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御定朱書百選』 번역의 현황과 과제

        신상후 한국고전번역학회 2021 고전번역연구 Vol.12 No.-

        One Hundred Selected Letters from Zhu Xi by Jeongjo(Hereafter Hundred Letters) is, as the title reads, a collection of 100 letters that Zhu Xi had sent to his colleagues. In 1794, a selection that was overseen by King Jeongjo(1752-1800, r. 1776-1800) was completed and later circulated around Joseon both in moveable type and wood type edi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multiple anthological works of Zhu Xi. Still, the most used ones were the Outlines and Explanations of Works of Zhu Xi (Hereafter Outlines of Zhu Xi) compiled by Yi Hwang (1510-1570) and Hundred Letters. The reason for their popularity is predictable. Outlines of Zhu Xi was not only the first but also compiled by one of the most prominent scholars of Joseon. On the other hand, Hundred Letters was a work of the king himself. The reason behind King Jeongjo's compilation was to re-establish his vision of scholarship and writing style. Therefore, King Jeongjo encouraged scholar-officials and students of the National Confucian Academy to read this, and thus the following generation of scholars after Jeongjo studied Hundred Letters. The significance of Hundred Letters in the history of thought is twofold. First, as Hundred Letters became an essential part of the curriculum regarding Zhu Xi in the later Joseon era, it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Zhu Xi studies during this time. Second, it shows the inner thoughts of King Jeongjo himself. The process of selection itself is a deliberate job. Thus,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se selected Zhu Xi’s works, we can understand the viewpoint of the selector himself, King Jeongjo. The letters included in Hundred Letters are vast and diverse, and it enables us to see how Zhu Xi envisioned the 1) world and personal relations, 2) politics, and 3) scholarship – among others. This article provided an overview of the currently available Korean translations of Hundred Letters, mainly categorizing my analysis based on the three areas of analysis above. Based on my analysis, I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Previously available translations have accomplished a commendable job as they have provided a complete translation of Zhu Xi's works without skipping challenging phrases. Thus, it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studies of Zhu Xi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re are noticeable and significant mistranslations and an overall lack of additional commentaries that could potentially help the reader. I believe that this is because previous scholarship has not fully incorporated the works of other reliable commentaries, such as Collections and Commentaries on the Complete Works and Letters of Zhu Xi. Thus, I hope there will be more accurate and detailed translations that utilize these commentar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御定朱書百選』의 번역 현황을 파악하고 각각의 번역을 검토함으로써 향후의 과제를 조명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어정주서백선』은 조선조 22대 왕 正祖(1752-1800, 재위 1776-1800)가 편찬한 책으로, 朱子의 편지 중 학자들에게 특별히 긴요한 것 100편을 뽑아서 엮은 選集이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選集類 중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은 退溪 李滉(1501-1570)의 『朱子書節要』와 정조의 『주서백선』이다. 『주자서절요』가 널리 읽힌 이유는 최초의 선집이자 저명한 학자에 의한 편집이라는 것이었고, 『주서백선』이 널리 읽힌 이유는 임금에 의한 편집이라는 것이었다. 『주서백선』을 편집하고 간행ㆍ반포했던 정조의 의도는, 이를 통해 당시 학자들의 문체와 학술을 바로잡으려는 데에 있었다. 그래서 문신들과 성균관 유생들에게 이 책을 읽도록 적극적으로 권장하였고, 이 때문에 정조 이후의 학자들이 자연스럽게 『주서백선』을 탐독하게 되었다. 사상사적 관점에서 이 책의 의의는, 첫째, 조선조 후기 주자학자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 둘째, 정조 사상의 성격을 가늠해볼 수 있다는 점이다. 정조가 선별한 글을 분석함으로써 그 선별기준을 추측할 수 있고 이로써 주자학에 관한 정조의 관점을 규명할 수 있는 것이다. 『주서백선』에 실린 편지들은 그 내용이 다양하여, 이를 통해 朱子의 세계관과 인간관[理氣心性論], 정치관[經世論ㆍ時事出處論], 학문관[工夫論ㆍ辨異端論]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서백선』의 기존 번역 현황을 조사하고 각 번역서의 번역 사례를 검토하였는데, 서술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나열한 세 분야로 각 사례를 분류하여 검토를 진행하였다. 검토의 결과, 기존 번역은 난해한 부분도 빼놓지 않고 『주서백선』을 전량 번역하여 조선조 후기 주자학 연구에 이바지하였다는 의의가 있지만, 번역이 부정확하거나 해설이 미흡한 부분이 있다는 한계도 있었다. 이러한 한계와 문제가 발생한 원인으로 여러 가지를 들 수 있는데, 그중의 하나는 『朱子大全箚疑輯補』를 비롯한 여러 주석서가 충분히 활용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향후에는 여러 주석서를 참고한, 정확하고 상세한 번역이 출간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호락논쟁을 통한 낙론계 심론의 전개 -노주(老洲)ㆍ매산(梅山)에서 간재(艮齋)로의 전개를 중심으로-

        신상후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2

        Jeon Wu (1841-1922, pen name Ganjae)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scholars of the so-called Rak School of Confucianism. Especially, he is known as the successor of both Oh Huisang (pen name Roju) and Hong Jikpil (pen name Maesan). Notably, he openly proclaimed that “the debate over the Theory of Hreat-Mind belongs to the public realm. Thus, one should not refrain from exposing the errors of your predecessors, even if you belong to the same school,” and raised questions on Gim Changhyeop (pen name Nongmu, 1651-1708)’s theory on the so-called “Four Moral Sprouts and Seven Sentiments.” However, he never raised any objections on Oh Huisan or Hong Jikpil, indicating that he was a faithful successor of both Oh and Hong. However, some recent studies have argu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eon’s theory and what Oh and Hong had argued. The main evidence of this argument is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what the “heart-mind” and “original nature (Kr. bonseong, Ch. benxing 本性)” are. Oh, and Hong considered that the heart-mind, just like the “original nature,” is innately “good.” However, Jeon emphasi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art-mind” and the “original nature.” Although there might be some truth to this interpretation, accepting this interpretation implies that there are both continuity and divergence between Oh-Hong and Jeon, thus meaning that Jeon’s theory is contradictory. I argue that this interpretation is problematic. As an alternative, in this article, I demonstrate how Jeon succeeded some of Oh-Hong’s theories, and at the same time, advanced some of their ideas. Essentially, in order to argue that the “heart-mind” is innately good, Oh and Hong relied on the concepts of “Heart-Mind on Mibal (未發心),” i.e., the state of one’s heart-mind before it develops any emotions or thoughts. In contrast, Jeon relied on the theory that the original state of qi (氣質本體). Thus, all agreed that the heart-mind is innately good. In addition, Oh and Hong relied on the concept of the “illustrious virtue (明德),” to emphasize that the “heart-mind” and “original nature” exist in different dimensions. On the other hand, Jeon proposed a concept where the original nature becomes the teacher, and the heart-mind becomes the student. Thus, all agreed that the heart-mind belongs to the realm of the phenomena (形而下), while original nature belong to the realms of beyond phenomena (形而上). 학술계의 왕성한 토론과 논쟁은 그 구성원들의 활발한 소통을 보여주는 증거로서, 학술계의 수준과 생동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주자학(朱子學)의 심성론(心性論)과 관련하여 전개된 대표적 논쟁으로, 전통 학술계에서는 조선조 후기의 호락논쟁(湖洛論爭)을, 현대 학술계에서는 미발(未發) 논쟁과 율곡학(栗谷學) 논쟁을 꼽을 수 있다. 필자가 보기에 이 세 논쟁은 모두 주자학(혹은 율곡학)의 마음 이해를 둘러싸고 벌어진 논쟁이다. 주자학의 마음을 사적 인지심(認知心)으로 보는 견해와 도덕적 본심으로 보는 견해가 대립한 논쟁으로, 이에 대한 합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대체로 현대 연구자들은 전자의 입장에 기울어있다. 반면, 낙론계(洛論系) 심론은 후자의 입장을 취한다. 그들은 주자학과 율곡학의 중심테제를 견지하면서도 만물의 근원적 동일성을 천명하고 마음을 성과 일치하는 도덕 본심의 차원으로 확장하였다. 본고는 이와 같은 낙론계 심론을 분석함으로써 ‘주자학에서 도덕 본심이 성립할 수 있는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노주(老洲) 오희상(吳熙常, 1763~ 1833)과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 1776~1852),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 1922)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노주와 매산을 선정한 이유는 이들 이론에서 체계화된 낙론계 심론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 두 사람의 심론 중 간재의 계승과 연관하여 미발심체본선설(未發心體本善說)과 명덕주기설(明德主氣說)을 분석하였다. 간재는 노주와 매산의 심론을 계승하면서도 ‘성사심제설(性師心弟說)’과 ‘기질체청설(氣質體淸說)’을 제창함으로써 발전적 전개를 이루었다. 따라서 간재의 진일보한 심론을 통해 우리는 주자학ㆍ율곡학 체계 내에서 도덕 본심의 지지 근거가 어떻게 마련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주희(朱熹) 철학에서 이순(耳順)의 형이상학적 의미 - 『논어(論語)』 ‘지우학(志于學)’장에 대한 주희의 해석을 중심으로

        신상후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5 No.-

        『논어』 「위정(爲政)」 ‘지우학(志于學)’장은 공자(孔子)가 자신의 인생을 회고하며 스스로 거쳐 온 삶의 과정을 6단계로 서술한 내용이다. 공자는 유학에서 인간의 이상이자 목표로 제시되는 성인(聖人)의 현현이기에, 공자의 삶의 과정에 대한 직접적 서술은 유학자들의 많은 주목을 끌었다. 그러나 그 구체적 해석에 있어서는 견해의 차이를 보이는데, 그 차이는 특히 ‘이순(耳順)’에 대한 이해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주희(朱熹)는 이순을 ‘앎이 지극해져 생각하지 않아도 아는 것[知之之至 不思而得也]’으로 해석하였다. 불혹(不惑)-지천명(知天命)-이순(耳順)의 단계를 앎[知]의 심화과정으로 본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후대의 학자, 예컨대 다산(茶山)ㆍ이토 진사이[伊藤仁齊]ㆍ초순(焦循) 등에게 거부되었다. 이들은 ‘이순’을 ‘이치에 어긋나는 말이나 자신을 비방하는 말을 들었을 때 귀에 거슬리지 않음’의 의미로 해석하였으며, 주희의 해석에 대해서는 ‘공자를 신성화하려 했던 무리한 시도에서 발생한 오역’이란 평가를 내렸다. 그러나 주희의 해석은 그의 존재론과 심성론에 입각해있는 것으로서, 다산 등의 지적과 반대로 주희는 이순을 포함한 6단계의 과정에 대해 ‘신성한 성인’에게 적합한 것이 아니라 보통사람에게 알맞은 점진화 과정이라고 보았다. 말하자면, 주희에 해석에 대하여 공자의 신성화를 문제 삼는 것은 실상 주희가 계획한 인간의 신성화를 거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지우학’장에 대한 주희의 해석은 그의 존재론과 심성론의 전체 문맥 하에서 이해하여야 오독을 피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주희가 ‘불혹-지천명-이순’을 앎[知]의 심화 과정으로 이해한 것에 주목하되, 그 이해의 토대로서 그의 ‘본체-현상의 일원적 존재론(체용일원(體用一源)의 존재론)’을 먼저 검토하였다. 그 존재론을 검토하여야 불혹, 지천명, 이순 사이의 의미 차이가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주희는 불혹을 사(事)의 측면에서 아는 것, 지천명을 리(理)의 측면에서 아는 것, 이순을 사(事)와 리(理)에 모두 통달한 것이라고 하여 구분한다. ‘사(事)-리(理)-리사(理事)’의 진전은, 화엄(華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현상적 앎-본체적 앎-본체와 현상을 통일하는 앎’이라는 말로 설명할 수 있다. 천리가 본체적 측면과 현상적 측면의 두 층위를 갖는 만큼, 앎의 극치에 도달한 성인은 천리의 두 측면에 대한 앎을 모두 획득하여 둘을 통일하는 인격이며, 이러한 성인의 경지를 『논어』 ‘지우학’장의 용어로 하면 ‘이순’이 되는 것이다. 'Jiwoohak' in Confucian Analects is described as one stage of the six-process of life written by Confucius after he recalls his own life. Since Confucius is suggested as a incarnation of sage and also as a being of ideal living, many Confucian scholars have paid attention to this direct description of Confucius's life. Nevertheless, the Confucian scholars show different opinions on a detailed interpretation, especially on the interpretation on 'Isoon(耳順)'. Zhu Xi interprets 'Isoon' as a stage of getting to know without thinking because of that one's Ji(知) reached the most. He thinks that the three-process of 'Boolhok(不惑)' - 'Jicheonmyeong(知天命)' - 'Isoon' is an intensive course of 'Ji'. But, this Zhu Xi's interpretation is rejected by some of the later scholars such as Dasan Chong Yak-Yong, Ito Jinsai and Jiao Xun etc. These later scholars interpret that 'Isoon' is a stage of being not offensive when someone hears of something against the process of nature or slander on oneself. And they regard Zhu Xi's interpretation as a mistranslation by his impractical attempt to sanctify Confucius. However, Zhu Xi's interpretation is based on his Theory of Mind-Nature and the six-process is applied not to a sage but to an ordinary human. Therefore, to raise a question on Zhu Xi's interpretation means to disagree the sanctification of human designated by Zhu Xi and Dasan Chong Yak-Yong and Ito Jinsai stand on that position. Then, Zhu Xi's interpretation on ‘Jiwoohak’ should be read in the context of his Mind-Nature Theory not to misread it. In addition, to analyze his interpretation on the six-process of life can help Zhu Xi's Theory of Mind-Nature and understanding of human. This paper focuses on that the three-process of 'Boolhok' - 'Jicheonmyeong' - 'Isoon' is an intensive course of 'Ji'. Zhu Xi accounts that 'Boolhok' is to know in terms of Sa(事, affair), 'Jicheonmyeong' is to know in terms of Li(理, principle) and 'Isoon' is to be well versed in terms of both Sa and Li. The progress of 'Sa - Li - Li and Sa' can be explained as 'phenomenalistic knowing - substantialistic knowing - knowing the unit of phenomenon and substance' as Avatamsaka shows. The development of this three-process means not an increase or extend of the knowledge but a leap and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a subject and object.

      • KCI등재

        姜靜一堂의 공부론과 그 철학적 토대

        신상후 한국동양철학회 2019 동양철학 Vol.0 No.51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Neo-Confucianism that can resolve conflicts with women. In order to do this, Kang Jungildang(姜靜一堂)’s study, especially her study theory, and its philosophical foundation is analyzed. Many of Jungildang’s works can be classified as study theories, and ontology is less found. Thus, the lack in Jungildang’s statement is complemented by other scholars’ theories which have influenced on her. The characteristic of Kang Jungildang’s study theory is that first, emphasis on acquiring knowledge and pursuing erudition; second, accepting and practicing Lee Yn Ping(李延平)’s tiren(體認) study in the Mibal(未發) state. Kang’s study theory i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acquiring knowledge, practicing and Mibal study, rather than two components, acquiring knowledge and practicing. The three-components-structure was stated by Yulgok Yi-I(栗谷 李珥) and consolidated by Nakhak(洛學) that succeed to him. Kang Jungildang actively practiced tiren study in the Mibal state. Even though Zhu Xi(朱熹) warned that ‘(the study) can lean toward stillness’, Nakhak scholars in Joseon Dynasty, including Kang Jungildang, emphasized tiren study and its practice. This study theory is rooted on the Mibal heart-theory(未發心論). According to the Mibal heart-theory, mind is already in the awake and active state, though it does not perceive any subjects. Also, there is no distraction in the Mibal state. From this perspective, Nakhak scholars could emphasize tiren study in the Mibal state. Kang Jungildang also stressed acquiring knowledge in studying. Kang not only pursued wide and deep learning, but especially valued the knowledge satisfying the appropriateness(中節) in the everyday life. Kang set reasonable criteria, while concerning the complexity in reality, and the changes in history and society. In other words, Kang would like to become ‘a master of li(禮)’, who can unify ‘the one origin(一原)’ and ‘diversity of manifestations(分殊)’. Tiren study that Kang praticed became foundation for the main agent,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was required to unify the two. The academic goal of Kang was consequently on being the main agent who unified the one origin and diversity of manifestations. Nakhak’s heart-theory served a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to achieve it. 본고는 ‘여성과의 갈등 문제 해소의 여지를 지닌 성리학’의 성격을 살펴보기 위하여, 조선조 후기 여성 성리학자 姜靜一堂의 학문을 분석ㆍ검토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정일당의 공부론을 분석하고 그 철학적 토대를 탐색하는 방식을 취하였는데, 이는 정일당의 남아 있는 저술 중의 상당수가 공부론의 범주로 분류될 수 있을만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또 본고는 공부론의 철학적 토대를 분석함에 있어 정일당의 서술로 부족한 부분들은 그에게 영향을 준 주변 학자들의 이론을 참고하여 그 내용을 채웠는데, 이렇게 하면 정일당 학문의 이론적 특징을 추적할 수 있을 것이고, 이로써 ‘여성과의 갈등 문제 해소의 여지를 지닌 성리학’의 성격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정일당의 공부론의 특징은 첫째, 知공부를 강조하고 博學을 추구한다는 것이고, 둘째, 李延平의 未發時 體認 공부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실천한다는 것인데, 이 공부론은 洛學의 未發心論에 의해 존재론적으로 정당화된다. 정일당은 知공부에 있어 깊이와 넓이를 모두 추구하였지만, 특히 일상의 中節을 성취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을 중시하였다. 그는 현실의 다층성과 역사·사회의 변천을 스스로 헤아림으로써 자신이 마주한 현실에 맞는 규범을 산출해내고자 하였다. 말하자면 그는 禮의 주인이 되고자 했던 것이다. 예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一原과 分殊를 통일하는 주체가 된다는 의미이다. 정일당이 수행했던 미발시 체인 공부는 이 주체의 기초를 마련하는 공부였고, 지공부는 그 주체가 통일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 필요한 지식을 쌓는 공부였다. 정일당 학문의 목표는 일원과 분수의 통일을 성취하는 주체가 되는 데에 있었던 것이고, 이 목표의 설정에 洛學의 未發心論이 철학적 배경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영화 <라쇼몬>, 절망인가 희망인가?

        신상후 인문예술학회 2019 인문과 예술 Vol.- No.6

        본 논문은 영화 <라쇼몬>의 두 주제, ‘객관적 인식의 불가능성’이 주는 절망과 ‘신뢰할 수 있는 인간’이 주는 희망을 철학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객관적 인식의 불가능성은 회의주의(skepticism)의 중심 주제로, 고대 서양의 피론주의(Pyrrhonism)에서 이미 선언되었던 것이다. 객관적 인식이 불가능한 이유는 인간의 인식이 특정한 형식에 의존적이기 때문인데, 포스트모더니즘의 회의주의는 인식의 형식ㆍ패러다임ㆍ에피스테메가 다양하며, 각각의 패러다임은 통약 불가능하므로 동일한 정당성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회의주의는 상대주의로 귀결된다. 상대주의가 주는 혼돈과 방기를 극복하고 진리와 가치를 말하기 위해 정대현은 새로운 진리 개념으로서 ‘맞음’의 개념을 정립한다. 그런데 이 정립은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선이론적 세계를 상정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므로 이 상정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이 귀결하는 ‘객관적 인식의 불가능성’ 문제에 다시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그의 철학적 처방은 아직 해결되지 못한 물음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포스트모더니즘의 회의주의가 우리를 불가지론의 절망에 봉착하게 함에도 불구하고, 영화 <라쇼몬>은 그 종결에서 휴머니즘적 희망을 말한다. 회의론적 절망과 휴머니즘적 희망은 어떻게 일관될 수 있는가? 사실 <라쇼몬>이 말하는 절망은 이론적 인식이 제기하는 회의론적 절망은 아니었다. 이 절망은 인간의 이기심에 연유한 것이었다. 결국 이기심이 어떻게 이타심으로 비약할 수 있는지 해명되어야 <라쇼몬>의 결말은 이해될 수 있는 것인데, 본고는 주자학(朱子學)과 조선의 낙학(洛學)이 이를 해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주자학은 인간을 ‘만물을 낳고 살리는 천지의 마음[天地生物之心]을 간직한 존재’로 간주하는데 인간이 이기심을 극복하고 이타적 실천을 할 수 있는 것은 이 마음에 근거한 것이다. 특히 조선의 낙학(洛學)은 이 본연의 마음에 주목하여 ‘이기심 극복’의 가능 구조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 본고는 이 두 이론에 입각하여 <라쇼몬>이 말하는 희망의 가능구조를 철학적으로 해명하였다. The article aims to analyze the theme of the movie, <Rashomon>. Two main themes, despair, led by ‘the impossibility of objective cognition’ and hope, brought by a ‘reliable human,’ are addressed in the movie. The impossibility of objective cognition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kepticism in Western philosophy in this article. The reason why it is impossible to make an objective perception is that human cognition relies on the particular form. Skepticism in Postmodernism claims that cognition depends on system·paradigm·episteme, and respectively each paradigm is valid. Such Skepticism ultimately concludes to Relativism. Philosopher Dai-Hyun Chung established a new theory to overcome despondency led by Relativism, and to address truth and value. Postulating a new sphere beyond human cognition enables establishing the new theory. However, the postulation again faces the problem, ‘the impossibility of objective cognition.’ Despite the fact that Skepticism in Postmodernism falls us into hopeless, the ending of <Rashomon> gives hope in humanity. Postmodernism in the West is unable to present a structure giving hope, however, Neo-Confucianism can provide a solution. Zhu Xi’s philosophy argues that human has the “mind of Heaven and Earth to produce things 天地生物之心也,” which serves as a foundation of altruistic behaviors and conquering selfishness. Nakhak 洛學 in Joseon particularly focused on Mibal 未發 (the state of heart-mind before expressing) to consolidate ‘the structure to conquer selfishness.’ This article proposes philosophical grounds that is suggested in <Rashomon> from the theory of heart-mind in Zhu Xi’s philosophy and that of Heart-Mind on Mibal of Nakhak.

      • KCI등재

        왕필(王弼) 『주역(周易)』 해석의특징에 관한 연구: 『주역약례(周易略例)』를 중심으로

        신상후 철학연구회 2019 哲學硏究 Vol.0 No.125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해석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왕필의 『주역』 해석이 도가적이라고 말해왔다. 그가 『노자』의 철학에 입각하여 『주역』을 해석했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기존의 견해에 반대하는 입장이있다. 그들은 『노자주』의 내용과 『주역주』의 내용이 구분될 수 있으며, 구분해서 보아야만 왕필의 철학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이 입장을 취하는 두 명의 연구자들도 왕필의 『주역』 해석에 대해서는 완전히 다른 평가를 내린다. 한쪽은 왕필의 역학이 비정합성의 문제를 지닌다고 비판하고, 한쪽은 왕필의 역학이 정합적 체계를 이룬다고 평가한다. 왕필 『주역』 해석의 성격 규정과 관련하여 해명을 요구하는 문제들이 남아있는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왕필의 『주역』 해석의 성격과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왕필의 『주역약례(周易略例)』를 검토⋅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분석을통해 본고는 왕필 『주역』 해석의 특징을 모두 네 가지로 정리⋅제시하였는데,이 특징들은 ‘왕필의 『주역』 해석은 철저하게 십익에 의거하고 있다.’는 말로 요약될 수 있다. 그렇다면 왕필의 『주역』 해석은 도가적 해석으로 규정될 수 없을것이며, 또 일관되게 십익에 의거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정합성을 유지하는 체계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Wang Pi(王弼, 226-249), a Chinese philosopher in the 3rd century,wrote two books, the Commentary on the Laozi(老子注) and theCommentary on the Book of Changes(周易注). We can only refer thesetwo short books to understand his philosophy. Wang Pi’s philosophyhas been defined as Xuanxue(玄學) or Neo‐Daoism by the scholarswhom studied the history of philosophy until now. Neo‐Daoism isrooted on the idea that the essence of the world is profound Dao(道). If Wang Pi is seen as a Daoist philosopher, Daoism is deeplyembedded in his translation on the Book of Changes. In deed, manyscholars have perceived his translation as Taoistic, which implies thathe translated the Book of Changes from the perspective of Laozi(老子). However, there are many opposite opinions to it. It is argued that theCommentary on the Laozi and the Commentary on the Book ofChanges can be seperated, and it should be divided in order to fullyunderstand his philosophy. In other words, the argument suggests thathis philosophical system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refore, Wang Pihas been criticized that his philosophy is not unified, but histranslation is not coherent. This article aims to bring in new perspectives on Wang Pi and hisworks. It proposes that Wang Pi’s philosophy and his translation arecoherent. First, his translation of the Book of Changes will beanalyzed, providing the original text of General Principles of the Bookof Changes(周易略例). Also, selected cases from the Commentary on the Book of Changes will be given to support. Accordingly, Wang Pi’stranslation is a coherent wh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