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Prospective Teachers’ No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심미경(Mikyung Sim) 한국비교교육학회 2011 比較敎育硏究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미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재 교사교육계에 다문화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각국의 10명의 예비교사를 선정, 심층면접을 기반으로 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각 나라의 사회 문화적 차이를 반영하는 듯 이들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다문화교육의 요소들에도 몇몇 차이점들이 발견되었으나 이들 모두가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었으며 각자의 교수방법이나 학생들을 대하는 태도에 진정한 배려와 친밀감이 내재되어야 비로소 진정성 있는 다문화교육이 행해진다는 믿음을 공유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한국과 미국 모두 여전히 초보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당연히 거쳐야 하는 일종의 통과의례로서 치부해 버리는 경향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하고 있는 교사교육 현실도 가늠할 수 있었다. 이는 많은 교육현장 전문가들이 앞으로 교사교육기관들이 현장실습/교생실습 교육에 있어서 기술적/훈련적인면보다는 좀 더 내면적인 성찰면에 주의를 기울여야함을 주장하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세계화와 다문화의 시대에 있어 현장실습이나 교생실습에 있어서도 다문화교육에 대한 실습적인 면에서의 성취 이상의 내재적인 의미의 가치를 부여해 줄 수 있을 때 비로소 예비교사들은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에도 자신의 교육목표에 수반된 각종 전략과 교수 기술에 관한 문제점, 예비교사 자신의 지식 등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인 것까지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교육기관들이 먼저 문제의식을 가지고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갖는 경험과 배경 그리고 삶의 목적에 따라 다문화교육 속에서 보다 능동적인 의미형성을 이룰 수 있도록 하려는 교수활동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필요함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This paper describes a study that examined the no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perceived by prospective teachers in Korea and the U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data are reported and excerpts from teacher narratives are used to illustrate the findings. The analysis of these qualitative data concludes that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rospective teachers’ beliefs about ME. That is, these novice teachers’ understandings about what constitutes ME in their classroom vary, but they also generate a similar coherent theme. Further, it showed that school context can significantly influence teachers’ beliefs about ME, and further that the way teachers make meaning of ME tends to be the result of their active adaptation to each given school context.

      • KCI등재

        공자의 가르침과 평생교육

        심미경 ( Sim Mikyung ),김인규 ( Kim Ingyu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0 동양문화연구 Vol.33 No.-

        이 논문은 ‘공자의 가르침과 평생교육’에 대해 논한 글이다. 주지하다 시피 공자는 일생동안 배움을 실천한 인물로, 15살에 학문에 뜻을 둔 이래 70세에 이르기까지 배움은 그의 전 생애를 관통하는 여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열 집의 마을에 반드시 충(忠)과 신(信)이 나와 같은 사람이 있을 것이나, 자신 만큼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없다.”고 스스로 단언하였듯이 배우는 것을 싫어하지 않고, 가르치는 데 게을리 하지 않았다. 아울러 공자는 배우는 목적을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 또는 자신의 출세를 위한 배움 보다는 자기 자신의 인격도야를 위한 배움인 ‘위기지학(爲己之學)’을 강조하였다. 무엇보다 공자는 배우는 자세에 있어서도 ‘억지로 알려는 것보다 좋아하고, 좋아하기보다 즐기라’고 하였다. 이러한 학문 자세로 인문학 전반인 문(文)과 말보다는 실천을 강조하는 행(行), 자기 자신에 있어 충심을 다하는 충(忠), 남에게 믿음을 주는 신(信)을 주된 내용으로 제자들을 가르쳤으며, 그는 자신의 서당에 가르치는 형식교육은 물론 제자들과 주유천하(周遊天下) 하면서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는 무형식교육을 통해 평생교육 실천한 인물이었다. This thesis discusses the teaching of Confucius and lifelong education. Confucius is well known as he practiced his learning through the life. At the age of 15, he did set his heart on learning and he continued his learning until he reached the age of sevent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his lifelong journey was focused on learning. As he affirmed that no one would like to learn as much as he did, he liked to learn and he taught faithfully as well. Besides, he did not learn just to show others or to achieve his own success. He emphasized ‘Self-cultivating learning’ which is a learning for one’s own personality. Above all, in relation to the attitude of learning, Confucius said that “Let’s like it rather than force it to know, and enjoy it rather than like it” With this genuine academic attitude, he taught his students about ‘the humanities in general,’ ‘action emphasizing practice,’ ‘loyalty to be faithful.’ and ‘trust to give faith to others.’ In addition to the formal education to teach in his own school, he and his students traveled around the world and practiced informal education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ithin this context, he was a person who truly practiced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성인학습자 전담 단과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사례연구

        심미경(Sim, Miky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의 장기 참여대학인 ‘가’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도입 사례를 질적 연구 방법론을 이용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 수집은 2021년 7월부터 12월까지 5개월여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 이루어졌으며,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주요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가’대학은 다른 사업 참여대학들과 마찬가지로 선행학습경험인정제(RPL), 원격교육 및 야간, 주말 수업 병행, 블랜디드 수업 방식 등의 성인친화형 학사 운영을 규정화하고 있었으며, 최근에는 ‘가’대학 성인학습자들의 높은 평균 연령대와 기초학력수준 차이를 고려한 교양교육과정을 마련하는 성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양교육과정의 도입 과정에서 나타난 대학의 탑다운 방식의 행정 관행과 사업평가를 염두에 둔 보여주기 식 운영, 그리고 성인학습자 전담 단과대학의 전공불일치 교원들의 전문성 부재로 인한 질 관리 문제 등은 최근 선행연구에서 제기된 성인친화형 학사제도 유연화 이면의 교육의 질에 대한 우려와 일치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이런 문제점들을 시정하기 위해서는 ‘가’대학이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평가를 받는 만큼 사업 주관부서의 평가에 현장 목소리가 반영될 필요가 있으며 평가위원 역시 사업 운영 경험자들로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아직 성인학습자 특성에 부합하는 교양교육은 무엇이며 어떤 교육과정 과 교육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본격적으로 펼쳐지지 않은 성인학습자 대상 교양교육 연구 분야에 있어서 새로운 논의의 장을 펼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operation case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und at ‘A’ university, a long term participating university of the ‘Lifelong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the Future Education Project.’ For this study,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and the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five months. As a result of the study, we found that ‘A’ university, like other universities involved in this project, has been trying to establish a flexible academic system, such as a RPL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Experience), on-line education, night and weekend classes, and blended education. Moreover, ‘A’ university recently made a progress in preparing a liberal arts curriculum, tailored to adult learners as it took into account the age of adult learners and the level of their basic academic ability. However, several problems were also found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is type of liberal arts curriculum. The first problem was the university’s top down operation with administrative practices. And The second problem involved issues pertaining to quality in the management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hese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the recent concerns rais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the Future Education Project’ need to consider the gap between the ideal goals found in the project and the realistic needs of adult learners enrolled in a liberal arts curriculum.

      • KCI등재

        사회통합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심미경(Sim, Mi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주민들을 위한 지역 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조사 연구의 일환으로서 사회통합 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여성결혼이주민들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인식과 교육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꾸준한 여성결혼이주민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부산 경남 지역의 지역거점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135명의 여성결혼이주 민들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초에서 12월 초까지 약 한 달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여성결혼이주민들은 사회통합프로그램의 교육이 한국사회에 대한 이해 및 적응도에 큰 도움이 된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교육 커리큐럼 자체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이 교육받는 운영기관에 대해서는 좀 더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사회통합교육 프로그램과 다문화관련 타 교육 프로그램이나 사후 교육 간의 연계성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사회통합 교육 대상자들을 위한 보다 공적인 채널구축을 위한 노력과 정책마련의 필요성도 함께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articipants of the social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describe their satisfactions and constraint of their learning experience in the program. Through the survey, this study analyzed the participants’ perspectives on what kind of aspects of the education program proved to be helpful and what kind of support proved to be needed during their learning. Besides the constructed survey questions, by analyzing collected data from open-ended semi-constructed questions, this study tried to capture genuine voices of the participants underlying their meaning making of their learning in a different cultural contex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a way to generate practical suggestions for improving education program and the overall support system for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itself and the relevant policies.

      • KCI등재

        미국 다문화 정책이 한국 다문화 사회통합 정책과 다문화교육 개선에 주는 시사점

        심미경(Sim, Mi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의 갈등기를 겪은 후 비교적 안정적으로 다문화모형을 실행해 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미국을 배경으로 현재 성공적으로 평가받는 지역의 다문화정책과 사회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이론적 분석틀로서 다문화주의에 기반을 둔 미국 다문화모형을 논의하고자 미국의 다문화주의를 큰 맥락에서 살펴본 뒤 그에 따른 정책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둘째, 미국 다문화 프로그램 현장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지역에서 성공적인 정책 프로그램으로 평가받고 있는 사회통합 교육 프로그램들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미국의 다문화정책 중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이념적으로 다문화주의에 확고한 기반을 두고, 다양한 가치와 문화 의 상호존중과 평화공존 이라는 핵심가치를 이루기 위하여 제도적으로 끊임없는 수정과 개선의 노력을 하고 있었다. 또한, 실질적인 차원에서도 다문화의 대상을 전사회 구성원으로 광범위하게 정하고 평생 교육, 국제이해교육, 세계시민교욱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확대하여,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광의의 다문화 정책을 펼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다문화 사회 통합 정책이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방향에 대한 제언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multiculturalism and policies in the US have been evolving to find out what they imply and suggest for the Korean society which is now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endeavor, the author of this study first reviews the multicultural history and major US policies. Then introduces several multicultural programs offered in C City in MA, the US. Especially for this second part of study, the author conducted a series of interviews with three local American professionals who are familiar with those programs in C C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ree major suggestions on the operation of proper multicultural policies stand out. First, the change of assimilation-based policy model to multiculturalism-based policy model.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official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ll of society members including main stream people, and thir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support programs for immigrants. First and foremost, in order to advance to a better multiculturall society, it was pointed out that changing consciousness toward diversity was urgently needed. It was also necessary to improve and enhance overall bureaucratic system in a practical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