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의 기질이 어머니와의 상호작용과 사회정서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혜진(Shin, Hyejin),김영희(Kim, Yeonghee)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9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on their maternal interactions and socio-emotional competencies. The study involved 348 mothers with children aged between 3 and 5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bility of temperament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socio-emotional competence but did not directly affect maternal interactions. While boys’ activity directly affected reactive and physical maternal interactions, girls’ activity directly affected linguistic, reactive, and physical maternal interactions. While boys’ emotionality directly affected linguistic, reactive, and physical maternal interactions, girls’ emotionality had direct effects on linguistic and reactive maternal interactions. For children of both genders, emotionality had direct effect on socio-emotional competence. Second, while only physical interactions with mothers directly affected the socio-emotional competence in boys, girls exhibited differences in linguistic, reactive, and physical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which directly affected their socio-emotional competence. Third, boys’ activity and emotionality of temperament were shown to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their socio-emotional competence through physical maternal interaction, and sociability was found to have no indirect influence. The activity of girls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ir socio-emotional competence through linguistic, reactive, and physical maternal interactions.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반영한 주거디자인 특성 연구 -“HOUSE VISION Tokyo Exhibition”을 중심으로 -

        신혜진 ( Hyejin Shin ),이재규 ( 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인공지능, 정보통신과 같은 기술의 발달과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1인 가구의 등장 등 사회적, 경제적 변화 요인에 따라 현대인들의 생활 양식이 점점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생활 양식, 즉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주거공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며 전통적인 과거의 생활 양식과는 다른 변화된 라이프스타일을 담을 수 있는 주거공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국내 대형 건설사들도 미래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주거모델에 대한 아이디어 경쟁이 치열하지만 대부분이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홈 열풍으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경 하우스비전 전시 주거모델에 나타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반영한 주거디자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라이프스타일을 넘어 사용자의 삶을 고려한 주거계획의 방향성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먼저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주거계획에 있어 라이프스타일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2000년대 이후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주거계획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주거유형별 특성(첨단기술지향성, 감성지향성, 지역문화지향성, 친환경지향성, 사용자지향성, 관계지향성)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기준으로 동경 하우스비전전시의 주거모델에 나타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주거디자인 특성에 대해 분석한다. (결과) 분석 결과 동경 하우스비전 전시주거모델들은 첨단 주택만을 지향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이와 반대되는 아날로그적 감성과 자연친화적 요소, 지역문화지향성을 반영한 주거모델이 좀 더 많이 전시되었다. 특히 일본의 다도문화, 쾌적한 화장실 문화 등 일본의 주거문화를 반영한 지역문화지향성과 지역의 토속적 재료의 활용, 지역환경과의 조화 등 친환경지향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주거유형별 특성 중 관계지향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주거공간에 반영한다는 의미는 주거를 통해 개인의 가치를 실현하고 개성을 표현하며 철저하게 사용자의 삶에 맞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각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치기준에 의한 삶의 질적 향상 측면에서 주거계획을 생각해야 하며, 단순한 통계적 니즈에 의한 주거계획이 아닌 그 속에 살게 될 개개인의 삶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수반되어야 한다. 즉 사용자를 둘러싼 사회, 문화, 지역 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영위할 수 있는 주거계획을 실행할 때, 사용자의 삶에 초점을 맞춘 주거공간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방향성을 가진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주거계획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social and economic variation factors including technological advanc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advent of single households resulting from a low birthrate and aging society, the lifestyles of contemporary men are becoming increasingly diversified. The changes in lifestyles exert immense influence on housing spaces and the necessity for housing spaces, which can contain lifestyles different from traditional lifestyles, is being suggested. In this light, large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are competing to generate creative ideas with regard to housing models reflecting future lifestyles, but most ideas are resulting in smart home fever, applying the latest technology. In consideration of this f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scovering the direction of housing plans considering the lives of residents by examining housing design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lifestyle changes in HOUSE VISION Tokyo Exhibition models. (Method) First of all, the importance of lifestyle in housing plan will be identifi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housing and housing-type characteristics (high technological orientation, emotional orientation, local cultural orientation, eco-friendly orientation, customized orientation, and communicative orientation) will be examin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housing plans reflecting changing lifestyles after the 2000s. Housing design characteristics reflecting lifestyles from HOUSE VISION Tokyo Exhibition housing model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it.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OUSE VISION Tokyo Exhibition housing models were not just oriented toward high tech housing, and there was a relatively higher number of housing models reflecting analog sentiments, eco-friendly elements, and local cultural orientation. In particular, there were high levels of local culture orientation reflecting Japanese housing culture including tea ceremony culture, clean restroom culture, and so on, and eco-friendly orientation such as use of local materials, harmony with local environment, and so on were found and communicative orientation, out of housing type characteristics, stood out the most. (Conclusion) Reflecting user lifestyle into housing space means realizing individual values, expressing individuality, and thoroughly customizing for residents. Housing plan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spect of living quality improvement from value standard based on individual lifestyles and earnest consideration of individual lives, not housing plans based on mere statistical needs, should be accompanied. That is, when housing plans in which lifestyles can be managed based on understanding of society, culture, and the local environment, housing spaces focused on the life of residents can be materialized. Therefore, continuous study on housing plans reflecting lifestyle with diverse directions is necessary.

      • KCI등재

        초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자료 활용정책

        신혜진(Hyejin Shi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5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각 단위학교의 학업수준을 국가수준에서 진단하고, 학생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전반적인 학업성취도 향상을 기대하는 국가수준의 교육정책이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학교의 학업성취도평가자료 활용에 초점을 맞추어, 각 단위학교 현장에서의 학업성취도 평가자료 활용에 대한 정책분석 연구로서, 관련정책 문건을 분석하고 각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학업성취도 평가자료 활용실태를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학교의 다양한 평가 자료 활용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각 단위학교의 학교장은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학교가 보유하고 있는 기초학력미달학생수의 정도에 상관없이, 학교장 개인의 재량에 따라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가 활용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최근 들어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는 반편성이나 진급 등의 목적이 아닌 보다 수업개선이나 교수학습개발 등의 실재적이고 수업중심적인 방향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s (NAEA) aims to diagnose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in each school and support if any school identifies to struggle with underperformed students for their learning. As national level assessment policy, NAEA purposes to make efforts to lead zero perc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stude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NAEA results for each school and examined how each school used the NAEA results in school practices. Grounded by Stephen Ball's policy concepts, this study conceptualized 'policy as text' and 'policy as practice'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NAEA results in school setting. Applying a policy document analysis and an empirical approach, this study found that each school did not use the NAEA results appropriately; it tends to apply the NAEA results in school instructional settings, depending on principal own judgment regardless of the number of 'below basic proficiency' students. Although various ways to use NAEA results are provided in federal level policy document, the specific application procedure was only limited in providing at province and school district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chool changed the application of NAEA results for more oriented to learning-centered strategy (i.e., development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an burden-centered strategy (i.e., replacement testing for advancement) for students. Further, this study emphasized that schools which used the NAEA results in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tended to decrease the number of 'below basic proficiency' studen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NAEA results should not be used to bring some burden for student or parents; rather, the results may apply to diagnose a student achievement level and support the underperformed students. Federal and province level polices need to provide appropriate and specific strategies on the use of NAEA results for each school practice.

      • IPA 분석을 통한 배 구매 시 유통채널 특징에 관한 연구

        신혜진 ( Shin Hyejin ),위태석 ( Wi Taeseok ),이홍진 ( Lee Hongjin ) 한국식품유통학회 2023 한국식품유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1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배 구매 시 선택하는 유통채널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 소비자 패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 총 944명이 응답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유통채널별 중요도·만족도(IPA)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들의 배 구매 특성상 신뢰도 및 만족도는 높은 수준으로 내적 일관성이 확보되었으며, 전체 소비자들은 전체적인 유통채널에서 신뢰도를 바탕으로 구매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배 구매 시 품질·맛, 가격, 안전성에 관한 항목이 중요하지만, 만족도 영향에 미쳤을 것이라 판단되며, 배의 품질·맛이 보장되고 가격도 합리적이면 소비자들의 만족도는 변화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각 유통채널별 소비자들의 중요도 및 만족도는 상이한 결과가 나타나, 이에 따른 마케팅 방향 및 생산자들의 출하 선택 요건 등을 파악하여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 KCI등재

        고교유형별 서울시 학부모의 사교육비 지출의 종단적 분석 -중학교시점이후 6개년간 추이를 중심으로-

        신혜진(Shin, Hye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이 연구는 고교유형별 서울시 학부모의 수학, 영어 사교육비 지출패턴에 초점을 두어 중학 교시점이후 6개년 간의 추이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서울교육종단연구 (SELS)의 제6차년도 일반계고등학교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고교유형을 구분하고 이를 중학교1 학년 시점으로 추적 코딩한 뒤 중학교 시점 이후의 성장률을 추정하였다. 특히 고등학교 기간 과 중학교 기간의 지출성장을 비교하여 어느 시기에 사교육비 지출이 증가하였는지를 분석하 였다. 고교유형은 일반고, 특수목적고, 자율형사립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모형은 3수 준 다층성장모형(Piecewise Linear Growth Model)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수학과 영어 사교 육비 모두 중학교 1학년 초기시점에 지출한 비용에 고등학교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특 수목적고와 자율형사립고에 진학한 학생은 일반고에 진학한 학생보다 더 많은 사교육비를 지 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모든 고교유형에서 고등학교 기간보다 중학교 기간 동 안 연간 사교육비 지출이 더 증가한 것으로 이해되었으며 연간 지출 성장률도 일반고에 진학 한 학생에 비하여 특수목적고와 자율형사립고에 진학한 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중 심으로 고교 다양화 정책의 개선점과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trend of Math and English by parents in Seoul for six years since their children were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applied the fifth year high school survey data available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5, where the growth rate per year during the six years by high school type was estimated. Since this study focused on the growth rate comparison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periods,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about expenditure change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hat has occurred more in which period in term of Math and English. High school type was specified with General High School (GHS), Special Purpose High School (SPH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APHS). This study used a three-level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in Seoul was different by the high school type even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level, presenting that students who entered SPHS and APHS spent more than those who entered GHS. In addi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growth rate during the middle school period was higher than the high school period through all high school types; even the growth rates per year for SPHS and APHS were higher than that for GH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high school entrance policy and the policy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 KCI등재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에 대한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신혜진(Shin, Hye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1

        이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청의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에 초점을 두어 서울특 별시교육청에서 추진하는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 분석은 세 가지의 분석과정으로 설계되었는데, 먼저 서울특별시교육청에 서 추진하는 지원정책사업이 타 기관에서 실시하는 사업과 어느 정도 중복되는 지를 분석한 부처 간 중복정도로 문건기반 목적분석이라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추진 하는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이 단위학교 수준에서 실재 얼마나 중복되어 교부받고 있는지를 분석한 서울특별시교육청 내 중복정도 분석으로 실재기반 예산분석이라 정의하였다. 마지막 으로 다문화교육에 다년간 경험이 있는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을 둘러싼 현안에 대한 분석으로 면담기반 현안분석이라 정의하였다. 분석결과, 서울특별시교육청의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은 타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지원 정책사업의 유형 및 목적에 있어 상당수 중복되고 있었으며, 서울특별시교육청 내 단위학교 에서도 특정학교에 유사사업이 큰 예산규모로 중복적으로 지원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에 대하여 현장전문가들은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이 상당수 중복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며, 업무의 비효율성과 한계점을 토로하였다. 이에 유관 기관과 연계된 효율적 사업운영과 일원화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에 대한 편중현상과 지원정책의 사각지 대 개선을 위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uplication of the policy projects supporting multicultural students, which are implemen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MOE). Analysis on the duplication support was conducted using three conceptualized research frameworks. First, document–based purpose analysis as a framework was applied for analyzing duplication between major administrative agencies and SMOE. Second, reality-based budget analysis as a framework for analyzing duplication within SOME, focusing on how many policy projects for multicultural students could be actually duplicated at the school unit. Finally, interview–based pragmatic analysis as a framework to analyze interview documents conducted with experts who had multi-year experienc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o address issues in the duplication support. This study found that the SMOE's support policy for multicultural students has been largely duplicated by the support type and purpose of the policy projects carried out by various administrative agencies. Similar projects funded by SMOE also support to a specific school in the duplicated way, taking a large portion of the SMOE budget. The multicultural experts pointed out that most policy projects supporting the multicultural students are duplicated in educational practice, suggesting that the process to operate the policy projects seems seriously ineffective. A discussion existing in the biased and blind spot on the duplication of the support policy programs for multicultural students was made, wher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improve the process of the support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