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식적 경막외 신경차단술에 실패한 환자에서 미추 경막외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차단술

        신동은,안태근,양성욱,김태호,김민욱 대한척추외과학회 201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6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report the results of caudal epidural injections using a catheter in patients in whom conventional epidural block had failed.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Epidural nerve block is often used to treat chronic back pain and radicular pain in degenerative lumbar disease, and percutaneous epidural neuroplasty or surgery may be an alternative if it fails. Material and Methods: In total, 146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audal epidural block using a catheter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from January 1, 2015 to June 30, 2019. Forty-five patients who had not undergone any epidural block in the past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Among patients who did not have a fracture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1 month, the medical records of 61 patients with degenerative disc herniation, spondylosis, and stenosi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 Results: Of the 61 patients who had undergone epidural block through a transforaminal caudal approach with no pain control effect, there were 18 males and 43 females. Their mean age was 66.3 years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64 months. There were 46 cases of spinal stenosis, 33 cases of spondylosis, 2 cases of spondylolisthesis, 9 cases of disc herniation and 1 case of ankylosing spondylitis. The mean number of epidural blocks was 5.85 (times) before the procedure. The mean initial VAS score was 5.34 and the final follow-up VAS score was 2.7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 (p<0.05). The mean duration of effect after the procedure was 1.84 months and the mean number of procedures was 2.30. After the procedure, there were 4 cases of surgical treatment, 2 cases of neuroplasty, and 3 cases of epidural block using other methods over more than 1 year of followup.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clinical study suggests that caudal epidural injections using a catheter may be effective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ho have not responded to previous epidural blocks before surgical treatment. Key words: Back pain, Catheter, Epidural block, Caudal block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본 저자들은 기존의 경막외 차단술을 통하여 통증조절에 효과가 없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외래서 시행할 수 있는 미추 경막외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차단술을 시행하였고, 임상 결과를 분석,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만성 요통 및 하지 방사통을 해결하기 위해 경막외 신경 차단술이 흔히 사용되며 경막외 신경 차단술이 실패한 경우에는 신경 성형술이나 수술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1월 1일부터 2019년 6월 30일까지 본원에서 1회 이상 미추 경막외 카테터를 이용한 환자 146명 중 이전 신경차단술을 시행한 경험이 없는 45명을 제외하였으며, 남은 101명 중 골절이 없고 1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한 61명의 퇴행성 디스크 탈출증, 척추증, 협착증 환자군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영상 자료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시술전 단순 방사선 사진 및 MRI 영상을 이용한 평가 그리고 임상적 결과 분석을 위해 시술 전후의 통증 정도(VAS)를 조사하였다. 결과: 이전에 경추간공, 미추 접근법 등을 통한 신경차단술을 받았고 시술 이후 통증조절 효과가 없는 61례 중 남자 18명 여자 43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66.3세, 평균 추시 기간은 2.64개월이었다. 진단별로 척추관협착증 46예, 척추증 33예, 척추전방전위증 2예, 디스크탈출증 9예, 강직성 척추염 1예 였다. 시술전 다른 방법을 통한 경막외 차단술 횟수는 평균 5.85회였고 내원 초기 평균 VAS는 5.34, 시술후 최종추시상 2.70였으며, 대응표본 t 검정을 통하여 시술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05). 시술 후 효과유지 평균기간은 1.84개월이었으며, 평균 시술 횟수 2.30회였다. 시술 후, 임상증상의 호전이 없어 수술적 치료를 받은 경우가 4예, 신경성형술 치료를 받은 경우가 2예, 이후 다른 방법을 통하여 1년이상 지속적으로 신경차단술을 받은 경우가 3예 있었다. 결론: 상기 임상 결과를 볼 때, 기존의 경막외주입법을 통한 신경차단술에 대하여 효과가 없는 환자군에서 미추 경막외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차단술은 수술적치료를 행하기 전 시도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좋은 경막외 신경 차단 방법으로 사료된다. 약칭 제목: 외래서 시행하는 미추 경막외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차단술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 교양교육 사례연구

        신동은,윤영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analyse the policy of general education of community college in USA which has emphasized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of vocational program in order to obtain for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delivery of general education of university college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are four related to the general education policy of community college, the purpose and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the delivery of general education and the implication for us. The research findings were that community college has dwelt on general education program for satisfying industry needs and students’ longterm pathways. Two case colleges – Stella and Charles Guttman Community College(NY) and Cascadia Community College(WA) – set institutional learning outcomes including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problem solving skills, cognitive skills etc. in addition to job skills.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amounts to more than 25% of whole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in relation to learning outcomes. and coursed are delivered in according to the learning outcomes. In many cases, courses are implemented based on the student-centered and capstone experience. The findings drew the three implications of general education for university college education in Korea as follows. Firstly, the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of university college needs to be covered broad competencies to respond to this ever-changing job environment. Secondly,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on the base of learning outcomes rather than shortterm practicality. Thirdly, general education should include student-centered activity such as capstone experience, service learning and so on. The researchers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is kind reorganization of general education can be available on the basis of whole innovation of the institution and the continuous support for the individual university college level should be provided by the nationwide professional agency. 본 연구는 짧은 수업연한과 직업교육기관의 특성을 갖는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목적 및 운영 방 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미국 커뮤니티 칼라지의 교양교육 정책과 교양교육의 운영 사례 를 분석하였다. 미국은 지식정보사회로 접어들면서 폭넓은 역량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가 많아지 고, 직업교육 분야 졸업생들의 계속교육 참여 비율이 높아지면서 커뮤니티 칼리지의 직업준비 전 문학사 과정은 취업뿐 아니라 장기적인 경력개발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양교육을 강화하였다. 사례로 살펴본 거트만 대학과 캐스캐디아 대학은 모든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서 문제해결능력, 평생학습능력, 지식의 연계 능력 등을 포함하는 학습성과를 정의하고 있다. 대 학의 교양교육과정은 최소한 25% 이상 편성되며, 학습성과와 밀접히 연계하여 개발·운영됨으로 써 학습자들의 학습성과 성취를 보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문대학의 교 양교육 목표는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폭넓은 학습성과를 포함해야 한다. 둘째, 교양교육과정은 단기적인 실용성에 주력하기보다는 역량 달성에 정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개발되어 야 한다. 셋째, 교양 교과는 학생들이 지식을 다양한 맥락에 적용할 수 있도록 캡스톤 경험을 기 반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교양교육의 재정립은 대학 전체의 교육 혁신을 통하여 이루 어질 수 있으며, 교양교육 혁신의 물적 토대가 마련되지 않은 개별 전문대학에 필요한 지원을 제 공해 줄 수 있는 전문대학 차원의 지원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관절면을 침범한 설상형 종골골절의 수술적 치료: 관혈적 및 Essex-Lopresti 술식에 따른 비교

        신동은,윤형구,한수홍,최우진,안창수,옥현수,Shin, Dong-Eun,Yoon, Hyung-Ku,Han, Soo-Hong,Choi, Woo-Jin,Ahn, Chang-Soo,Ok, Hyun-Soo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0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4 No.2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operative treatment in patients with tongue type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and to compare the open reduction and Essex-Lopresti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a consecutive series of 42 patients who received surgical treatment for tongue type calcaneal fracture (24 cases of the open reduction and 18 cases of the Essex-Lopresti technique) and the postoperative data was compared with a minimum 1 year follow-up. The clinical outcome was analyzed using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hindfoot scale and Salama's criteria. The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changes in the Bohler angle was radiologically analyz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However, for the Sander's type 3 and 4 fractures, the open reduction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f AOFAS score and less reduction loss in the Bohler angle. Conclusion: Although the clinical results were good irrespective of surgical technique, th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can improve clinical outcome and reduce the reduction loss as compared with the Essex-Lopresti technique in the comminuted tongue type calcaneal fracture.

      • KCI등재

        호주의 공학기사 양성과정(전문학사, 고급 디플로마)의 성격과 운영 비교

        신동은 한국공학교육학회 2017 공학교육연구 Vol.20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implementation of associate degree and advanced diploma in Australia, which belong to level 6 in AQF, to gain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ngineering associate education in Korea. In Australian Qualification Framework and Engineers Australia’s national generic competency standards are regarded as common benchmark for both qualifications. Training packages for advanced diploma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subject/and national benchmark. and were developed to meet the needs of technical workers and para-professionals in the engineering field. The author recommends three suggestions from the findings – leadership of ABEEK for making benchmark for associate degree program in engineering in Korea, in which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currently being adopted by policy. development of outcomes descriptor of qualification and educational responsibilities,

      • 축종별 액상분뇨의 연용이 양질조사료의 수량, 질산태질소 함량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신동은,김동암,최홍림,최기준,한흥전,임용우,김기용 한국초지조사료학회 1999 한국초지조사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99 No.6

        본 연구는 호밀→옥수수→연맥 작부조합에서 소 및 돼지액상분뇨를 시용수준을 달리하여 연용하였을 때 각 작물의 건물수량, 질산태질소 함량 및 토양특성 변화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전체적인 건물수량 비교에서는 소 및 돼지액상분뇨구 모두 시용수준을 100% 이상 증량 시용하였을 때 대조구(화학비료표준구) 보다 높았으며, 식물체 중 질산태질소 함량은 호밀 및 옥수수의 경우 전체 시험구 모두 0.15% 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