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적강소설에 나타난 자의식과 운명의 관계

        신태수 한민족어문학회 2003 韓民族語文學 Vol.43 No.-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Destiny in the Jeokgang Novel Shin Tae-soo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退溪 讀書法 속의 天과 人

        신태수 영남퇴계학연구원 2011 퇴계학논집 Vol.- No.9

        필자는 퇴계 독서법에 나타난 내용과 형식의 관계를 포착하고, 天人 合一을 독서법의 내용적 범주에서 다루었다.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독서법 밖의 天은 살아서 움직이며 변화하는 주체이 고, 人은 天과 궁극적 근원은 동일하되 氣의 淸․濁․粹․駁에 좌우되는 존 재이다. 둘째, 독서법 속의 天과 人은 상호 대립적이다. 당위적인 측면 에서 人의 분발을 촉구하기 위해 天과 人의 거리를 한껏 넓혔다고 생각 된다. 셋째, 天은 움직이며 人에게로 다가가고 人은 수양으로 天에 다가 간다. 퇴계가 天과 人에 활물의 기능을 하게 함으로써 天과 人의 거리 를 좁힌다고 할 수 있다. 넷째, 天이 지닌 美의 본질이 人의 마음에 의 해 규정․발현되고, 추상적 개념으로서의 人이 생기를 띠고 외부세계를 바라보면서 미학적 특징이 생겨난다. 天의 미학적 특징은 숭고미이고, 人의 미학적 특징은 우아미와 골계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殊異傳』 逸文의 神話的 性格과 교환 가능성의 실현 양상

        신태수 한국어문학회 2004 語文學 Vol.0 No.85

        The author looked into a mythical character in many terms making 『Suijeon』 an object of study in which 'body-converting phase' appears; analyzed it, extracted a mythical character, and then mad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 world view which made the mythical character possible. As a result of that, it's found that 'body-converting phase', that is an exchange possibility, on the basis of a mythical thought, has been realized. These results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each piece of 『Suijeon』 is a short story individually, when putting several pieces together, a mythical thought appears. For example, the foundation of a life is placed on totem culture, a natural world and a human world are forming a mutual reliable relation, and a recognition on basic order of the universe by use of a nature world has appeared. Second, in five pieces, a subject has been changed into an object or an object into a subject. In that a subject and an object get out of its own line each other, it seems that a cultural background of making no distinction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in a foundation of a society, in which these 5 pieces were produced, is clearly in existence; this cultural background can be called a view of symmetrical world. Third, if one calls all conditions related with body-converting as 'an exchange possibility', it can be greatly divided into two types; one such as <Noonghwagu>, <Susapseoknam> and the other such as <Wonkwang>, <Talhae>, <Howon>. While the former type has a noncontinuous(one time) meaning for an exchange possibility, the later one has a continuous meaning. Fourth, a symmetrical view of world for five pieces is realized mainly in the real world. To directly confront the idea of upper structure, they could not help choosing the real world as a space for confrontation.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an exchange possibility after 'the ancient three nations times' was degenerated into a means to meet a grotesque curiosity, we can see how much seriously 『Suijeon』 dealt with realistic problem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熱河日記』에 나타난 토론 서술의 유형

        신태수 택민국학연구원 2012 국학연구론총 Vol.0 No.9

        The types of describing contents of debate in Yeolhailgi are summarized into three types: type of criticizing ideology,type of enlarging perception, type of reflecting on existence. The type of criticizing ideology attempts to criticize a false conventional idea or perspective. The type of enlarging perception attempts to break off a worn-out cast of perception, and then to aim for a larger cast of perception. The type of reflecting on existence attempts to find out a dwarfish self, and then to search for a solution to overcome the dwarfish self. The three types have two layers each. The first layer is an experience of China and its culture. The second layer is to refute the opponent.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of debate is formed, as the two layers are being intermixed.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is to deconstruct the false ideology by the contents with a direct experience, to break off a stereotyped view or preoccupation by a relative perspective,and to blur the lines between the outer object and the inner self. And the overall principle of the three types is to ‘inquire into the root in the level of Dongchejungyong(東體中用)’. The description of debate has two significances in its epistemological aspect. One is that the paradigm of Dongchejungyong has a specific quality by way of the description of debate, and that the description of debate has a typical quality by way of the paradigm of Dongchejungyong. The other is that the subject of perception keeps going on the composition of knowledge by way of debate. 열하일기에 나타난 토론 서술의 유형은 세 가지다. 이념비판형, 인식 확장형, 존재 성찰형이 그것이다. 이념 비판형은연암 당대의 그릇된 통념이나 관점을 비판하고자 하고, 인식 확장형은 인식의 舊殼을 깨고 보다 넓은 인식의 틀을 지향하고자 하고, 존재 성찰형은 왜소한 자아를 발견하고 그 극복 방안을모색하고자 한다. 각 유형마다 두 층위가 나타난다. 중국 체험이 첫 번째 층위이고, 상대 공박이 두 번째 층위이다. 두 층위가 교섭하면서 구성 원리를 형성한다. 구성 원리는 각기 직접적 경험으로 그릇된 이념 해체하기, 상대적 시각으로 고정관념이나 선입관 깨뜨리기, 자아의 신축성으로 외물과 內我의 경계 허물기이고, 유형전체의 원리는 ‘동체중용의 차원에서 근본 탐색하기’이다. 토론 서술의 인식론적 의의는 두 가지다. 동체중용 패러다임은 토론 서술을 통해 구체성을 띠고 토론 서술은 동체중용 패러다임을 통해 유형성을 지닌다고 하는 점과 인식의 주체가 토론을 통해 지식을 구성해 나간다고 하는 점이 그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