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인산과 칼슘 이온을 함유한 수용액중에서의 타이타늄 표면처리

        신미정 慶北大學校 齒科大學 1997 慶北齒大論文集 Vol.14 No.-

        본 연구는 타이타늄을 인산완충액으로 전처리한 후 유사체액에 침적함으로서 타이타늄 표면에 생성되는 인산칼슘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산도와 농도가 다른 9가지의 용액에 10일간 침적처리 하고, 그 후 유사체액의 일종인 Hanks' 액에 30일간 침적하여 SEM, XRD, FTIR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유사체액에만 30일 침적한 타이타늄에 비해 각각의 농도와 산도를 가지는 인산완충액에 전처리후 유사체엑에 침적한 경우 표면의 형성층이 증가하였다. · 타이타늄 표면의 형성층은 과립상으로, 중성과 알카리의 인산 완충액을 사용한 경우가 산성의 인산완충액을 사용한 경우보다 많고, 조밀도도 우수하였다. · 인산완충액에 전처리한 후 유사체액에 30일간 침적한 경우 형성된 층은 인산칼슘이며, HA나 β-TCP일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The surface of titanium specimens was treated by immersion in phosphate buffer solution(pH 5.8, 7.0, 8.0) for 10 days and then simulated body fluid(SBF) for 30 days. The surfaces treated by the above methods were characteriz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X-ray diffractometery(XRD)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phtometry (FTIR), and compared with specimen immersed in only SBF.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mmersion in phosphate buffer solution accelerated the formation of the surface film. The layer that formed was granular shaped microstructure, and recognized as calcium phosphate such as hydroxyapatite(HA) or tri-calcium phosphate(TCP). The thickness of the layer was increased with immersing in phosphated buffer solution in order pH 8.0, 7.0 and 5.8 and density was improved in order pH 7.0, 8.0 and 5.8.

      • KCI등재후보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미정,이양수 충북연구원 2018 지역정책연구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to analyze impacts of socio-demographic and social capital variables on the subjective welling-being. Social capital is segmented into trust, participation, network and belief in this study which are supposed to a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the “2017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which is 8000 samples across all of the Korea aged from 19 to 69. Main results of SPSS 23.0 are the same as followings. First, the determinants of subjective well-being are gender, age, education, residence type, income and health condition regarding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the determinants of subjective well-being in terms of social capital variables are personal trust, communication, loneliness, altruism, affiliation, fairness. Especially, loneliness among the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is the most important effecting variable on the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also found that government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are not significant variables to a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Well-being is more and more important social iss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information for the government officers to make effective welfare policy for the residents in their constituency.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행정연구원 2017년 사회통합실태조사”를 이용하여 전국 17개시·도의 만 19세 이상 69세 이하의 주민 8,0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인구·사회적 특성만을 투입한 경우는 성별, 연령, 지역, 학력, 건강상태, 소득수준이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만을 투입한 결과는 대인신뢰, 한계적 소통망, 고립감, 대인소통, 이타심, 소속감, 공정성이 주관적 웰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는 인구·사회적 특성과 사회적 자본 모두를 투입한 결과는 대인신뢰, 한계적 소통망, 고립감, 대인소통, 이타심, 소속감, 공정성이 주관적 웰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질적 네트워크의 수준인 고립감은 주관적 웰빙에 일관되게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영향력의 크기는 고립감, 건강, 소속감, 대인신뢰, 한계적 소통망, 학력, 대인소통, 이타심, 소득, 공정성, 성별 순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정부신뢰, 사회적 참여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의 핵심요소인 신뢰, 참여, 네트워크, 규범으로 구성하여 하부요인을 세분화하여 주관적 웰빙과의 영향관계 규명과 주관적 웰빙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에 대해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본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적 자본의 유용성에 주목함으로써 지방정부의 주관적 웰빙 향상을 위한 정책의 방향성과 시사점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입원 척수손상환자 돌봄자의 장애수용정도 및 부담감과 대처행동 간의 관계

        신미정,박혜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4

        목적 : 본 연구는 척수손상환자 돌봄자의 장애수용정도, 부담감, 대처행동의 일반적인 경향과 돌봄관련 특성과 척수손상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재활병원 및 종합병원 8곳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척수손상환자의 돌봄자 103명이었고, 연구변인들에 대한 측정으로 돌봄자의 장애수용, 수발자 부담 측정도구, 돌봄자의 대처행동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첫째, 척수손상환자 돌봄자들은 보통 정도의 장애수용을 하고 있었고, 신체적 부담감을 가장 많이 느꼈으며, 문제해결지향적 대처행동과 정서지향적 대처행동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여성 돌봄자가 남성보다 사회적 부담감을 많이 느끼고, 정서지향적 대처행동을 사용하였으며 돌보는 횟수가 많을수록 시간-의존, 발달, 사회적, 정서적, 재정적 부담감이 증가하였다. 또한 돌보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시간-의존 부담감, 사회적 부담감이 증가하였고, 긍정적 관심의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경추와 흉추손상환자의 돌봄자가 요추손상환자의 돌봄자보다 시간-의존 부담감과 발달 부담감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고, 희망적 관심의 대처행동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돌봄자의 장애수용정도가 높을수록 부담감을 적게 느꼈으며, 정서지향적 대처의 무관심한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재활상담현장에서 돌봄자들이 긍정적 장애수용을 하도록 돕고, 다양한 문제해결탐색과 신체적지지 추구를 도울 수 있는 교육, 상담 및 실제 프로그램이 요구되어 진다.

      • KCI등재

        사단급 이하 의무시설 근무자의 감염관리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지식, 태도와 수행도

        신미정,강자현 국군간호사관학교 군건강정책연구소 2019 군진간호연구 Vol.37 No.2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KAP) of standard precautions for infection control among healthcare workers (HCWs) in military division medical facilities, to investigate associations among the KAP,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infection control education programs. Method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he subjects consisted of 141 HCWs including nursing officers, army surgeons, medical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medics working at or below the military division medical facil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4, to September 5, 2018 by visiting the facilities.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t-test, Mann-Whitney test, one-way ANOVA with Tukey post-hoc, or Kruskal-Wallis test were applied for the data analysis. Results: The knowledge scor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x, military rank, type of position. The practice scor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tal work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knowledge and practice of standard precautions of infection control in nursing office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is study (r=.46, p=.032).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observational study that can monitor the actual practice of standard precautions of the subjec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for infection control in military division medical facil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부진 및 중도탈락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및 교육적 지원방법 고찰

        신미정,추봉남,송명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pecific support plan at the university level for learners who experienced academic probation and academic underachievement by analyzing domestic research trends on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o achieve this, this study was to select and analyze final 126 papers to the academic probation, low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underachievement, and dropout, published in domestic registered journals from 1997 to 2021. First of all, this study was to analyze general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four analytical variables (study characteristics, research object, research theme, research method). Subsequently, in order to basic data that are helpful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to prevent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e futur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focusing on support plan (independent variable, arbitration period, arbitrator, and dependent variable, etc.), targeted to a total of 24 experimental studies. Result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published in 62 various journals in 16 fields, focusing on journal papers in education field. Second, the research object showed high frequency of studies for general students and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Third, ‘Cause Analysis’ and ‘Characteristics and Status’ related to academic probation and dropout were conducted focusing on quantitative research, while ‘Effect Verification’ was conducted focusing on quant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and ‘Overcoming Process and Counseling Experience’ focusing on qualitative research.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mental research only, the number of research object was composed of various students, and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experimental design mainly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Fifth, most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experimental research used learning support programs as part of education support program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was to discuss extra-curricular education support plan necessary to prevent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for the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probation.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부진 및 중도탈락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학사경고 및 학업저성취 학습자에 대한 대학 차원에서의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1997년에서 2021년까지 국내 등재지에 게재된 학사경고, 학습부진, 학업저성취, 중도탈락 관련 총 186편의 논문중 본 연구의 분석기준 및 내용과 연구대상이 명확한 논문을 최종 126편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전반적 연구 동향을 네 가지분석 변인(연구특성,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어서 향후 대학생의 학업부진 및 중도탈락 예방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총 24편의 실험연구를 대상으로 지원방법(독립변인, 중재기간, 중재자, 종속변인 등)을 중심으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육학 분야 학술지를 중심으로 16개 분야 62개의 다양한 학술지에 발표되었고 2019, 2021년에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일반 학생 대상 연구와 학사경고자 대상 연구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셋째, 학사경고및 중도탈락 관련 ‘원인파악’ 및 ‘특성 및 실태’는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며, ‘효과검증’은 양적연구 및 혼합연구를 중심으로, ‘극복과정 및 상담경험’은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넷째, 실험연구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 인원은 다양하게 구성되었으며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실험연구는 대부분 독립변인으로 학습지원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인은 학업성취도와 표준화된 측정도구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학사경고 및 학업저성취 대학생의 학업부진 및 중도탈락을 예방하는데 필요한 비교과 교육지원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지도사 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미정,김명숙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4 청소년복지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사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청소년지도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청소년시설‧청소년단체‧청소년관련 기관 등에서 현재 청소년육성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사를 대상으로 2023년 8월 14일부터 9월 2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총 376명의 자료를 SPSS 26.0과 AMOS 26.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잠재구조모형 및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청소년지도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지도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간에는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각적인 논의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youth workers'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mong youth workers. For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currently engaged in youth development work in youth facilities, youth organizations, and related institutions nationwide from August 14th to September 25th, 2023. A total of 376 sets of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statistical software to perfor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higher levels of self-efficacy among youth worker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job satisfaction. Second, higher levels of resili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ird, resilience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multidimensional discussions and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to enhance self-efficacy and resilience as strategie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mong youth workers.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부진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K대학교의 러닝맨(Learning-men)을 중심으로

        신미정,송명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operating case of “Learning-men” as a supporting program for low achieving students of K University in order to objectively verify the effects on both th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and their core competencies, as well as to provide key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a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 for score improvement. Learning-men promotes learning motivation and student success by providing scholarships to excellent students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ir academic improvement and by conducting three-step programs for high-risk learners who are likely to accumulate academic warnings due to their repeated low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average change in grade average (GPA) and core competencies before and after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by applying a mixed research method using data from a total of 342 Learning-men students, and from interviews based on 10 academic warnings, academic continuity factors, and program participation effect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both the underachieving students and the self-participating students enrolled in the program who had an academic achievement of (t=-13.376, p<.001) and core competencies of (t=-17.867~-21.305, p<.001) improved significantly. Second, 39 out of 45 students who were placed on academic probation (86.7%) improved their grades and were released from their probation. Third, through analyzing the qualitative data, we found that the reason why these students received academic probation was due to university environmental and internal factors, and that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as based on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Nevertheless, their motivation to learn in this program, their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mproved. These research results verified that participation in the low academic achievement Support Program can be used as a tool to strengthen college students' academic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systematic operation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methods for a low academic achievement Support Program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K대학교의 학업부진지원 프로그램인 러닝맨(Learning-men)의 운영사례를 제시하고 학업 성취도와 대학생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러닝맨은 직전 학기 학사경고자, 학사경고 경험자, 반복적인 학업저성취로 학사경고가 누적될 가능성 이 높은 고위험군 학습자와 성적향상을 목표로 하는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진단, 교육 및 컨설팅, 성찰의 3단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학업성적 개선 정도에 따라 우수학생에게 장학금을 지원함으로써 학습 동기와 학생 성공 경험을 고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1학년도 2개 학기 동안 러닝맨을 이수한 총 342명의 자료와 학사경고자 10명의 인터뷰 자료를 활용한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학년평량평균(GPA)과 핵심역량 의 평균 변화를 분석하였고, 학사경고 요인, 학업 지속 요인 및 프로그램 참여 동기, 프로그램 효과를 중심으로 장학수기 및 심층 면담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업부진 학생과 자율 참여 학생 모두 학업성취도 (t=-13.376, p<.001)와 핵심역량(t=-17.867~-21.305,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자 45명 중 39명(86.7%)이 성적이 향상되어 학사경고를 탈출하였다. 셋째, 질적 자료를 통해 참여 학생들이 학사경고를 받은 이유를 대학환경요인과 개인 내적 요인으로, 학업 지속 요인 및 프로그램 참여 동기는 외적 요인과 내적요인으로, 프로그램 효과로 학습 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역량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업부진지원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들의 학업역량 및 핵심역량의 강화 도구가 됨을 검증한 것이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학업부진지원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운영 및 효과성 검증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