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방언 단모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 연구 - 50대 화자를 중심으로 -

        신우봉 ( Shin Woo Bong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7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방언 50대 화자를 대상으로 단모음의 실현 양상을 산출실험을 통하여 파악하고 지각 실험을 함께 병행하여 제주 방언 단모음의 변화 양상을 산출과 지각의 측면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20명의 제주 방언50대 여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산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총 40명의 피험자들을대상으로 자극을 만들어 지각 실험을 실시하였다. 산출 실험 결과, 제주 방언 50 대 후반 여성 화자들의 경우 /ㆍ/를 /ㅗ/와 변별하여 조음하고 있으나, 제주 방언50대 초반 여성 화자들은 /ㆍ/와 /ㅗ/를 구별하여 조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제주 방언 50대 남성 화자들의 경우 /ㆍ/와 /ㅗ/를 구별하여 조음하고있어서 /ㆍ/의 소실이 제주 방언 50대 여성 화자들에게서 우선적으로 나타나는 음변화 현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성은 /ㅡ/의 전설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각 실험 결과, 제주 방언 50대 남성 화자들의 경우 /ㆍ/와 다른 모음들의 음성적 차이를 듣고 정확하게 구분하고 있었으며, 50대 후반 남성 화자들이 초반 남성 화자들에 비해 좀 더 정확하게 구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제주 방언 50대 초반 여성 화자들의 경우 /ㆍ/를 /ㅗ/ 혹은 /ㅓ/와 변별하지 못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현재 제주 방언 50대 초반 여성 화자들이 /ㆍ/를음소로서 지니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제주 방언 50대 후반여성 화자들은 /ㆍ/를 /ㅗ, ㅓ/와 구분하여 지각하고 있어서, 제주 방언 50대 여성 화자들의 경우 세대 내에서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vowels in Jeju dialect and to discuss correlations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For this purpos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and data was gathered from Jeju dialect speakers in their 50s. The result of production experiment was that production of vowels little differences in same generation: It is revealed in this paper that Jeju dialect female spekers in their early 50s use the seven vowels of /ㅣ, E, ㅡ, ㅓ, ㅏ, ㅜ, ㅗ/, those spekers in their late 50s use the eight vowels of /ㆍ/ plus the seven vowels. The degree of frontness of /ㅡ/ in early 50s is higher than late 50s. Also, the result of perception experiment was that perception of vowels little differences in same generation: Jeju dialect male subjects in their 50s perceive /ㆍ/ and /ㅗ, ㅓ/ differnetly; The late 50s perceived these vowels better than early 50s. Jeju dialect female subjects in their late 50s perceive / ㆍ/ and /ㅗ, ㅓ/ differnetly, but among the subjects in their early 50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in Jeju dialect.

      • KCI등재

        한국어 /ㅓ/의 음성 실현 양상 연구 -서울코퍼스를 중심으로-

        신우봉 ( Shin Woo-bong ) 겨레어문학회 2018 겨레어문학 Vol.6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코퍼스의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어 모음 /ㅓ/의 음성 실현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모음 공간상에서 /ㅓ/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5개의 단모음의 포만트를 구하였으며, 언어 내적/외적 요인에 따른 /ㅓ/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어 모음 /ㅓ/는 장단을 구별하지 못하는 젊은 세대일수록 후설 쪽으로 이동하여 발음되고 있었다. 그에 따라 /ㅓ/와 /ㅗ/의 변별을 유지하기 위해서 여성 화자의 경우 /ㅗ/가 모음 공간상에서 상승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남성 화자의 경우 /ㅗ/가 모음 공간상에서 전설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선행 자음의 조음 위치에 따라 /ㅓ/의 음성 실현 양상은 변하고 있으며, [grave] 자질이 /ㅓ/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자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ㅓ/는 어두보다 비어두 위치에서 전설 쪽으로 실현되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구어에서 음 변화 현상은 단어 인지와 유관한 어두 위치보다는 비어두 위치에서 먼저 시작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ㅓ/가 어두보다 비어두 위치에서 전설화 되어 나타나는 현상은 자연스러운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 모음 /ㅓ/의 실현 양상을 계량화된 자료를 바탕으로 언어 내적/외적 요인에 따라 객관적으로 살펴봤다는 데 의의가 있다. /ㅓ/의 음성적 변화 현상을 종합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음운론적 환경 외에도 문법론적 범주와의 상관 관계도 밝힐 필요가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문법 범주에 따른 /ㅓ/의 변화 양상을 살펴서 이 모음의 변화 양상에 대해 보다 폭넓은 해석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nternal and external linguistic factors on the phonetic realization of /ㅓ/. To achieve thi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were analyzed in terms of F1, and F2, the degree of frontness of the vowel /ㅓ/.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younger generation comes, /ㅓ/ moved toward back in a vowel space in both genders. To maintain the distinctiveness between /ㅓ/ and /ㅗ/, /ㅗ/ moved toward up in the case of female speakers and /ㅗ/ moved toward front in the case of male speakers. The phonetic realizations of /ㅓ/ is varied according to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leading consonant. From this we confirmed that a [grave] feature can be a major factor that affects change of /ㅓ/. The degree of frontness of the vowel /ㅓ/ in intervocalic position is higher than in word-initial position. In spoken speech, sound changes are generally more likely to start at the intervocalic position than at the word-initial position associated with word recognition.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ㅓ/ moved toward front in intervocalic position over word-initial position.

      • KCI등재

        제주방언 평서문과 의문문에 나타나는 억양 연구: 어말어미 -안/언, -으멘을 중심으로

        신우봉 ( Woo Bong Shin )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31 No.-

        This aim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intonation of the predicate and interrogative endings ``дn/an`` and ``шmεn`` of native Jeju speakers in their 20s. . When analyzing the types of boundary tones found in declarative and interrogative sentence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Jeju dialect contour tones are more commonly used than level tones, unlike in the Seoul dialect. Despite speakers in their 20s being aware that phonological features are disappearing in their modern dialect, through this research it has become known that prosodic features are in fact still being retained in the Jeju dialect. Moreover, common features between the Jeju and Seoul dialects were identified in two types of interrogative sentences: wh-questions have mostly low tones, and yes-no questions have high tones. In addition, the variable breadth, inclination of rising intonation, dephrasing and other similar features of pitch serve as useful hints in differentiating between yes-no questions and wh-questions in the Jeju dialect.

      • KCI등재

        제주방언 학습자를 위한 발음교육 방안 연구:

        신우봉(Shin, Woo B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소멸해가는 제주방언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제주방언을 통한 원활한 의사소통을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하지만 제주방언 교재를 통해 교육 실태를 살펴본 결과, 체계적인 교육의 첫 단계라 할 수 있는 제주방언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상당수의 제주방언 어휘에 포함되어 있는 아래아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아래아는 모어 화자라 할지라도 표기를 보고 직관적으로 발음할 수 없다. 따라서 제주방언 아래아 발음 교육 은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제주방언의 보전에 필요한 발음 교육 방안을 ‘실제를 중심으로 한 발음 지도 방안’과 ‘원리를 강조한 발음 지도 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실제를 중심으로 한 제주방언 발음 지도 방안은 ‘문제 확인하기 → 자료 살펴보기 → 방법 정 리하기 → 발음 연습하기’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지도 방안을 활용하여 교사는 학습자에게 아래아를 포함한 고빈도 일상용어인 제주방언 어휘들이 사용되는 상황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유발하고, 구체적인 아래아 발음 방법을 교육할 수 있다. 또한, 원리를 강조한 제주방언 발음 지도 방안은 ‘문제 확인하기 → 원리 설명하기 → 표준 발음하기 → 발음 점검하기’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지도 방안을 활용하여 교사는 모음삼각도를 통해 제주방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단모음 체계의 변 화와 제주방언 단모음 체계의 변화에 대해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teaching method of Jeju dialect focused on ‘Are-a’(/ /). Korean language is comprised of various dialect. Among them, Jeju dialect has a unique monophthong named ‘Are-a’. If Are-a becomes extinct or there are no pronunciation education in Jeju dialect, it may bring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 review of Jeju dialect textbooks reveals that pronunciation education for Jeju dialect learners is not being achieved at present. Therefore, pronunciation education in Jeju dialect is necessary for accurat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In this paper, I suggested two ways how to use the Are-a in pronunciation education in Jeju dialect. One is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language use in context that progresses at preparation-introduce-practice-formation. The other is a teaching-learning model focused on principle that progresses at preparation-explanation-question-inspection. Through the ways above-mentioned, I expected Jeju dialect learners to get to know the pronunciation of the Are-a and the value of Jeju dialect.

      • KCI등재

        해녀 도구어의 낱말밭 연구

        신우봉(Shin Woo bong) 한국언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학 Vol.103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 tool nouns in relation to the female divers in terms of the structural semantic analysis, and confirm the semantic field of these nouns. To study, 59 tool nouns were selected in advanced research and Jeju dialect dictionary. Through identifying meanings and semantic property of these nouns I specifically explored what was the semantic differences among them.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ough these nouns I selected belong to the same semantic area, they have a clear semantic differences and can be distinguished. First of all, those nouns distinguished ‘±store’. ‘+store’ is subclassified by ‘combination’, ‘size’, ‘collection’, ‘time of use’, ‘material’. ‘-store’ is subclassified by ‘capture’, ‘number of stick’, ‘cut’, ‘string’, ‘above sea surface’, ‘collection’, ‘size’, ‘repair’, ‘mark’, ‘material’, ‘fixity’.

      • KCI등재

        제주방언 음성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신우봉(Shin Woo-bong)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9

        본고는 제주방언을 대상으로 한 음성학 연구들의 현황을 살피고, 하위 연구 분야에 따른 제주방언의 연구 흐름을 통하여 이후 연구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주방언 음성학 연구는 초기에는 ‘아’를 중심으로 한 단모음 연구에 집중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자음과 이중모음 그리고 운율에 대한 연구로 주제가 확장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대, 성별, 지역적 요인’이라는 사회언어학적 요소들을 고려함에 따라 방언의 변화를 다양한 시각으로 살펴본 연구들과 그 성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일상 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제주방언 음성 자료를 확보하는 것과 연구 대상을 보다 다양하게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 그리고 산출 실험뿐만 아니라 지각 실험을 실시하여 제주방언 화자들의 말소리에 대해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에 과제의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us of Jeju dialect phonetic studies and to forecast future topics of research in various sub-research fields. Jeju dialect phonetic studies were initially focused on monophthongs centered on ‘아.’ This research expanded to include the study of consonants, diphthongs, and prosody in the 2000s. Studies also began to examine how the dialect changed accounting to sociolinguistic factors, such as generation, gender, and region. Based on past studies, this study suggested that in the phonetic Jeju dialect data should be collected by observing daily conversations, that more diverse participants should be recruited for studies, and that both perceptual and production experiments should be used in research on the Jeju dialect.

      • KCI등재

        인도네시아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신우봉(Shin, Woo B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네시아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실현 양상을 실험음성학적 방법을 통하여 관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도네시아 초급 한국어 학습자 24명과 한국인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단모음의 실현 양상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2015년 12월에 이루어졌으며, 실험 결과에 대한 분석은 2016년 1, 2월에 이루어졌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ㅏ/의 경우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인과 혀의 고저와 전후에서 차이를 보이며 발음하고 있었다. 즉,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인보다 고설 쪽으로 그리고 전설 쪽으로 발음하고 있었다. /ㅡ/의 경우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인보다 저설 쪽에서 발음하고 있었다. /ㅣ/ 의 경우 인도네시아인 남성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인보다 저설 쪽으로 발음하고 있었다. /ㅓ/는 남녀에 따라 실현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여성 인도네시아인 학습자의 경우에 한국인보다 고설 쪽에서, 남성 인도네시아인 학습자의 경우 한국인보다 전설 쪽에서 발음하고 있었다. 후설 원순 모음 /ㅗ, ㅜ/의 경우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인에 비하여 원순성을 적게 실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발음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acoustically analyze the Korean monophthongs produced by 24 native Indonesian novice learners of Korean and 20 native Koreans. When compared to native Korean speakers, it was found that all Indonesian learners produced /ㅏ/ fronter and higher, male Indonesian learners produced /ㅣ/ lower, and female Indonesian learners produced /ㅡ/ lower. The pronunciation of /ㅓ/ displayed a gender difference: female Indonesian learners produced /ㅓ/ higher than female Koreans do, whereas male Indonesian learners produced /ㅓ/ fronter than Koreans do. Lastly, overall, Indonesian learners productions of the back vowels /ㅗ/ and /ㅜ/ are less rounded than those of native Korean spea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background data to inform the pronunciation instruction for Indonesian learners of Korean.

      • KCI등재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모음상승 연구

        신우봉 ( Woo Bong Shin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6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서 나타나는 모음상승 현상의 실현 양상을 파악하고 동일 시기의 문어 자료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20 세기 구어 자료에서 나타나는 모음상승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려 대 구어 말뭉치: 20세기 전반기 자료``에서 실현되는 모음상승의 세 가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ㅔ/→/ㅣ/`` 모음상승은 어휘형태소에서 비어두 위치를 제외하고 어 두 위치의 장음과 단음 그리고 문법형태소에서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음상승 비율을 고려했을 때, 어휘형태소에서 어두 위치의 장음이라는 환경에서 가장 활발히 실현되며 문법형태소에서는 매우 적게 나타났다. ``/ㅓ/→/ㅡ/`` 모음상 승은 모든 실현 환경에서 나타나며 주로 문법형태소에서 생산적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어두 위치에서 장음뿐만 아니라 단음 환경 그리고 문법형태소 에서도 이 유형의 모음상승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부터 음장이라는 제 약에서 벗어난 것으로 해석하였다. ``/ㅗ/→/ㅜ/`` 모음상승은 어휘형태소의 비어두 위치에서 주로 발달하여 20세기 전기에 문법형태소의 층위로까지 확대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문법형태소에서는 주로 ``-고`` 유형에서 이 모음상승이 나타났는데, 20세기 전기 이후 자료에서 더 많은 모음상승형이 실현되는 것으로 보아 20세기 전기 이후에 ``-고``에서의 모음상승이 확산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owel raising e>i, ㅁ>i, o>u in early 20th Korean based on the spoken language data. To achieve this, three types of vowel raising have been inspected from ``Spoken Korean Corpus by Korea University: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the case of ``/e/→/i/``, we confirmed the actualization of vowel raising in word-initial long and short phonemes in lexical morphemes and also in grammatical morphemes. After calculating the rates of vowel raising, the phenomena was found to be most actively used in the environment of word-initial long phonemes of lexical morphemes and, more interestingly, was found very rarely in that of grammatical morphemes. Also, ``/ㅁ/→/i/`` vowel raising is found in all actualized environments and has been found in grammatical morphemes as a productive realization. This type of vowel raising is observable in the word-initial environment of not only long phonemes but also short phonemes, as well as in grammatical morphemes. From this we can understand that from this period on, the restriction of vowel length no longer exists. The ``/o/→/u/`` vowel raising typically develops in the non-word-initial place of lexical morphemes, and it can be noted that from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the phenomena has expanded even to previously unreachable grammatical morphemes. In grammatical morphemes, vowel raising was often found in the clausal conjunctive pattern``-go``, and since the 20th century onwards there have been more and more cases of vowel raising continually cropping up in Korean speech patterns. Thus, we can understand that from the start of the 20th century vowel raising has spread outwards from the raising used in the``-go`` conjunctive clause.

      • KCI등재

        제주 방언 단모음에 대한 음향 음성학적 연구

        신우봉(Woo Bong Shin),신지영(Ji Young Shin) 한국어학회 2012 한국어학 Vol.56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acoustically the monophthongs of Jeju Korean speakers. There are two groups of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40 Jeju Korean speakers(20 in their 20`s and 20 in their 70`s). Using the phonetic equipments and acoustic materials, we analyzed the phonetic values of the Jeju Korean. The result shows that the Jeju Korean has different vowel systems between generations: 70`s have nine vowels(/i, e, æ, a, □, i, u, o, □/), on the other hand 20`s have seven vowels(/i, E, a, □, i, u, o/). While 20`s Jeju Korean speakers couldn`t distinguish /e/ from /æ/, 70`s disentangled the vowels in Jeju Korean. Only 70`s participants can pronounce vowel /□/. It seems to be attributed to influence the Seoul Korean and extralinguistic factors like high frequency of contact with mass media. Furthermore, we find out the difference of region-specific in Jeju Korean. People living in mountain villages produce and distinguish between /e/ and /æ/ more than people living in coastal villages. It is possible to be influenced by the Seoul Korean in that people living in coastal villages easily contact with Seoul Korean speakers.

      • KCI등재

        『제주방언성경』의 서지와 음운론적 특성

        신우봉 ( Shin Woo-bong ),하영우 ( Ha Young-woo ) 한말연구학회 2021 한말연구 Vol.-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bibliographich in Jeju dialect Bible and to examine the phonological features presented in those books. For this purpose, We compiled the background, production process, and composition of the Jeju Dialect Bible. We divided the aspects and features of the gospel of Mark "Standard Korean → Jeju dialect" into phoneme and phonological phenomena and reviewed it. Not only did the Jeju Dialect Bible clos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ju Dialect, /ㆍ/, /、、/,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alect change and the lower dialect of Jeju were observed. In addition, the change of /ㆎ/, /ㅢ/ due to phonological constraints, j-diphthong were well refl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ju dialect. We looked at the phenomenon of palatalization,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velarization, umlaut, and vowel raising, and found that the Jeju dialect phonological phenomenon, which wa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was mostly reflected in the translation process of Jeju Bible. The Jeju Dialect Bible was produced as part of Christian missionary work in Jeju, but it is of religious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result of a joint venture between Christian, Catholic and non-believer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o have linguistic and dialectical value in that various phonological, morphological, and syntactic features were reflect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standard Korean into Jeju dial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