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부어초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I) - 인조섬유 로우프의 정적시험 -

        신현경,박규원,H. Shin,K. Yamakawa,S. Hara,K.W. Park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1994 大韓造船學會 論文集 Vol.31 No.1

        해양 공간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과 지형에 변화를 주며, 대상 수산 생물의 유집에 의한 생산 어장의 조성과 치어의 보호 육성을 도모하는 중효한 어장 시설인 인공어초의 기술 개발은 점차 다양화되어지고 있다. 부체부와 계류부로 구성되어 있는 부어초의 개발에 있어서는 부어초의 특성 및 안전상 계류시스템의 설계가 극히 중요한 부분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부어초의 계류시스템에 많이 사용되어지는 나일론, 폴리에스터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인조섬유로우프의 정적시험의 과정과 그 결과로서의 Creep거동 및 하중-인장 곡선을 얻었다. 특히 나일론 로우프의 경우 수중에서 20%내외의 강도 하락(Strength drop)이 관찰되며, Creep 시험 곡선은 대수시간 축(longerithmic time axis)상에서 직선을 유지하고, Flessner's formula와 평행한 결과를 얻었다. Fish aggregating devices(FAD) or artificial fish reefs deployed in the ocean space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The objective of FAD is to aggregate, cultivate and proliferate aquatic resources by making changes in ocean flows around it. developing spawning grounds, improving feeding areas and protecting larvae and juveniles. Most floating fish aggregating devices(FFAD) are in the form of surface buoys or subsurface buoys with a single point mooring system(SPMS). The mooring line of SPMS for the secure positions of FFAD is expected to keep great stresses as a result of the harsh ocean environment. Laboratory static tests on synthetic fiber ropes used for the SPMS were run. The Nylon wet rope specimen tests under increasing-and-decreasing loads showed about 20% strength drop. Also the logarithmic creep-tie behavior of fiber ropes was observed in the constant load test and compared with Flessner's formula.

      • KCI등재

        내파성 가리비 연승식 양식시설에 관한 연구 - 케이블-부이-중량물 계류시스템의 주파수 영역 해석 -

        신현경,김덕수,Shin, H.,Kim, D.S. 대한조선학회 1996 大韓造船學會 論文集 Vol.33 No.4

        내파성 연승식 양식시설은 케이블-부이-중량물 계류시스템으로 이루어졌다. 양식시설의 최적설계를 위해서는 계류선과 부이나 중량물 연결점에서 장력등의 추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계류선의 비선형적인 거동과 파 해류 등의 영향은 해석을 어렵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거지 부이-중량물을 갖는 케이블-부이-중량물 계류시스템에 대한 파라메트릭 연구를 통하여 동장력 변화 및 거동 변화 등을 알아보았다. 고유진동수 해석을 위하여 유한차분법을 도입하였으며, 비선형 유체항력은 선형화 되었다. Longline type aquaculture facilities in the open sea are based on the cable-buoy-weight mooring system. For their optimal design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ensions along the mooring lines including the attachment points of buoys and weights. However, the dynamic analysis is very complicated due to the nonlinear behaviors of the mooring lines and the effects of wave and current. In this paper, parametric studies for various buoy-weight cases are shown. Finite difference scheme is employed in obtaining eigenfrequencies in the frequency domain. Nonlinear hydrodynamic drag forces are equivalently linearized.

      • SCOPUSKCI등재

        감자 단백질이 Clostridium perfringens 및 주요 장내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신현경,신옥호,구영조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2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0 No.3

        국내에서 구입 가능한 주요 식이 소재로부터 장내의 대표적인 유해균인 Clostridium perfringens의 생육을 억제시키는 소재를 탐색한 결과 감자즙에서 강력한 항균활성을 발견하였다. 감자즙 중 70% 황산암모늄 용액에서 침전되는 단백질성 물질이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감자단백질은 pH 4∼10 사이에서는 안정하나 60℃에서 10분간의 열처리로 그 활성이 소실되었다. 이 감자단백질의 Cl. perfringens에 대한 최소 항균활성 농도는 0.2 mg/㎖로 나타났으며, 이 감자단백질로 modified EG 배지중 beef extract와 proteose peptone을 대체하여 인체주요 장내미생물의 생육상태를 조사한 결과, Brifidobacterium bifidum, Bif animalis, Lactobacillus plantarum 및 Lact. acidophilus에 대해서는 생육촉진 효과를 나타냈으며 Eubacterium limosum, Cl. perfringens 및 Cl. butyricum에 대해서 현저하게 생육을 억제하였다. 이 감자단백질을 CM-Sepharose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G-150 gel filtration column chromatography 및 SDS-polyacrylmide gel electrophoresis의 방법으로 정제한 결과 이 항균활성 단백질(kCp)은 당단백질이며 그 분자량은 약 38.7kd으로 밝혀졌다. Potato juice was found out to have a strong inhibition activity on the growth of Clostridium perfringens during work of foodstuffs for the improvement of human intestinal microflora.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precipitated protein obtained from the potato juice in 70% ammonium sulfate solution was stable at the range of pH 4 to 10, whereas it was lost by a heat treatment at 60℃ for 10 min.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he precipitated protein on the growth of Cl. perfringens was about 0.2 mg/㎖. The potato protein also suppressed the growth of Cl. butyricum and Eubacterium limosum, while it showed a promoting effect for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bifidum, Bif. animalis, Lactobacillius plantarum and Lact. acidophilus. The potato protein was further purified by CM-Sepharose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G-150 gel filtration column chromatography an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purified protein(kCp) was proved to be a glycoprotein by PAS staining and its molecular weight was about 38.7 kd.

      • KCI등재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Measuring Tool for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Performance

        신현경,이윤희,송영신,최현숙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2022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지 Vol.10 No.2

        Purpose: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performance.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Initial items were generated using existing guidelines and tools, and 19 experts assessed content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 tertiary hospital in D city from January 17, 2018, to October 20, 2019. The data of 365 nurses were used fo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ith orthogonal rotation. Concurrent validity was confirm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ed tool and the nursing career period. Reliability was confirmed after evaluating internal consistency. Results: Initially, 16 items were generated, but three items were deleted in content validation. A two-factor solution was preferred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xplained 48.2% of the variance. The two factors were named “point of care” and “follow-up care,” respectively. The tool’s reliability is .87. Conclusion: The developed tool was valid and reliable. It is composed of 13 items and can be used quickly and easily. Therefore, it can be utilized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novice nurses and the self-reflection of experienced nurses. In addition, it will be useful to review the catheterization process in common clinical settings.

      • KCI등재후보

        구석기 시대 동굴벽화에 대한 연구-알타미라 동굴 벽화와 미술의 제례적 기능

        신현경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2

        This paper tries to search for a ritual role of Art through the research of the themes and techniques of the Altamira Cave Painting which is one of the first stone age cave paintings that remain to this day. It is believed that the role of the Old Stone Age paintings may provide clues to solving Modern Art Education. The ritual role of the Cave painting is the emotional expression which is exposed in the drawing process and these features can be the clue to solve the problem of Modern Art Education, especially Korean Art education. Thererfore, this paper tries to focus on the themes and techniques of the Altamira Cave Painting which best represent Old Stone Age Cave Paintings, and suggests this ritual role of art as an alternative idea that can help overcome the crisis of Korean Art Education which has limited the role of art due to a bias toward results.. 이 논문은 인류가 남겨놓은 최초의 그림인 구석기 시대 동굴벽화 중에서 알타마라 동굴벽화를 중심으로 주제와 기법을 연구하고 이를 통하여 미술의 제례적 기능을 찾고자 하였다. 이는 현대 미술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단서가 구석기 시대 동굴 벽화의 제례적 기능으로서의 자기 표현에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미술의 제례적 기능은 사냥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두려움을 극복하려는 욕구를 그리는 과정상에 드러나는 자신의 정서 표현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원시 미술의 특성은 현대 미술 교육(특히 한국미술 교육이 결과를 강조하여 수업을 진행해 왔기 때문에 미술 교육의 기능이 기술적으로 제한되어온)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열쇠로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1788년作 기림사 삼세불화의 성격과 봉안처 연구

        신현경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2 南道文化硏究 Vol.- No.46

        <Girimsa Three states of existence Buddhist painting>(祇林寺 三世佛畵)is currently enshrined in the Gyeongju Campus Museum of Dongguk University, and is a copy of it in the Daejeokgwangjeon Hall of Girimsa. This Buddhist painting has a unique form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Buddhist paintings, and the top and bottom are separated and two paintings are drawn in one screen. The upper part depicts Sakyamuni Buddha(釋迦如 來), Amitabha Buddha(阿彌陀如來), and Bhaisajyaguru Buddha(藥師如來) in space, and the lower part is a painting of landscape painting with an epic plot. If the two paintings are divided into two screens, it can be thought that they were overlaid on posterity, but this Buddhist painting was produced for a special purpose because there was no sign of additional repairs along with the location of the pictorial record.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bottom image of this Buddhist painting was based on the story of the founding of Girimsa, and this Buddhist painting is a special purpose to promote the history of the temple. Considering the unusual form of the two-stage composition and the purpose of the production, this Buddhist painting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in the ‘Buddha 204 남도문화연구 제46집(2022.8) Painting’(如來圖) of Space Three Buddha(三世佛), which was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also in the category of ‘Sutra illustration transformation Painting.’(變相圖) through organic graphic interpretation. In addition,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about the suspension of the Daejeokgwangjeon Hall of Girimsa, where a copy of this Buddhist painting is currently enshrined. This requires re-estimation, such as that there is no case of sealing the ‘Buddha Picture’ in the middium space and that it does not match the size of the currently enclosed wall at the bottom. Therefore, considering the historical records, other literature, and the context of the Buddhist painting, the original burial site of this Buddhist painting is presumed to be “Seongsujeon,”(聖壽殿) which can only be confirmed in the records, not the current place.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Seongsujeon,”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enshrined based on glass dry plates of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photographs of Girimsa in the early 20th century, can be confirmed. 본고에서 다루는 <기림사 삼세불화>는 현재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에 소장및 전시되어 있으며, 모사본으로 기림사 대적광전 중단에 봉안되어 있다. 본 불화는 다른불화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데, 상단과 하단을 구획하여 한 폭에두 주제의 도상을 각각 도해하고 있다는 점이다. 상단은 석가여래, 아미타여래, 약사여래로 구성된 ‘공간적 삼세불’ 도상이며, 하단은 이시동도법을 사용한 서사적 줄거리가 있는‘청록산수 인물 도상’으로 구성되었다. 한 화면에 별개의 두 도상이 도해되어 있을 때 다른 하나를 후대에 덧붙여 제작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불화 화기의 위치와 함께 처음부터 화면을 정확하게 구획을나누고 있고, 이후 추가 보수의 흔적이 없어 두 도상은 특수한 목적으로 동시 제작된불화임을 알 수 있다. 이에 필자는 본 불화의 하단도상이 기림사 ‘창건 연기설화’에 입각해 도해 되었고, ‘창건 연기설화’를 토대로 당시 사찰의 ‘사세증진(寺勢增進)’을 위해조성한 것으로 해석했다. 이 같은 해석은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시도되었다. 필자는 이에 덧붙여 상·하2단 구도의 형식과 특별한 제작 목적으로 보아 두 가지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즉 본 불화는 조선후기에 유행한 공간적 삼세불을 표현한 ‘삼세불화(三世佛畵)’이면서 상단과 하단도상의 유기적 해석을 통해 ‘변상도(變相圖)’라는 이중적 성격을 갖는다. 필자가 본 논문에서 가장 주안점을 둔 것은 불화의 원 봉안처 문제였다. 현재 기림사대적광전 중단에는 모사본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곳이 원 봉안처였는지는 재고의 여지가있다. 불전 내부 삼단 가운데 여래를 표현한 ‘삼세불화’가 중단에 봉안된 예를 현재로서는 찾을 수 없고, 대적광전 중단과 하단에 봉안된 불화의 현황을 볼 때 봉안처에 재고의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불화의 원 봉안처를 기림사 사적기, 문헌자료, 불화의 화기, 20세기 초 사진 자료 등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 왕실의 안녕을축원한 ‘성수전(聖壽殿)’으로 추정했다. 성수전은 현재는 전하지 않지만 20세기 초에촬영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 유리건판 사진을 참조로 해 기림사 내 그 위치를 확인했다.

      • KCI등재

        Model test of an inverted conical cylinder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moored by a spring-tensioned-leg

        신현경,조상래,정광진 대한조선학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 Vol.6 No.1

        A new 5-MW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moored by a spring-tensioned-leg was proposed for installa¬tion in about 50m water depth. Its substructure is a platform of the inverted conical cylinder type with massive ballast weight plate at the bottom. A 1:128 scale model was built for the preliminary engineering development. The model tests in waves and wind were carried out to estimate motion characteristics of this platform in the Ocean Engineering Wide Tank of the University of Ulsan. Its motions were measured and the RAOs were compared. The proposed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showed a good stability and decent responses in waves, wind and operation of the wind turb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