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NA 형광 염색을 이용한 치은열구상피부착 세균에 관한 연구

        신승윤,이상현,양승민,계승범,Shin, Seung-Yun,Lee, Sang-Hyun,Yang, Seung-Min,Kye, Seung-Beom 대한치주과학회 2008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8 No.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umber of live and dead bacteria attached to, or within, the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lining the tissue side of the gingival sulcu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0 patients was examined and classified into healthy or diseased sites according to inflammatory status of the gingival tissue. The surface of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was removed by gentle scraping of the gingival sulcus with curettes. The cells were processed in the laboratory by density-gradient centrifugation to separate the epithelial cells from the loose bacteria and debris. The LIVE/$DEAD^{(R)}$ $BacLight^{TM}$ Bacterial Viability Kit was applied and the specimens were observed by an epifluorescent microscope and the number of bacteria was counted. Results: Live and dead bacteria were stained to green and red, irrespectively. Generally,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in the diseased sit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healthy sites. The mean number of detected bacteria in the diseased sites was $58.6{\pm}36.0$ (red bacteria $10.4{\pm}9.2$ / green bacteria $48.2{\pm}30.5$), while it was $1.5{\pm}1.7$ in the healthy sites (red bacteria $0.1{\pm}0.3$ / green bacteria $1.4{\pm}1.5$). The percentage of red bacteria was $17.5{\pm}11.2%$ in the diseased sites and $2.0{\pm}5.8%$ in the healthy sites. Conclusion: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in the diseased sit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healthy sites. The ratio and the number of red bacteria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iseased sites.

      • SCIESCOPUSKCI등재

        Fc ${\gamma}R$ genetic polymorphism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population

        신승윤,김경화,박옥진,이용무,류인철,김각균,구영,한수부,정종평,Shin, Seung-Yun,Kim, Kyoung-Hwa,Park, Ok-Jin,Lee, Yong-Moo,Rhyu, In-Chul,Kim, Kack-Kyun,Ku, Young,Yoshie, Hiromasa,Han, Soo-Boo,Chung, Chong-Pyoung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2004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4 No.3

        Genomic Project 이후로 다양한 질환에 있어서 유전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치주질환 환자에서 Fc ${\gamma}R$ 유전자의 유전자다형성과 치주질환 특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치주적으로 건강한 한국인 90명(대조군, 남자64명, 여자26명), 중도 만성 치주염환자 40명(severe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severe CP, 남자 24명, 여자 16명)을 대상으로 임상지수(치주낭 깊이, 입상부착소실, 치은지수, 치태지수, 탐침 후 출혈지수, 치조골소실)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정맥혈에서 추출한 DNA를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법, 전기영동법 등을 이용하여 Fc ${\gamma}RIIIa$ , Fc ${\gamma}RIIIb$의 대립유전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유전자의 다형성 및 Fc ${\gamma}R$ 복합유전자형 (Fc ${\gamma}R$ composite genotype)을 확인하여, 각 군 간을 비교하였다. 치주질환의 특성과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Fc ${\gamma}R$ 유전자에 대한 유전자다형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Fc ${\gamma}RIIla$에 대한 유전자다형성 연구결과 대조군과 severe CP, AgP군 사이에서, severe CP와 AgP군 사이에서는 대립유전자분포가 서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지만(p<0.05), Fc ${\gamma}RIIlb$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Fc ${\gamma}R$ 복합유전자형간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실험대상 한국인 치주염환자에서 Fc ${\gamma}R$ 유전자에 대한 다형성분석에서 Fc ${\gamma}RIIIa$ 대립유전자가 치주염에 대한 감수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전자의 차이가 치주질환의 감수성 판단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ANP 기반 도시환경정비사업의 변화관리 요인 도출 및 중요도 산정

        신승윤,손명진,현창택,Shin, Seung-Yoon,Son, Myung-Jin,Hyun, Chang-Tae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3

        대규모로 진행되는 도시환경정비사업의 경우, 다수의 참여주체의 요구 및 내/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사업의 환경, 주체, 법규, 계획 등이 빈번히 변화되는 특성을 지닌다. 이처럼 대규모로 진행되는 도시환경정비사업에서는 다수의 변화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전체 사업의 업무프로세를 기반으로 변화요인을 정의하여 사업추진단계별로 발생 가능한 변화요인을 사전에 인지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환경정비사업과 같이 다수의 변화 가능성이 내재된 사업의 체계적인 변화관리를 위하여, 업무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주요 변화관리 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ANP방법론을 활용하여 도출된 변화요인들에 대한 외적, 내적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사업 추진단계별 특성화된 주요 변화요인들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For urban renewal projects progressing in large scale, it carries a characteristic that frequently changes the environment, subject, law, plan and the like by a demand from various participants and internal/external factors. As such large-scale urban renewal projects have a lot of possibilities of change, it requires setting a plan to recognize the possible variable factors by each project operation stage and to manage it systematically by defining the variable factors on the basis of working process of the entire project. Therefore this research has produced a factor of main variable management based on working process for systematic variable management on the projects that inherent various possibilities of change as urban environment refurbishment projects. And it also suggests the status of main variable factors characterized by project operation stages quantitatively through reflecting external and internal features for variable factors produced from utilizing ANP methodology.

      • KCI등재후보
      • SCIESCOPUSKCI등재

        Genetic polymorphisms of the IL-1 ${\beta}$ genes in periodontally healthy Korean population

        신승윤,김경화,박옥진,김각균,구영,정종평,Shin, Seung-Yun,Kim, Kyoung-Hwa,Park, Ok-Jin,Kim, Kak-Kyun,Ku, Young,Yoshine, Hiromasa,Chung, Chong-Pyoung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2003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3 No.4

        Interleukine-1(IL-1)은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싸이토카인으로써 미생물에 대한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IL-1의 유전자 다형성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대부분이 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다. 이후 중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IL-1의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가 인종간에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치주적으로 건강한 한국인에서 IL-1${\beta}$-511, IL-1${\beta}$+3954, IL-1RN에 대한 유전자형의 분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간호조무사 및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4학년 학생 중 치주낭 깊이와 부착소실이 4mm 이하인 치주적으로 건강한 한국인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IL-1${\beta}$-511, IL-1${\beta}$+3954, IL-1RN의 유전자 다형성은 분리한 DNA에 각 대립유전자에 특이성을 지닌 primer를 넣고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법을 이용하여 증폭시킨후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각 대립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결정하였다. IL-1${\beta}$-511 대립유전자 11, 대립유전자 12, 대립유전자 22의 유전자형에 대하여 각각 23.1%, 49.2%, 26.2%의 분포를 보였다. IL-1${\beta}$+3954의 유전자 다형성은 대립유전자 11, 대립유전자 12의 유전자형에 대하여 각각 89.2%, 10.8%의 분포를 보였으며, 대립유전자 22의 유전자형을 갖는 사람은 한명도 발견되지 않았다. IL-1RN의 유전자형은 5가지의 대립유전자 중에서 1, 대립유전자 2, 대립유전자 4만일 발견되었으며, 대립유전자 11, 대립유전자 12, 대립유전자 14의 유전자형이 86.2%, 12.3%, 1.5%로 분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대립유전자의 발생빈도 계산한 결과 IL-1${\beta}$-511에서는 대립유전자 1과 2의 비율이 거의 유사하였으나 (47.7%, 52.3%), IL-1${\beta}$+3954, IL-1RN에서는 대립유전자 1이 90%이상 발견되었으며, 또한 대립유전자 1외의 다른 대립유전자가 발견된 경우, 모두 이형접합체였다. 이 연구는 IL-1${\beta}$-511, IL-1${\beta}$+3954, IL-1RN에 대한 유전자형의 분포를 조사한 것으로 한국인에서 이들 유전자의 유전자형의 분포는 백인에서의 분포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후 치주질환자의 유전자형 분포와의 비교로 치주질환과 IL-1${\beta}$-511, IL-1${\beta}$+3954, IL-1RN의 유전자다형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SCIESCOPUSKCI등재

        Genetic polymorphisms of the $Fc{\gamma}R$ genes in periodontally healthy Korean population

        신승윤,김경화,박옥진,김각균,정종평,구영,Shin, Seung-Yun,Kim, Kyoung-Hwa,Park, Ok-Jin,Kim, Kak-Kyun,Chung, Chong-Pyoung,Yoshie, Hiromasa,Ku, Young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2003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3 No.4

        면역글로불린의 Fc 부분에 대한 수용기인 $Fc{\gamma}R$는 세균에 대한 인식, 결합과 포식작용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Fc{\gamma}R$에서 $Fc{\gamma}R$IIa, $Fc{\gamma}R$IIIa, $Fc{\gamma}R$IIIb의 유전자 다형성이 치의학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Fc{\gamma}R$IIa에서는 두 번째 세포외 면역글로불린 유사 영역의 131번째 아미노산에서 아르기닌($Fc{\gamma}R$IIa-R131) 혹은 히스티딘($Fc{\gamma}R$IIa-H131)을 갖고 있으며, $Fc{\gamma}R$IIIa에서는 두번째 세포외 영역의 158번째 아미노산이 발린($Fc{\gamma}R$IIIa-158V) 혹은 페닐알라닌($Fc{\gamma}R$IIIa-158F)을 갖고 있다. $Fc{\gamma}R$IIIb에서는 첫 번째 세포외 면역글로불린 유사영역의 4개의 아미노산의 유전자 다형성으로 인해서 $Fc{\gamma}R$IIIb-NA1과 $Fc{\gamma}R$IIIb-NA2의 두가지 유전자 다형성을 보이고 있다. 이번 연구는 치주적으로 건강한 한국인에서 $Fc{\gamma}R$IIa, $Fc{\gamma}R$IIIa, $Fc{\gamma}R$IIIb에 대한 유전자형의 분포를 조사하고자 한 것으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간호조무사 및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4학년 학생 중 치주낭 깊이와 부착소실이 4mm 이하인 치주적으로 건강한 한국인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Fc{\gamma}R$IIa, $Fc{\gamma}R$IIIa, $Fc{\gamma}R$IIIb의 유전자 다형성은 분리한 DNA에 각 대립유전자에 특이성을 지닌 primer를 넣고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법을 이용하여 증폭시킨후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각 대립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결정하였다. $Fc{\gamma}R$IIa의 유전자 다형성은 R/R131, R/H131, H/H131의 유전자형에 대하여 각각 7.7%, 38.5%, 53.8%의 분포를 보였으며, $Fc{\gamma}R$IIIa의 158V/V, 158V/F, 158F/F 유전자형에 대하여 각각 7.7%, 35.4%, 56.9%의 분포를 보였다. 또한 $Fc{\gamma}R$IIIb의 NA1/NA1, NA1/NA2, NA2/NA2 유전자형은 각각 33.9%, 53.8%, 12.3%의 분포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대립유전자의 발생빈도 계산한 결과 $Fc{\gamma}R$IIa의 R131과 H131이 26.9% 73.1%로 나타났으며, $Fc{\gamma}R$IIIa의 158V, 158F의 유전자형이 25.4%, 74.6%로 나타났다. $Fc{\gamma}R$IIIb의 NA1, NA2 유전자형의 발생빈도는 60.8%, 29.2%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치주적으로 건강한 한국인에서의 $Fc{\gamma}R$IIa, $Fc{\gamma}R$IIIa, $Fc{\gamma}R$IIIb에 대한 유전자형의 분포를 조사한 것으로, 이후 치주질환자의 유전자형 분포와의 비교로 치주질환과 $Fc{\gamma}R$IIa, $Fc{\gamma}R$IIIa, $Fc{\gamma}R$IIIb의 유전자다형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후보

        한국인 치주질환 환자에서 FcγR 유전자다형성에 관한 연구

        신승윤,김경화,박옥진,이용무,류인철,김각균,구영,한수부,정종평,Hiromasa Yoshie 대한치주과학회 2004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4 No.3

        Genomic Project 이후로 다양한 질환에 있어서 유전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치주질환 환자에서 FcγR 유전자의 유전자다형성과 치주질환 특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치주적으로 건강한 한국인 90명 (대조군, 남자 64명, 여자 26명), 중도 만성 치주염환자 40명 (severe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severe CP, 남자 24명, 여자 16명), 급진성 치주염환자 23명 (aggressive periodontitis patients; AgP, 남자 16명 여자 7명)을 대상으로 임상지수 (치주낭깊이, 임상부착소실, 치은지수, 치태지수, 탐침후 출혈지수, 치조골소실)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정맥혈에서 추출한 DNA를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법, 전기영동법 등을 이용하여 FcγRIIIa, FcγIIIb의 대립유전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유전자의 다형성 및 FcγR 복합유전자형 (FcγR composite genotype)을 확인하여, 각 군 간을 비교하였다. 치주질환의 특성과 유전자다형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FcγR 유전자에 대한 유전자다형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FcγRIIIa에 대한 유전자다형성 연구결과 대조군과 severe CP, AgP군 사이에서, severe CP와 AgP군 사이에서는 대립유전자분포가 서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지만(p<0.05), FcγRIIIb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FcγR 복합유전자형간의 비교에서 유의성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실험대상 한국인 치주염환자에서 FcγR 유전자에 대한 다형성분석에서 FcγRIIIa 대립유전자가 치주염에 대한 감수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전자의 차이가 치주질환의 감수성 판단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