 한 지역 내에서는 읍치를 중심으로 생각했던 인식의 상징이다. 또한 국가에서 제작한 지도들은 지도에 대한 국가적 이념화를 보여 준다. 이 또한 조선시대의 지도들이 지역과 경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당시의 실제 경관 사이의 대화의 산물이여, 동시에 사회가 공유한 문화와 철학의 표헌, 상상의 산물이며, 정치와 권력의 반영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old maps of Korea can be explained as a symbolic landscape. Cheonji-do(Map of the Heaven and the Earth) was the map reflecting the traditional world view that the heaven and the earth are in the mutual relation. Also, this map could be the mental map embodies the oriental philosophy which believe that the heaven is round and the earth is square. The ancient imaginary countries are expressed through Cheoha-do(Circular Map of the World), the symbolic map of oriental mythology. We can find the perspective landscapes that regard Joseon and China as the center of the world, Seoul as the heart of the country and the administrative center as the hub of the county. Maps of the Joseon Period can be a communication tool imbedded in culture, history, selected perspective as well as the reflection of the politics and the power.

      • KCI등재

        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소장 한국본 고지도 연구

        양보경(Bo-Kyung Yang)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6

        일본 최대의 한국본 고서 소장 도서관 중의 하나인 동양문고에는 풍부한 지리 관련 자료가 소장되어 있다. 지리지(地理志)의 편찬과 개선방안을 기록한 『기인한상량 杞人間商量』을 비롯해 다수의 군현읍지들, 조선 후기 도로와 유통의 발달을 반영한 도로망을 기록한 『해동도리표』 등 다양한 조선시대의 지리 자료들이 소장되어 있다. 동양문고 소장 지도와 지리지 중에는 한국에 소장본이 확인되지 않은 유일본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중요한 지리학적 가치를 지닌다. 특히 지도 중에는 고산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6종을 비롯해 매우 중요한 고지도들이 소장되어 있다. 마에마 교사쿠(前間恭作)의 소장인이 찍힌 고산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와 『수선전도』, 시데하라 다이라(幣原坦) 소장본이었던 20리 방안지도인 『강역전도』와 10리 방안지도인 『동여도』, 정상기의 『동국지도』 유형의 매우 훌륭한 팔도의 도별 지도인 『근구팔역 槿邱八幅』, 해주신본 계열의 『좌해지도 左海地圖』, 특히 함경도와 평안도의 병마절도사를 지낸 이삼(李森)의 서문이 기록된 북방 국경지역 지도인 『관북지도 關北地圖』 등은 조선의 지도 중 역사적 가치를 지니는 자료를 선별하는 안목을 지닌 수집가에 의해 소장된 자료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도들로서, 한국의 지도학 발달사를 보충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The Toyo Bunko (東洋文庫) in Tokyo, Japan is one of the largest library that holds the Korean old geographical documents. About 200 topographies of counties and prefectures, including Giinhansangnyang 杞人間商量 which recorded compil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the geographical annals belong to it. Several maps and geographical annals of Joseon Period possessed in the Toyo Bunko are set high values on geography since the materials are only belong to it and have not yet been found in Korea. There are very important map collections including six copies of Daedongyeojido 大東輿地圖(1861, 1864) by Kim Jeongho(金正浩) and Suseonjeondo 首善全圖 by Kim, Jungho, collectible stamp of Maema Kyosaku(前間恭作) is imprinted on it, and Gangyeokjundo 疆域全圖 and Dongyeodo 東輿圖 which made with 20-ri and 10-ri grid, owned by Sidehara Daira(幣原坦). Especially Gwanbukjido 關北地圖 which is the northern border map recorded the Lee Sam’s(李森) preface who served as a military official of Hamgyeong and Pyeongan Province in early 18th century. These maps and some other maps have a historical value to supplement of the history of Korean Cartography.

      • KCI등재

        조선 후기 서구식 지도의 수용과 『회입곤여만국전도』

        양보경(Bo-Kyung Y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2 문화 역사 지리 Vol.24 No.2

        조선에서 서구식 지도의 수입과 그에 수반된 세계관의 성찰은 1603년 예수회 소속 이탈리아인 선교사 마테오리치(Matteo Ricci, 1552∼1610)가 한문으로 번역 제작한 『곤여만국전도』의 수입에서 시작되었다. 동물 • 선박 등의 그림이 지도의 여백과 바다에 추가되어 있는 『회입곤여만국전도』는 현전하는 4종 중 중국 남경박물원본, 한국 서울대학교박물관본, 일본 남만문화관본만 완질본이다. 이 가운데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본과 일본 남만문화관 소장본은 조선에서 제작된 본이다. 또한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사진만 남아 전하는 『회입곤여만국전도』도 양주 봉선사(奉先寺)본으로 추정되는 지도이다. 이들『회입곤여만국전도』는 조선 후기에 서구식 세계지도가 조선에서 활발하게 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지도의 발문, 지도의 내용 등을 살펴볼 때 서울대학교박물관본이 초본이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두 본이 완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In Joseon period, it began to adopt the western maps and attendant consideration of the western world-view with importing ‘Gonyeomangukjeondo’, the map produced and translated in Chinese by Italian missionary named Matteo Ricci(1552~1610). There are three complete sets of the original maps titled ‘Hoeip Gonyeomangukjeondo’, each preserved in Nanging Museum of China,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Korea and Naman Cultural Center of Japan, and two of the three Copies - the original version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and Naman Cultural Center - were created in Joseon. Also, it is assumed that the picture of ‘Hoeip Gonyeomangukjeondo’ in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dicates another version of Hoeip Gonyeomangukjeondo which have existed in Bongseon Temple. These facts suggest that many western world maps were actively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Considering the postscript and contents of each version of Hoeip Gonyeomangukjeondo, the complete sets of the map exist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are regarded as the first copy of Hoeip Gonyeomangukjeondo, and other versions are presumed to have been created based on the first copy.

      • KCI등재

        木版本 朝鮮全圖 《海左全圖》의 유형 연구

        양보경(Bo-Kyung Yang),양윤정(Yun-Jung Y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6 문화 역사 지리 Vol.18 No.1

          본 논문은 조선후기에 제작된 木版本 조선전도인 《海左全圖》의 내용과 판본 분석을 통해 지도의 유형과 특정을 파악하고, 조선후기 목판본 지도 제작의 보급과 그 중요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목판본 해좌전도 의 전체 윤곽은 농포자 鄭尙驥의 《東國地圖》 계열의 조선전도와 유사하며, 여러 종의 지도를 종합하여 1857년에서 1859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도는 유사한 크기의 다른 지도에 비해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가능하게 한 가장 큰 특징은 지도 여백에 판각된 註記이다. 《海左全圖》는 세로 1m 정도의 크기로서 휴대용으로 적절하며, 많은 정보가 수록되어 있어 地誌的 요소가 풍부해 지역에 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는 특징을 지녔다. 또한 다량 제작이 가능한 木版本 地圖로서, 비슷한 판본이 여러 차례 제작된 것은 조선시대에 대중적인 지도로 널리 이용되었음을 보여 준다. 총 17장의 《海左全圖》를 대상으로 판본을 검토 분석한 결과 지도의 크기나 형태ㆍ내용은 유사하지만 전혀 다른 3종류의 판본이 있음을 발견했다. 이는 목판본으로 제작된 《海左全圖》가 지도의 대중성과 지도의 내용성을 동시에 만족시켰던 지도임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海左全圖》를 조선 후기의 지도 특히 목판본 지도의 이용과 제작의 확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of the types of the general map Haejwajeondo printed from wood blocks and the importance of woodcut print map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one meter length of wooden plates of Haejwajeondo are thought to be made between 1857 and 1859. The overall style is similar to Jeong Sanggi(1678~1752)-style maps. Haejwajeondo was supposed to be made by assembling different maps. The explanatory notes written in the spaces of the map i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features of the map, and they make the Haejwajeondo includes more information than other maps that are similar in size. A one-meter Haejwajeondo was small enough to carry around and it contained not only a lot of geographic information. Comparing seventeen woodblock print maps of Haejwajeondo led to a finding that they are divided into completely different three types. It shows the map seemed to be used widely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It also demonstrates the importance and increase of the woodblock print maps in late Joseon Period.

      • 경기도 접경지역 문화유적의 지리적 분포

        양보경(Bokyung Yang),박향기(Hyanggi Park)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지리연구소 2013 應用地理 Vol.- No.30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has caused not only the spati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the underdevelopment and the alienation in its adjacent area(the border region) over the past 60 years. However, recently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regions domestically and globally requires more studies i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on the border region, focusing on the border region of Gyeonggi provinc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geographic distribution of cultural relics in Gyeonggi province for the construction of basic spatial data which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can utilize. Regional scales are 9 administrative districts : Ongjin-gun, Ganghwa-gun, Gimpo-si, Paju-si, Yeoncheon-gun, Goyang-si, Yangju-si, Dongducheon-si, Pocheon-si. This study gathers data from the surveys of cultural remains distribution maps and HGIS which have been partially performed in each region. In addition, this study describes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 on the regions by understanding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cultural relics classified as chronological, typ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border region of Gyeonggi province is a cultural and historical landscape itself as well as the essential region historically in political, economical, cultural, and military fields. Furthermore, many of the cultural ruins have been damaged due to the Korean war, access difficulty, and development. Thus, it is necessary to optimize heritage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diversify contents of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border region and introduce advanced exploration techniques for exploring the cultural relic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朝鮮時代 古地圖에 표현된 東海 地名

        양보경(Bo Kyung Y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4 문화 역사 지리 Vol.16 No.1

        This article is to review old Korean maps produced in Chosun dynasty prior to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in 1910 and see how the East Sea, a sea surrounded by the countries Korea, japan, Russia, and China, is described in them. There are many old Korean maps included in the Upchis(邑誌, chorographic records by county) and other general books as well. However, this article will concentrate only on the old maps produced exclusively as a map. Due to the invasions by China in the 13th century, japan in the 16th century, and twice by the Ching Dynasty in the mid 17th centuries limited the number of old maps remaining to date. As most of these existing old Korean maps were produced after the 17th century. The East Sea in these in Chosun dynasty maps are presented in one of the following 8 ways. First, the East Sea appears in the map but without a place name, this type of documentation appears in the greatest number of maps. Second, there is only a direction mentioned as 'East' in the empty space of the sea on these maps. As it has no specific place name, it can be categorized as being similar to the first type of representation in the maps. Third, the maps, where the East Sea is described as Taehae (大海, great sea)', 'Hae (海, sea)', Tongjo Taehae (東抵大海, easttoward great sea)', or 'Tongjop Taehae (東接大海, east adjoining great sea). These types of maps comprise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maps. Fourth are the maps, where the East Sea is clearly mentioned as 'Tonghae (東海, East Sea)'. On the fifth type of map, 'Tonghae' is written on the land, not in the space of the sea. Sixth, these maps describe the sea as 'Taehanhae (大韓海, Great Korean Sea)'. Seventh, these maps describe the sea as 'the Sea of japan' (日本海). Eighth, these maps have unique traditional names such as 'Changhae Uum, a blue expanse of water; Blue Sea)', and 'Tongyanghae (東洋海, the Oriental Sea), As the first and second types of maps have no specific place names, they have been excluded from the analysis of this paper, and the analysis will be from the third through the eighth types of maps. After the 18th century, maps with the East sea mentioned as 'Tonghae' increased tremendously both in number and category. In almost all types of Korean old maps including world maps, general maps, provincial maps, and kun-hyon(county) maps there appears 'Tonghae (East sea), In particular, in terms of map maker, the government mostly produces the maps referring to the East Sea as Tonghae. As time goes by, a growing number of maps described the East Sea as 'Tonghae.' Beside, though small in number, it is noteworthy that they refer to the East Sea as blue sea, 'oriental sea', 'great Korea S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