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련 해체 이후, 한국 전통춤을 통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재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양민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4 한국문화연구 Vol.27 No.-

        This article investigates Korean’s migration processes to Russia from the mid-19th Century, their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n St. Petersburg, Russia. And then, examines the change of Korean-Russian’s attitude to the South-Korean culture with the acceptance of South-Korean culture and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which was started from the Post-Soviettimes. Furthermore, when they contact and accept South-Korean culture, they can reproduce new korean culture. In this process, the glocalizaton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has occurred. This phenomenon can regard as one of the global model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mind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to vitalize studies on Korean dance activities in the Korean diaspora’s culture. Objects of this study are members of Korean Youth Cultural-Educational Center <NAN> in St.Petersburg, Russia, who learn South-Korean culture(Korean, Korean traditional dance, Samulnori etc.). Including 9 adult dancers, who learn and perform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from 1 year to 10 years at the dance company <SOUN>, which was founded in 2003. The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a literature research, 2 questionnaire polls(2008, 2011) and 2 semi-structured interviews(2008, 2011). 본 논문에서는 소련 해체를 기점으로 시작 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 및 한국 전통춤의 수용과정과 향유방식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소재한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한인들의 러시아로의 이주과정과 그들의 문화 그리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인들의 특징을 통해 한국문화 수용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들의 한국문화 향유방식을 센터 <난>에서 한국문화(한국어, 전통무용, 사물놀이 등)를 배우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2회(2008, 2011)를 통해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2003년에 창단된 한국전통무용단 소운에서 활동하는 러시아 한인 및 러시아인들과의 반 구조화된 면담 2회(2008, 2011)를 통해 한국 전통춤이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 전통춤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뿐만 아니라, 이를 그들만의 문화로 재생산 하는 과정 속에서 한국 전통춤 활동의 현지화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한국 전통춤의 세계화 현지화 모델의 한예로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 전통춤의 중요성을 되집어 보고, 한국문화 연구에 있어서 재외한인들의 전통춤 활동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1950-60년대 소비에트 콜호스의 스포츠와 유라시아 지역의 초국가적 축구 문화 연구: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한인 콜호스 FC 폴리톳젤을 중심으로

        양민아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2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6 No.1

        This study examines the Kolkhoz sports and football culture of the Soviet Union in the 1950s-60s. As a transnational sports culture, the author investigates how football culture was accepted and formed in the Korean Kolkhoz Politotdel in the upper-chirchik district of the Tashkent region, Uzbekistan, Eurasia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FC Politotdel. After World War II, the Soviet government’s sports promotion policy in Kolkhoz was implemented in earnest for the two purpose: to reconstruct the country and to prove the superiority of the socialist system by winning international sports competitions. Football was the most popular spectator sport among Soviet citizens and one of the transnational Soviet cultures that could foster a transnational Soviet identity. In the 1950s-60s, Hwang Man-geum, the president of Korean Kolkhoz Politotdel in the Tashkent region, Uzbekistan, was interested in nurturing sports activities. In 1959, as a professional football club, FC Politotdel was founded and it placed third in the 1966 All-Soviet Football Championship class 《А》. The role of Korean Kolkhoz FC Politotdel in Uzbekistan is: First, formation of a positive image of Koreans in Uzbekistan and the USSR; Second, revitalization and expansion of football culture in Uzbekistan; Third, An incubator for training professional Korean sportsmen. Fourth, improvement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 of Korean football culture. 본 연구는 1950-60년대 소비에트 콜호스의 스포츠와 초국가적 스포츠 문화로서 축구 문화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소비에트 축구 문화가 유라시아의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상치르치크 지역의 한인 콜호스 폴리톳젤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형성되었는지 FC 폴리톳젤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 정부의 콜호스 스포츠 진흥 정책은 국가 재건과 국제 스포츠 대회에서의 우승을 통한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 증명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위해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축구는 소비에트 시민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관람 스포츠인 동시에 소비에트 정체성을 함양할 수 있는 초국가적인 소비에트 문화 중 하나였다. 1950-60년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한인 콜호스들은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 활동을 시도했다. 그중 폴리톳젤 콜호스의 대표 황만금은 스포츠 활동 육성에 관심을 갖고 콜호스 내 축구 경기장을 비롯한 스포츠 시설을 확충하였으며, 1959년 FC 폴리톳젤을 창단하였다. FC 폴리톳젤은 프로 축구 구단으로 1966년 전 소련 챔피언십 클래스 《А》에서 3위에 오르는 쾌거를 올렸다. 우즈베키스탄의 한인 콜호스 FC 폴리톳젤의 역할은 첫째, 우즈베키스탄 및 전 소련에 한인들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형성; 둘째, 우즈베키스탄 축구 문화의 활성화와 저변 확대; 셋째, 한인 전문 축구인 양성의 인큐베이터; 넷째, 한인 축구 문화의 양적·질적 수준 향상이다. 이처럼 1950-60년대 우즈베키스탄 한인 콜호스 FC 폴리톳젤의 축구 활동은 현재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축구 문화의 근간이 되었으며, 한인들의 축구 능력 향상과 축구 영웅을 배출하여 소련 사회에서 한인의 위상을 재편하는 역할을 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의 연령별 및 지역별 생활시간 사용과 만족도: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양민아,박지혁,원경아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ifestyle types for Koreans’ time use through the 2014 National Time Survey. In this 2014 national life time survey data, the required maintenance time, mandatory time, and free time presented in the triangle model were divided into three areas, and compared and analyzed by age and region. In this type of lifestyle, teenagers, people in their 20s and 50s were given reasonable life-seeking, people in their 30s and 40s were given achievement-seeking, and people in their 60s, 70s and 80s were given passive real-life seeking. The required maintenance time of each regional lifestyle activity was Jeonbuk, Ulsan, and Gangwon took up the most time during free time.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each ag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 while the satisfaction level of each region was the highest in Daejeon and the lowest in Ulsan. The satisfaction level for each lifestyle type was higher, followed by rational life pursuit, achievement pursuit and passive reality. It seems that systematic research on lifestyle will be needed in future studies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areas of tim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leisure characteristics, and type of lifestyle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 국민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한국인의 연령별, 지역별 생활시간 사용형태에 대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2014년 국민생활시간조사 자료 중 주 행동의 시간만을 사용하여 삼각형 모델에 제시된 필수유지시간, 의무시간, 자유시간 총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연령별 및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령별 라이프스타일 유형에서 10대, 20대, 50대는 합리적 생활추구형, 30대, 40대는 성취추구형, 60대, 70대, 80대 이상은 소극적 현실직시형을 차지하였다. 지역별 라이프스타일 활동 시간 중 필수유지시간은 전북, 의무시간은 울산, 자유시간에서는 강원이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였다. 연령별 만족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지역별 만족도는 대전이 삶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울산이 가장 낮았다.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삶에 대한 만족도는 합리적 생활추구형, 성취추구형, 소극적 현실직시형 순으로 만족도 점수가 높았다. 앞으로의 연구에서 생애주기별 접근과 여가의 특징에 따른 분류, 라이프스타일 유형 세분화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문자발달과정을 설명하는 범언어적인 이론과 문자간 철자발달의 비교연구 Review

        양민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3

        한글은 표음문자체계(alphabetic orthographic system)이다. 표음문자는 글자가 말소리를 표시하도록 만들어진 문자체계를 일컫는 것으로, 글자가 의미를 표시하는 표의문자와 구분되는 개념이다. 대표적인 표의문자로서 중국의 한자가 있고, 우리나라의 한글이나 미국과 영국이 쓰는 영어, 히브리어, 일어 등이 표음문자에 속한다. 표음문자들은 소리를 표시하는 글자를 가진다는 공통점을 가지고는 있지만, 표음문자들 간의 서로 다른 특성 또한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같은 표음문자를 배우기 때문에 한국 아동이 한글을 배우는 과정과 미국의 아동이 영어를 배우는 과정에는 공통점이 있기도 하지만, 한글과 영어의 고유한 특성 때문에 다른 발달양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언어마다 다른 문자지식의 발달의 양상을 아는 것은 영어를 비롯한 다른 나라의 문자교육에 관련된 논문을 읽을 때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언어의 국경을 넘어선 범언어적인 이론과 규칙에 대한 이해는 우리나라 아동의 철자발달을 연구하고 설명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표음문자들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는 이론들 중에서 아동의 문자 발달의 차이를 잘 설명하는 최근의 이론들을 짚어보고, 여러 다른 문자들의 철자발달과정을 비교하여 밝힌 논문들을 review하기로 한다.

      • KCI등재

        상호문화시대 문화접경 공간으로 광주 고려인마을에서 공연예술 활동의 의미: 중앙아시아 스토리텔링 퍼포먼스 <나는 고려인이다>를 중심으로

        양민아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46

        본 연구는 먼저 상호문화시대에 문화접경 공간으로 광주 고려인마을의형성 과정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자치 문화 예술 활동으로 고려인마을에서 활동하는 문화 예술단체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려인들의역사를 담은 중앙아시아 스토리텔링 퍼포먼스 <나는 고려인이다>를 사례를통해 광주 고려인마을에서의 공연예술 활동의 의미와 시사점을 규명하는것이다. 연구방법론은 문헌연구와 함께 부가적으로 반구조화 된 면담(공연창작자: 연출가, 움직임 연출가, 드라마투르그), 포커스 그룹 인터뷰(공연출연자들)를 사용하여 문헌연구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였다. 2017년 중앙아시아 고려인 강제이주 8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고 초연된 중앙아시아 스토리텔링 퍼포먼스 <나는 고려인이다>는 광주의예술인들 최영화 총연출, 윤경미 프로듀서, 박선욱 안무 감독 등의 제작진과배우들 그리고 시민들과 더불어 고려인마을과 지역의 국립아시아문화전당그리고 호남대 3기관이 협력하여 공동 제작한 공연으로 6년간 8회의 공연을통해 지역 사회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남겼다. 첫째, 대한민국 사회의 구성원으로 고려인을 홍보하고 이들의 문제를 공론화; 둘째, 지역 공연의 브랜드화 가능성 제고; 셋째, 고려인들의 역사와 문화를 근간으로 한 상호문화콘텐츠; 넷째, 지역 예술인들에게 지역의 문제에 관심을 갖는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 대표작품으로서의 면모를 갖춘 선례로 평가받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Koryeoin(the Russophone-Korean) town in Gwangju as a cultural contact zoneduring the Intercultural era. It investigates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active in this town. Lastly, It identifies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performing arts activities in Gwangju Koryoin town, focusing on the CentralAsian storytelling performance <I am Koryeoin>.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is literature research, and as secondary research methodology, semi-structured interviews (performance‘s creators: director, choreographer, dramaturg), andfocus group interviews(actors) are used. The Central Asian storytelling performance <I am Koryeoin>, which premieredin 2017 as part of the project commemorating the 80th anniversary of theforced migration of Koryeoin to Central Asia, was co-produced by theRussophone-Korean town, the local National Asia Culture Center, and HonamUniversity. Through eight performances per 6 years, the following implicationswere left to the local community. First, to inform the Korean society of theexistence of Koryeoin and publicize their problems; Second, to enhance thepossibility of regional branding performances; Third, to make interculturalcontents based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Koryeoin; Fourth, to providean opportunity for local artists to take interest in local issues. This performanceis evaluated as a precedent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representativework of the region.

      • KCI등재

        The Formation Process of Soviet Koreans' Transnational Identity as New Soviet Citizens from the 1920s to the 1930s: The Physical Cultural Activities in Primorye as Recorded in the Soviet Korean Newspaper Sunbong (Avant Garde)

        양민아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2020 Pacific Focus Vol.35 No.2

        As a multiethnic country, the early Soviet regime had to create a transnational identity, and it did so by arming Soviet citizens with socialism as a means to integrate the diverse ethnic groups in the country. Physical cultural activities were used as one of the tools to create this transnational identity. These early Soviet policies affected the local ethnic minority of Soviet Korean people in Primorye, USSR. As a communist party organ, the Soviet Korean newspaper Sunbong (Avant Garde) was the primary source used to observe the Soviet Koreans' Sovietization from 1923 to 1937 (from the birth of the USSR to the Soviet Korean Deportation). According to Sunbong, Soviet Korean physical cultural activities are classified into four main types: (i) socialist education for youth; (ii) national defense; (iii) health and hygiene; and (iv) presenting the new Soviet Korean Dano physical culture day. Therefore, Soviet Koreans focused on physical cultural activities to form a transnational identity – these activities served as a barometer of Soviet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while simultaneously presenting and maintaining the Soviet Koreans' ethnic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