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공학도를 위한 학습자 중심 글쓰기 교육의 방법과 내용

        신선경 ( Sun Kyung Shin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9

        본고는 공학의 학문적 특징과 공학 전공자의 의사소통 성향, 그리고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교육의 목적과 관련하여 공학도를 위한 글쓰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 공학도를 위한 학습자 중심 글쓰기 교육의 방법과 내용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내용면에서는 공학자로서의 자기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구촌의 문제를 이해하고 문제에 대한 공학적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이러한 내용을 다루는 과정에서 발표와 토론을 통해 설명과 논증의 방식을 연습하면서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동시에 훈련할 수 있는 내용 구성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교수학습법에 있어서는 공학도들의 학습 성향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법을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주제 탐구 과정에서는 문제 중심학습법을, 내용 전달과 과제 부과의 경우, 전체적 개괄과 구체적 매뉴얼제시를, 과제 수행에 있어서는 모듬별 협동학습법과 학습 포트폴리오 활용을, 마지막으로 학습 평가에 있어서는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를 포함한 다면적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issues in higher education and engineering profession and suggest new model of writing education for engineering students based on student centered learning. At first, we review new trend of higher education and need for student centered learning. secondly, we suggest new instruction model enhancing student learning through the introduction of student-centred learning methods and contents according to professionality of engineering major. We introduce to learning methods including problem based learning, team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tudent potfolio,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considering learning disposition of engineering students. We design the contents of writing education including the topic about self-reflection as engineer, understanding Global world and engineering design for society.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자기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의 차이

        신선임(Shin Sun-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이들 군집유형에 따라 자기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3월 서울지역 대학생 450명을 대상을 실시한 설문지 가운데 4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공선택동기의 하위변인인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그리고 진로결정수준을 군집분석한 결과, 총 4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군집 1은 ‘갈등적 동기 진로혼란 집단’으로, 군집 2는 ‘내재적 동기 진로결정 집단’으로, 군집 3은 ‘외재적 동기 진로미결정 집단’으로, 군집 4는 ‘외재적 동기 진로결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군집유형에 따라 자기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자기비난적 우울은 군집 3이 가장 높았고 군집 1, 군집 4, 군집 2 순이었으며, 군집 3과 군집 1은 군집 2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의존적 우울은 군집 3이 가장 높은 의존적 우울성 향을 보였고 군집 1, 2, 4순이었으며, 군집3은 군집 2와 군집 4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 수준 양상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기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 대한 전공 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역할이 지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llege students manifest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level of career decision and how the cluster types of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level of career decision affects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The data of 409 college students who were survey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t March, 20017. Cluster analysis using the sub-scales of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which is, introversive motivation and extroversive motivation,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yielded four cluster types. The first cluster was identified as ‘conflicted motivation and career confused group’. The second cluster was labeled as ‘introversive motivation and career decided group’. The third was ‘extroversive motivation and career undecided group’. The final was ‘extroversive motivation and career decided group’. Analyses on the effects of those cluster types on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revealed: Cluster 3 exhibited the highest level of self-critical depression followed by Cluster 1, 4, and 2. Clusters 3 and 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elf-critical depression than Cluster 2. In dependent depression, Cluster 3 exhibited the highest level of dependent depression followed by Cluster 1, 2, and 4. Clusters 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ependent depression than Cluster 2 and 4. These results confirmed classifications of the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found to be reinforcing self-critical depression and dependent depress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level of career decision respective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텔레비전 시사 프로그램의 주제와 패널 다양성 분석

        신선경(Sun-Kyung Shin),박주연(Joo-Yeun Park) 한국정보사회학회 2016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7 No.2

        시사 프로그램은 사회의 중요한 문제들을 공론화하고 여론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시사 프로그램의 내용 다양성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종합편성채널과 지상파 방송의 시사 프로그램을 분석했다. 비교 분석을 위해 2015년 1월 1일부터 12월 31까지 방송된 KBS 1TV <시사진단>과 TV조선 <장성민의 시사탱크>의 총 48회분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시사 프로그램 간에는 서로 차이가 나타났지만, 상당한 공통점도 발견되었다. 두 시사 프로그램은 모두 특정 주제에 치중해 주제의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 프로그램들의 패널 구성 다양성의 경우, <시사탱크>는 일부 패널의 지속적인 반복 출연이 나타났고 <시사진단>은 출연 패널의 직업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두 프로그램 모두 패널들의 정치 성향이 보수 편향으로 나타나 사회적 이슈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목소리를 접하기 어려웠다. 분석된 두 프로그램의 주제 및 패널 다양성은 서로 차이를 보이기 했지만, 내용 다양성이 높지 않은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시사 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서 다양성과 시의성 등이 새롭게 모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지상파 및 종합편성채널의 시사 프로그램이 방송의 여론 형성에 기여하는 역할을 고려할 때, 방송 시사프로그램이 추구해야 할 공론장 제공 및 여론다양성 형성을 위한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및 논의가 더욱 필요함을 보여준다. Diversity in current affairs TV show is a significant element for developing public discourse and public opin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versity between KBS 1TV"s current affairs TV show <Sisajindan> and TV Chosun"s <Sisatank>. To measure of diversity, programs were analyzed in two parts, diversity of topics and types of panels. To examine type of panels, the author focuses on diversity of occupation, political inclination, and frequency of appearance. As a results,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versity of programs. Our research data reveal that TV Chosun"s cover a narrow range of topics. In contrast, topic diversity degree of KBS 1TV is suitable. In <Sisatank>, few panels show majority appearance but they have various occupation. In <Sisajindan>, panels show low diversity of occupation but high professionalism. Particularly, <Sisajindan> and <Sisatank> show a strong political bias. Both programs have a strong learning towards conservatism. For these reasons, two programs do not play a role of forming public sphere and public disco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korean current affairs TV show need balance of topic and panels. Diversity in contents leads to the healthy public sphere and democracy.

      • KCI등재
      • KCI등재

        강릉시 일부 초등학교 양치교실 운영 사례 보고

        신선정 ( Sun Jung Shin ),신보미 ( Bo Mi Shin ),배수명 ( Soo Myoung Bae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3 치위생과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양치교실사업의 효과를 평가하고 추후 효과적인 사업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2011년에 양치교실을 설치하여 운영 중인 강릉시 P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양치교실 설치 후 구강건강행태 및 구강증상경험 수준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1. 모든 군에서 칫솔질 및 식습관에 대한 구강건강지식 문항의 정답률과 구강건강에 대한 바른 인식률은 낮은 수준이었고, 실험군 저학년의 자신의 구강건강수준을 매우 건강 또는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양치교실 설치 직후 35.7%에서 6개월 후 48.9%로 증가하였다(p=0.031). 2. 학교에서 점심식사 후 매일 칫솔질 실천율은 실험군 저학년에서는 1차 조사 시 53.5%에서 6개월 후 2차 조사 시 35.5%로 18.0% 감소하였고, 6개월 후 3차 조사 시에는 비슷한 수준(35.4%)으로 유지되었으며(p<0.001), 고학년에서는 2차 조사(42.1%)에 비해 3차 조사(35.1%) 시 소폭 감소하였다(p<0.001). 대조군의 매일 칫솔질 실천율은 실험군 3차 조사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저학년 28.6%, 고학년 6.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7, p<0.001). 3.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점심식사 후 매일 칫솔질하지 않는 이유로 이 닦는 것을 깜빡 잊어버렸기 때문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구강증상경험률은 실험군 고학년의 치통경험을 제외한 모든 증상에서 1차 조사에 비해 6개월 후 2차 조사 시 경험률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고학년의 입냄새 경험률은 2차 조사 시 실험군 14.7%에 비해 대조군 25.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6). 5. 실험군에서 양치교실을 이용할 때 대부분 보건 선생님이 지도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치교실 이용 시 불편한 점으로 양치교실의 위치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것과 양치교실이 좁아서 복잡하거나 혼잡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양치교실 설치사업을 통한 환경 개선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 선생님의 관리감독 강화, 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 등을 통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하며, 구강보건 교육 및 양치교실 설치사업이 다양한 건강증진전략과 통합하여 운영될 때 지역사회 아동ㆍ청소년 건강증진을 위한 통합건강증진사업으로도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겠다. In 2011, South Korea`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rted a national tooth brushing room program without a pilot project.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the implementation of this program in Gangneung, Korea. One-year outcomes of oral health behavior and self-reported oral symptoms in the study group after installation of the tooth brushing room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using chi-square test. The prevalence rate of good self-rated oral health in grade 1∼3 students increased from 35.7% immediately after installation to 48.9% after 6 months (p=0.031) compared to 37.3% in the control group (p=0.051). Immediately after installation of the tooth brushing room, 53.5% of grade 1∼3 students in the study group brushed their teeth every day, but after 6 months, only 35.5% of students brushed daily (p<0.001) compared to 28.6% in the control group (p=0.007). The prevalence rate of bad breath in grade 1∼3 students was 26.2% for the study group immediately after installation compared to 25.5% in the control group (p=0.065), but it declined 16.5% after 6 months (p=0.055). The prevalence rate of bad breath in grade 4∼6 students was 14.7% for the study group after 6 months compared to 25.3% in the control group (p=0.016). We recommend the creation of a healthy school environment through a school-based tooth brushing program under the active supervision of classroom teachers and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program processes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oral health.

      • KCI등재
      • KCI등재

        대구 지역 학교 급식 조리사의 안전사고 실태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신선정 ( Sun-jung Shin ),김효정 ( Hyochung Kim ),김미라 ( Meera Kim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7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0 No.6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atus of safety accidents of school foodservice cooks in Daegu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s in order to seek effective ways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school foodservice. The survey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safety accidents were ‘bruises’, followed by ‘burns’, ‘contact with harmful substances such as disinfectants’, ‘fall-off ’ and ‘sprains’. The mental fatigue perception of the respondents was generally lower than the physical fatigue perception. The means of the perception levels of work intensity, cooking environment of the foodservice place, and safety-related behaviors, and consciousness were 3.15, 2.99, and 4.06 out of 5 point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nnual average of the number of participating in the accident prevention training per person was 17.34 times, that is, the respondents received the training at least once a month on averag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that happened to foodservice cooks. It revealed that the work intensity perception and the cooking environment perception influenced the frequency of safety ac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