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잡지에 나타난 장르분화와 언어의식 - 역사·허구의 분리와 근대 소설의 재현 관념을 중심으로

        송은영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8

        It was through the methodology of comparison and contradiction that concepts translations of ‘literature’ and ‘novel’ gave birth to Korean modern literature. This process was performed by the early novelists such as Lee Kwang-soo, Kim Dong-in, Yeom Sang-sub and was accomplished by their dual comparisons of ‘iyaki/novel’ and ‘history/fiction’. They differentiat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novel with pre-modern narrative style, ‘iyaki’. That included both the objects of seeking for literary contents in comtemporary reality and the ways of representing them like vivid facts. They drew such a word of ‘fact’ from history for expressing a new literary truth that they could think about the dual concept of ‘fact’ and the new epistemological reality of true life. Their idea which was owed to words of ‘fact’ and ‘history’ stemmed from meta-lingual consciousness. Therefore novel became a realistic representation style and became a epistemological frame of looking social reality. 한국 근대 문학을 탄생시킨 ‘문학’과 ‘소설’ 개념의 번역은 ‘비교’와 ‘대조’의 방법론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광수, 김동인, 염상섭 등 근대 소설을 한국 문학사에 안착시킨 소설가들이 수행한 이 작업은, ‘이야기/소설’의 대립과 ‘역사/소설’의 비교라는 이중적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이광수, 김동인, 염상섭이 근대 이전의 “이야기”들과 차별화시킨 근대 소설의 특성은, 당대 현실의 사상, 감정, 생활에서 제재와 내용을 찾아야 한다는 현실적 ‘대상’의 측면과 그것이 생생한 사실처럼 느껴지도록 재현해야 한다는 사실적 ‘방식’의 측면을 모두 포함했다. 문학에서 현실 반영의 기능과 양식을 중시하는 것은 오늘날 잘 인식되지 않지만 실상 완전히 새로운 발상이었다. 근대 초기 소설가들은 소설이 재현해야 하는 대상을 과거의 ‘역사’에서 유래한 ‘사실’이란 동일한 언어로 사고했지만, 그들이 생각한 ‘사실’이란 근대 초기에 새롭게 구성된 개념으로서 인생의 참된 진상과 진리라는 새로운 인식론적 실재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여기에는 개인의 내면적 능력과 주관성, 개성에 대한 옹호와 신뢰가 깔려 있다. 허구란 참된 사실을 재현하기 위해 예술가의 주관적 능력과 독창적 시각에 의해서만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소설을 이해하고 인식하기 위한 두 방향의 실천에서 공통된 대상은 바로 ‘역사’였으며, 이는 ‘사실’ 개념의 중층화를 꾀한 메타언어적 의식의 소산이었다. 소설과 함께 사실효과와 사실적 재현양식이 정착되면서, 소설은 당대 사회의 삶과 현실을 바라보고 구성하는 인식론적 틀이자 개인과 민족이라는 근대적 정체성을 주조하는 양식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및 부정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송은영,하은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8 인지행동치료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olescent's Traumatic Experience, Perfectionism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Social Anxiety. The total of 530 adolescents were given self report measures of anxiety in interpersonal and performance situations, traumatic experience in social situations, MPS and K-CATS. The statistic analysis program(SPSS) was used for analyzing the obtained data from the research i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and performance anxiety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raumatic experience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But these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fectionism. Second, traumatic experience and socially-oriented perfectionism had an effect on social anxiety directly, and these could influence social anxiety mediating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t was developed interpersonal anxiety by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case of undergoing traumatic experience. So it i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socially-oriented perfectionism in adolescent's social anxiety. 본 연구는 사회불안이 발생하여 심화되는 청소년기에 외상적 경험, 완벽주의 성향 및 부정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직접효과, 부정적 사고를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의 비교를 통해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부정적 사고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53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과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부정적 사고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과 외상경험, 부정적 사고와는 정적 상관을, 완벽주의 성향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및 부정적 사고가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에 미치는 직․간접적 효과를 볼 때 외상경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성향은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부정적 사고를 매개로 하여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외상경험이 있는 경우 부정적 사고가 대인불안을 더 심화시킨다는 결과로서 청소년기 사회불안에 미치는 부정적 사고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성향의 중요성도 확인되었다. 즉, 자기 주변의 의미 있는 타인에 의해 부과된 기준과 기대를 달성시키고자 노력하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성향은 대인불안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칠 뿐 아니라 부정적 사고를 매개로 대인불안을 더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민족문학이라는 쌍생아: 1970년대 『창작과비평』의 민중론과 민족주의

        송은영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6 No.-

        Since the mid-1960s, Creation and Criticism has been one of the most well-known progressive quarterly magazine in the Korean society. Through analyzing their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this article intends to criticize the problematic and the thematic nature of the magazine which has produced adverse effects recently. The reason why they chose the word of Minjung instead of national or people, was related to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from the ruling ideology by the government. Because they drew up their project like opposing counterpart of the ruling ideology, the resistant concept of Minjung and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failed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state-led nationalism and began to have a kind of structural homology. The nationalistic implication in their theory and concept proved that their nationalistic project couldn’t be divided from the idea of political and economic modernity. Their theory was destined to be bound to the nation building project like a single-race nation’s rationality and capitalistic development. Their theory of peasant literature, unintentionally shared the paradigm of moder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with the ruling ideology. The dream of equality between city and rural community saw citizens and farmers well-positioned to accept the idea of unifying the nation-state. As a result, Creation and Criticism’s resistant nationalism played a similar role of the state-led nationalism. 이 글은 1970년대 ‘창작과비평’이 전개한 민족문학론의 분석을 통해 오늘날 한국사회의 역기능으로 작용하게 된 ‘창비’의 문제적 시각을 비판적으로 해부하려는 의도에서 씌어졌다. 1970년대의 민족문학이 ‘국민’이 아닌 ‘민중’이라는 단어를 선택한 것은, 유사하게 민족주의 구호를 내걸고 경제개발을 추진하던 국가에 대한 저항의 의미, 국가의 의도와 차별화되는 기획을 민중이라는 집단적 주체를 통해 실현하려고 했던 시도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반식민과 반봉건을 과제로 내세운 ‘창비’의 민족문학론은, 관변 민족문학을 반박하기 위해 그에 대한 응답으로 구상된 결과, 국가 지배 이데올로기에 상응하는 대립적 상관물로서 그와 유사한 구조적 상동성을 가지게 되었다. 그 혐의가 ‘민족’과 ‘민중’에 내포된 국가주의적 함의에서 나타난다. ‘창비’가 추구한 민족주의는 자유민주주의와 결합된 정치적 근대성, 자본주의 발전의 결과물로서의 경제적 근대성 등과 분리 불가능한 것으로, 민족문학론의 핵심은 결국 근대적 국가 만들기의 기획으로 수렴되었다. 그리고 의도하지 않았지만, 민족문학론의 농민문학에 대한 구상은 근대화, 발전, 성장의 패러다임을 국가권력과 공유하게 되었다. 또한 농민을 동등한 국민으로 포섭하는 구상, 모든 구성원이 민족 전체로 수렴되어 도시민과 농민의 구별이 없는 통합된 국민국가의 구상을 지배 권력과 공유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창비’의 민족주의는 민족국가의 완성을 지향하는 관변 민족주의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

      • 조직 실패와 학습기제의 다양성

        송은영 한국사회학회 2007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 No.-

        기존에 항공사고를 다루는 논문들은 개인의 실수, 잘못으로 인해 일어난 사고나 잦은 사고를 일으키는 특정항공사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조직 내부에서 취할 수 있는 전략에 국한되는 것으로, 경험 많은 개인(주로 조종사와 정비공 등)에게 많은 금전적인 투자를 하거나, 최근 발생한 사고로 인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직의 인상관리를 하는 것 등에 지나지 않았다. 달리 말하면, 이전 연구들은 항공사고를 조직 내부의 개인에 초점을 둔 ‘미시적인 내인성(micro-endogenous)조직 학습’ 또는 몇몇 사고 다발 조직의 경험 및 그로 인한 교훈과 같은 ‘중범위의 내외인성(meso-endogenous/exogenous)조직 학습’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미시적, 중범위적 분석이 전세계 항공사의 사고율 감소를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 실패를 통한 학습의 새로운 기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조직군 내에서 살펴본 거시적이고 내인성(macro-endogenous) 조직학습과 항공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거시적 외인성 조직학습(macro-exogenous)을 통해 중형항공사들은 소형, 대형 항공사보다 사고를 통한 학습에 더 적극적이며, 조직 규모에 따라 배움의 통로가 다르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조직학습론, 조직군 생태학, 제도주의 이론에 기반,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05년 까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회원 항공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The research dealing with airline accidents heretofore has been limited to analyses of human errors or market responses to some troublemakers. Hence, the studies concluded with the firm-specific solutions, take for example, investment in more experienced individuals (e.g. pilots and maintenance personnel) to reduce further failures or strategic impression management to get rid of a negative image derived from the recent accident. In other words, the prior stage of aero-accident literature investigated organizational failures at the micro-endogenous (within a firm, individual-oriented) level or the meso-endogenous (a few number of airlines and the lessons form their experience) level. Focusing on the declining accident rates of the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members among non-US commercial passenger carriers in the world, this paper illustrates a bigger picture of airline accidents at the macro-endogenous and exogenous levels. Based on organizational learning, institutional and population ecology perspectives, this research shows that airline accidents have been reduced by prior learning, experience of event imprinting and exposure to international auditors. In addition, these multiple logics to drop failure rates are applied to different populations and middle-size carriers learn more actively than small or big airlines.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부정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송은영,하은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8 인지행동치료 Vol.8 No.1

        본 연구는 사회불안이 발생하여 심화되는 청소년기에 외상적 경험, 완벽주의 성향 및 부정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직접효과, 부정적 사고를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의 비교를 통해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부정적 사고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53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과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부정적 사고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과 외상경험, 부정적 사고와는 정적 상관을, 완벽주의 성향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및 부정적 사고가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에 미치는 직․간접적 효과를 볼 때 외상경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성향은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부정적 사고를 매개로 하여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외상경험이 있는 경우 부정적 사고가 대인불안을 더 심화시킨다는 결과로서 청소년기 사회불안에 미치는 부정적 사고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성향의 중요성도 확인되었다. 즉, 자기 주변의 의미 있는 타인에 의해 부과된 기준과 기대를 달성시키고자 노력하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성향은 대인불안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칠 뿐 아니라 부정적 사고를 매개로 대인불안을 더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olescent's Traumatic Experience, Perfectionism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Social Anxiety. The total of 530 adolescents were given self report measures of anxiety in interpersonal and performance situations, traumatic experience in social situations, MPS and K-CATS. The statistic analysis program(SPSS) was used for analyzing the obtained data from the research i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and performance anxiety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raumatic experience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But these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fectionism. Second, traumatic experience and socially-oriented perfectionism had an effect on social anxiety directly, and these could influence social anxiety mediating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t was developed interpersonal anxiety by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case of undergoing traumatic experience. So it i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socially-oriented perfectionism in adolescent's social anxiety.

      • KCI등재

        보류관장의 표준화된 방법을 위한 고찰: 임상논문을 중심으로

        송은영,이의주,부영민,신승원,채광민,유정희,김효진,백종헌,이준희,고병희,Song, Eun-Young,Lee, Eui-Ju,Bu, Yong-Min,Shin, Seung-Won,Chai, Kwang-Min,Yoo, Jung-Hee,Kim, Hyo-Jin,Baek, Jong-Heon,Lee, Jun-Hee,Koh, Byung-Hee 사상체질의학회 2013 사상체질의학회지 Vol.25 No.2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a standardized method of retention enema by extrac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methods of retention enema from papers involved. Methods 1) Data sources : Retrieval was made, using 'Enema' or 'Retention Enema' as search words in MEDLINE, The Cochrane Library, KISS, RISS, and NDSL DB. 2) Study selection : Two authors excluded irrelevant papers and chose qualified abstracts in the rest of the papers. The chosen studies were reviewed fully by the authors so that they could screen the significant papers based on the exclusion criteria. 3) Data extraction : Data on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the target disease, the type, quality, length, diameter of catheter, the insertion length of catheter, the sample, the sample volume, the process of retention enema and the number of performing retention enema were extracted from the selected studies. Results & Conclusions The retention enema can be applied to gastrointestinal diseases, genitourinary diseases, metabol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nd diabetes, headaches and neurological disorders. The standardized treatment method is as following: 1) inserting a rental tube of 18-28 Fr that measures 20 to 30 cm into the patient's anus, 2) injecting herbal medicines which have purgative action or benefit on stomach and intestinal tract at the rate of 4 ml/min, and 3) holding them for 10 to 15 min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