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연구 : TAM 모형을 중심으로

        신원석,고유정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2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PACK and a teachers' psychological attitudinal factor on technology integration using stuructrual equation modeling (SEM).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eachers' TPACK, attitudes toward technology, perceived ease of use (PEU), perceived usefulness (PU), behavioral intention (BI), and level of technology use were included in the model to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Results indicated that TPACK and attitudes toward technology both have an significant impact on BI through PEU and PU, which ultimately influences the level of technology use. The fact that PU has a bigger influence on BI than PEU implies PU might be more important, and the higher level of PU could lead to meaningful learning with the use of technology in classrooms. The current study also discusses characteristics of and relationship between TPACK and attitudes toward technology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echnology integration.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지식(TPACK)과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가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테크놀로지 수용 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기반으로 하여 구조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의 TPACK과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사용의도, 테크놀로지 활용수준을 변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기법으로 구조적 관계의 성립 여부와 직⋅간접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TPACK과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 모두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을 통해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다시 테크놀로지 활용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지된 유용성이 사용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유의미한 학습’을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인지된 용이성 보다는 인지된 유용성이 더 큰 의미가 있으며, 높은 수준의 유용성은 궁극적으로 테크놀로지의 유의미한 활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TPACK과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의 변인적 특성과 관계에 대해서 논의하고 교사들의 유의미한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테크놀로지내용교수지식 분석

        신원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6

        Robotics has been increasing its role among factors affecting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TPACK) in education. This paper reviews these factors and analyses each to identify those most influential: teachers' individual (gender, teaching experiences), professional development(PD) for technology integration, psycho-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attitude toward technology integration, constructive belief), and school characteristics.Those having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s' TPACK of robotics were PD for technology integration from individual characteristics, attitudes toward technology integration, educational belief from psycho-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and schools' atmosphere and support from school characteristics.Thisreview confirmed that PD for technology integration and school atmosphere are the two most influential factors among all factors considered. Practical implications on precautions for effective integration of robotics in education were identified.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로봇활용교육의 테크놀로지내용교수지식(TPACK)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개인적 배경(성별, 교직경력,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연수)과 심리·철학적 배경(테크놀로지 활용교육에 대한 태도 및 신념) 및 학교 배경(테크놀로지 활용교육과 관련된 학교의 분위기, 지원, 시설) 및 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 중 중요한 요인이 어떤 것인지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도구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총 121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배경요인에서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연수와 학교의 분위기 및 지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심리철학적 배경인 테크놀로지 활용교육에 대한 태도와 교육적 신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고려한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테크놀로지 활용교육에 대한 학교의 분위기와 교사들의 연수가 교사들의 TPACK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현직 교사들의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TPACK수준을 알아볼 수 있었으며, 추후 로봇활용교육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교사들로 하여금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와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Bioequivalence of the pharmacokinetics between tofacitinib aspartate and tofacitinib citrate in healthy subjects

        신원석,A-Young Yang,Hyeonji Yun,조두연,Kyung Hee Park,Hyunju Shin,김언혜 대한임상약리학회 2020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Vol.28 No.3

        Tofacitinib is an oral disease-modifying anti-rheumatic drug to selectively inhibit Janus kinases. Tofacitinib is a representative small molecule inhibitor that is used to treat many diseases including rheumatoid arthritis and various autoimmune conditions. Unlike biological agents, tofacitinib has several advantages, including the ability to be administered orally and a short half-lif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the pharmacokinetics (PK) between tofacitinib aspartate 7.13 mg (test formulation) and tofacitinib citrate 8.08 mg (reference formulation; Xeljanz®) in healthy subjects. A randomized, open-label, single-dose, 2-sequence, 2-period, 2-treatment crossover trial was conducted in 41 healthy volunteers. A total of 5 mg of tofacitinib as the test or the reference formulation was administered, and seri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up to 14 hours after dosing for PK analyses. The plasma concentration of tofacitinib was determined by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A non-compartmental analysis was used to estimate the PK parameters. A total of 35 subjects completed the study and the study drug was well-tolerated. The mean maximum concentration (Cmax) and area under the concentration-time curve from time zero to the time of the last quantifiable concentration (AUClast) for the test formulation were 52.67 ng/mL and 133.86 ng∙h/mL, respectively, and 50.61 ng/mL and 133.49 h∙ng/mL for the reference formulation, respectively. The geometric mean ratios (90% confidence intervals) of the Cmax and AUClast between the 2 formulations were 1.041 (0.944–1.148) and 1.003 (0.968–1.039), respectively. Tofacitinib aspartate exhibited bioequivalent PK profiles to thos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 KCI등재

        학사행정관리자의 대학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신원석,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4

        Studies focusing on liberal education in a college have been done with a macroscopic perspective. There is little research on administrative staff and/or administrative in a college who mainly manage liberal education in a college practically. Thus,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administrative staff on liberal education in a college.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do this study. Descriptive and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e recognition of administrative staff on liberal educ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ver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libe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staff.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urse organization, support facilities, college self-evaluation, student background, and course management ha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In addition, we discussed that administrative staff have enormous interest on the management of liberal education in a college, how they can play a pivotal role in the management of liberal education in their college, and curriculum management system is need to be introduced. 대학의 교양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은 교양교육에 관해 주로 거시적으로 접근해왔다. 실제 대학에서 교양교육을 운영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학사행정관리자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4년제 대학에서 학사행정을 담당하고 있는 학사행정관지라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술통계량과 상관분석 등을 통해 문항 및 요인에서 나타나는 학사행정관리자들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양교육과정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한 회귀분석의 결과, 강좌구성, 지원시설, 대학평가, 학생배경, 강좌운영방식이 교양교육과정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분석을 통해 나타난 대학 내에서 학사행정관리자들의 교양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관심과 그들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학사행정관리자들의 교양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권한과 전문성의 부여 및 교육과정운영시스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변화에 관한 연구 : 테크놀로지 활용 교과목을 중심으로

        신원석,한인숙,엄미리 한국정보교육학회 201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모형을 예비교사 교육에 적용시켜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테크놀로지를 활용 교과목을 수강하는 중등예비교사 142명을 대상으로 학기초와 학기말에 걸쳐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TPACK의 주요 구성요소인 테크놀로지 지식, 내용지식, 교수지식 중 테크놀로지 지식과 내용지식의 영역이 신장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하위요인별로는 TPACK의 7개 하위영역 중 교수지식과 내용교수지식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테크놀로지 지식과 내용지식의 향상 및 교수지식에 관해 논의하고, 우리나라에서도 테크놀로지 지식과 교수지식 및 내용지식이 통합된 형태의 (예비)교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TPACK) model, and to apply this model to preservice education. To perform this study, TPACK survey instrument was distributed to 142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echnology integration course. The result showed that technology and content knowledge improved significantly, and pedagogical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7 sub-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technological and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knowledge. Also, we suggested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in Korea.

      • KCI등재

        Characterization of Spastic Ankle Flexors Based on Viscoelastic Modeling for Accurate Diagnosis

        신원석,Handdeut Chang,Sangjoon J. Kim,김정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Vol.18 No.1

        Characterization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is essential for diagnosis providing the implications for therapy corresponding to causes of the diseases. This paper presents a characterization of an ankle neuromuscular system of patients with spasticity, to provide quantitative pathological level of the ankle spasticity with biomechanical and neurological disorders. Measurements from manual spasticity evaluation combined with a suggested neuromuscular model and parameter optimization process enabled a reliable characterization of the spastic ankle flexors. The model included two non-neural parameters representing the viscoelasticity of the muscle and four neural parameters showing the dynamics of muscle activation and corresponding force only using the measured joint angle and resistance torque. Torque contributions from non-neural parameters especially elastic properties of muscle was greater than 50% of the overall torque, common in both patients with spasticity and healthy controls. Among subgroups of the patients, subjects with short post diseases period less than 5 years, had higher torque contribution level from neural components more than 50% of the overall torque compared to the patients with longer post diseases period more than 10 years who had overall torque less than 30% of the total estimated torque. We concluded that proposed model based ankle flexor characterization served as a tools for diagnosing the patients with spasticity corresponding to their causes of diseases with both quantified neural and non-neural parame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