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지지가 남한 사회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운석 ( Un Suk Song ),김명선 ( Myoung Sun Kim )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가족, 친구 그리고 그 외에 자신에게 깊은 관심을 보여주는 특정인의 사회적 지지가 그들의 남한 사회문화적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주로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탈북이주민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사회 거주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연령이 낮을수록 남한 사회에 대한 두려움이나 언어 혹은 문화적 측면에 대한 이질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나이나 거주기간이 북한이탈주민들의 낮은 사회적 지위에 대한 지각이나, 차별감 및 이탈주민이라는 편견을 극복하는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들은 오랜 기간 남한에 거주해도 차별감이나 편견을 극복하지 못한 채 살아가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의 남한 사회문화적응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특정인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임이 밝혀졌다. 이 특정인으로부터 받는 지지는 남한 사회에서 사회문화적 적응뿐만 아니라 자기능력과 업무추진에 대한 유능감에 영향을 주어 그들로 하여금 생활현장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다양한 스트레스를 극복하면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understanding how the social support from someone such as their family, friends and others who takes a deep interest in the North Korea defectors, has the effect on their South socio-cultural adaptation. The research was surveyed with 207 North Korea defectors mostly living in the area of Kyunggi-do. The research finding shows that the longer their terms of residence in South Korea is and the younger they are, the less they feel the difference to fear, language or cultural aspects on the South Korea community. Whereas it shows that the age or the terms of residence doesn``t have much effect on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to overcome the discrimination, prejudice and awareness on relatively low social position as a North Korea defector. Therefore it indicates that in most cases, they live in having the feeling of discrimination or prejudice even though they live for a long period in South Korea. It turned out that the social support from someone who cares for them closely is one of the strongest factor having influence on their South socio-cultural adapta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social support works as one of the factors making them overcome various stress and progress with confidence in their living by having the effect not only on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in South Korea but also their ability and competency in business drive.

      • KCI등재
      • KCI등재

        국·공립 보육시설 교사의 조직신뢰와 학부모신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송운석(Song, Unsu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0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451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조직신뢰와 학부모신뢰 구성요인과 그것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 영향관계는 보육교사들의 재직기간에 따라 어떻게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보육교사들의 조직신뢰는 투명한 조직운영 그리고 학부모신뢰는 학부모들의 도움과 배려가 가장 중요한 구성요인이며, 조직 및 학부모신뢰 구성요인 모두 그들의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재직기간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재직기간이 1년 미만인 교사들의 경우 조직의 능력성, 참여기회 확대, 투명성으로 인한 신뢰가 그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재직기간이 4년 이상인 교사들의 경우 보육프로그램 참여기회 확대로 인한 신뢰만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신뢰의 경우 인지적 신뢰가 교사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학부모들의 정서적 신뢰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acts of th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arental trust on their job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mediation impacts of the period of service in their po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arental trust and their job satisfaction. For this study, 451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were survey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arental trust had impa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Also the teachers’ the period of service in their posi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organizational and parental trust and their job satisfaction. Most of al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nhancement of the chance of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day care program management has to be in company with the parents’ emotional support.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ce of participa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mediated by the emotional support from the parents.

      • KCI등재

        개인성격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송운석(Song Unsuk),이민호(Lee Minh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1

        본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어떠한 성격적 요인이 혁신행동의 동인으로 작용하며, 이 과정에 조직 구성원들의 신뢰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309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Big-Five Model에서 제시하는 개인의 다섯 가지 성격요인 중에 개방성, 성실성 및 안정성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개방성과 성실성은 구성원들의 조직신뢰에 그리고 개방성, 성실성 및 친화성은 상사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밖에도 조직신뢰와 상사신뢰는 구성원의 개방성 및 성실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조직신뢰와 상사신뢰가 개방적이며 성실한 구성원들로 하여금 혁신행동을 하도록 매개하는 심리적 기재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성원들의 혁신행동 활성화를 통한 조직혁신을 위해서는 구성원들로부터 상사들뿐만 아니라 조직의 신뢰축적이 선행되어야 함을 본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acts of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on the innovation behavior in a public organization. Also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Innovation behavior. For this study, 309 public official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data, Among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are the casual factors of innovation behavior. Personality dimensions also influence individual organization trust level. The openness to experience was confirmed as the casual factor of organization trust and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and agreeableness were confirmed as the casual factor of manager trust.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 trust and manager trust play the role of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dimensions and innovation behavior. It indicate that the trust level play the role of internal motivator for the innovation behavior. Therefor it is important to accumulate the trust in the organizations for the continual innovation through the individual innovation behavior in the organizations. This study shows that without the accumulation of trust in the organization, the sustainable innovation through the members is impossible.

      • KCI등재

        해방이후 한국 정치와 종교 간의 전략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송운석 ( Un Suk Song ),김경태 ( Kyung Tae Kim ) 한국행정사학회 2014 韓國行政史學誌 Vol.35 No.-

        본 연구에서는 정치엘리트와 종교엘리트 모두를 “전략적이고 능동적인 행위주체”로 파악하고 해방 이후부터 최근까지 그들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정치와 종교의 상호관계는 정치.경제의 상황변화에 따라 함께 바뀌어왔다. 해방 직후는 여러 종교가 얽힌 종교의 혼란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사회적 안정기에 접어드는 박정희 정권 초기부터는 불교, 개신교, 천주교의 3개의 지배종교가 안정적으로 정착되어 정권들과 갈등을 빚기도 하고 우호적 관계를 갖기도 하며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이 과정에서 나타난 첫 번째 특징은 사회구성원들의 행동과 생활패턴을 규정하는 강력한 행위주체로서 전통 종교가 부재한 가운데 정치엘리트들은 반공, 경제발전, 그리고 서구화 중심의 규범과 생활패턴을 한국사회에 정착시킬 수 있었다. 둘째로 정치엘리트들의 강력한 권위적 정권이 서서히 약화되면서 종교단체는 정치적 보호막을 구축하거나 최고 통치자에 접근하는 등의 영향력 전략을 구사하면서 세력 확장을 위해 노력해왔다. 한편 진보단체는 정권에 맞서는 사회운동 전략을 폈다. 셋째 권위적 정권이 점차 민주적 정권으로 전환되면서 정치엘리트들은 종교에 대한 비 개입 혹은 불확실한 태도를 취하게 된다. 이에 종교 엘리트들은 선거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환경이나 인권 등 사회문제에 관심을 보이면서 정치와 사회에 영향력 확대하는 전략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in Korea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Under the powerful authoritarian government, religion is subordinate tostate, but as the state becomes democratic and secular, the religion tends to influence on the state. Whether religion effects on the economic and politic development of the state is in question. It seems that its influence was not as strong as we expected. Rather with the absence of the state religion which sticks to a certain value system and way of life, the Korean politics and economy could developed freely. In other words, in the multi-religious society, it was easy for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to pursue its own secular goals suchas accumulation of wealth, pursuit of individual benefits, and development ideology without any intervention of religion. However, in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the fundamental virtues of religion such as the respect for life, love, harmony, faith, self-sacrifice, and humility were neglected. Those virtues are crucial to the sophisticatedsociety of today. The task of religion in the future will be practice those virtues in life and the task of government should be to help religion realize that goal. It``s time to readjus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국 · 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인지형태와 혁신행동관계

        송운석(Song, Unsuk),송영선(Song, Young-Sou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3

        본 연구는 현재 중요한 사회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창의적 보육교육 방안 모색을 위해 210명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이다. 그들의 인지형태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심리적 임파워먼트 지각수준이 어떤 역할과 작용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인지형태는 그들의 혁신적 업무행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보육교사들이 지각하는 업무에 대한 의미성,역량성 그리고 업무상의 자율성과 영향력의 수준 즉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지각수준은 그들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육교사들의 인지형태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그들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지각수준은 조절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가설에서는 의외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높은 임파워먼트 지각수준은 인지형태와 상호작용을 통해 혁신행동을 강화시키는 조절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 20대 보육교사들 중에 혁신자적 인지형태가 강한 교사들의 경우 임파워먼트의 지각수준이 낮을수록 강한 혁신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30대 이상의 보육교사들 중에서는 적응자적 인지형태가 강한 경우 업무상 자율성이 낮아 심리적 임파워먼트 지각수준이 낮은 경우에 강한 혁신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style and innovative behavior among public daycare center teachers. Also,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interactive impact of the empowerment with the teacher"s cognitive style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210 daycare center teachers, the teachers who had a strong innovative cognitive style were also strong in innovative behavior. Additionally highly empowered teachers were willing to strengthen their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eachers" style of cognition and the level of empowerment influenced their level of innovative behavior. However, in terms of the interactive impact between the cognitive style and the level of empowerment, this study showed an unexpected result. When the young teachers who were strong in innovative cognitive style worked in a low level empowerment situation tried to innovate their work and organization. In general, the highly empowered employee tend to strengthen their work. But, in this study, the result was reversed. This study gave us interesting messages in relation to the innovation behavior. That is, the innovation might come from suffering rather than the empowered situation.

      • KCI등재

        조직연결망 내 부서 중앙성이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송운석(Unsuk Song),이지행(Ji Haeng Lee)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8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acts of the centrality of workgroup on the job stressors,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this study, a public agency which consists of 12 departments and have 288 public officials was survey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entrality of workgroup gives strong impacts on the level of job stressors but it does not give any impact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find out that the centrality of workgroup gives strong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ors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control job stressor in an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of workgroup.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multi-level approaches, such as individual, workgroup and organizational level, to understand occupational stress to find out the way of reducing the level of job stress.

      • KCI등재후보

        불교의 8식설을 통한 동기유발 통합이론 개발 가능성

        송운석(Song Un-suk) 불교학연구회 2004 불교학연구 Vol.9 No.-

        Many kinds of motivation theories have been developed so far. However, these theories have been criticized because of its limitations in relation to explain the human behavior and solve the motivation problems in organizations.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reasons of the limitations on the basis of the self theory that each motivation theory underlines. Also, a Buddhist"s perspective about the self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be used to develop integrated motivation theory. The Buddhist sees the self as a cognitive process which consists of eight think bases. This study introduces it and explains its relation to motivation theories. Finally, utilizing the Buddhist perspective on the self, the motivation circulation model which not only can integrate the motivation theories but also can show the motivation as a complicated and dynamic process is provided for the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