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맹자 사상에 근거한 폭력예방교육 고찰

        송수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이 글은 맹자사상에 드러난 폭력의 의미를 논의하고 특히 학교폭력예방 교육과 관련하여 교육적 함의를 살펴보는데목적이 있다. 논의 과정에서 얻은 시사점은 초등학교 ‘안전한 생활’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현장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맹자 사상을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맹자가 살았던 당시는 부국강병을 위해 전쟁을일삼던 춘추전국시대였다. 뺏고 지키기 위해 폭력을 당연시 여겼다. 이런 상황에서 맹자는 폭력의 방식을 배제하고사람답게 살아가는 도리를 주장하였다. 맹자에게 폭력이란 남이 가진 것을 빼앗고자 하는 행위이다. 맹자는 폭력의강도와 상관없이 모두 해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보았다. 폭력의 반대는 더불어 선(善)을 함께 행하며 즐거워하는일이라고 보았다(與人爲善)’. 또한 폭력은 남을 해치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을 해치는 것도 의미했다. 맹자는 폭력이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각자 서로 이익을 먼저 추구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어짊과 의로움(仁義)을 뒤로 하고이익만을 추구한 결과 누군가에게 폭력을 휘두르게 된다고 보았다. 이에 맹자는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 배움(學)과가르침(敎)의 근본적인 의미를 되묻는다. 배움과 가르침은 인간이 잃어버린 본성을 되찾고 본성을 지키는 일이라고보았다. 또한 교육에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개인이 스스로 본성을 지키고자 노력해도 윗사람이 본성을지키지 못한다면 폭력적인 사회가 될 수밖에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맹자 사상은 폭력의 반대는 소극적 차원의 ‘안전’이아니라 적극적 차원의 ‘권선(勸善)’이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violence dealt with in the Mencius, one of China's Classics, and to identify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period of the Warring States in ancient China, during which Mencius lived, is characterized by frequent wars for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In those days, violence for usurping and keeping power was considered as something natural. Under these circumstances, Mencius taught how to live a decent human life, rather than promoting violence. Mencius regards violence as an act of taking away something from others and as what must be avoided regardless of its severity. To him, the opposite of violence is doing and enjoying what is good. He thinks that using violence harms not only the perpetrators themselves but also others and that people resort to violence because they seek personal profits. In other words, putting their own profits before humanity and justice leads to doing violence to others. He asks about what learning and teaching fundamentally mean. According to him, learning and teaching signify restoring and maintaining good human nature. He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Namely, even though individuals do their utmost to keep their decent human nature, the elders’ failure to do so will result in a violent society. The Mencius implies that the opposite of violence is not ensuring safety passively but promoting virtue actively.

      • KCI등재

        소셜미디어 경품이벤트 소구특성과 소비자 반응에 대한 연구 -페이스북 이벤트 캠페인 효과를 중심으로-

        송수진,이철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4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서 실제로 진행된 온라인 경품 이벤트를 선정하여 온라인 경품 이벤트의 행동경로와 경품 지급 기간에 따 라 소비자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벤트 행동경로를 단순행위와 복잡행 위로 구분하고, 온라인 경품 이벤트 지급 기간을 즉시 지급과 지연 지급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구레이쓰 이온코리아(주)의 프로페셔널 헤어 브랜드 ‘레삐’ 고객들을 대상으로 페이스북 팬 페이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온라인 경품 이벤트 행동경로 유형에 따른 이벤트 호감도와 제품 구매의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 한 이벤트 참여 의도는 단순경로가 복잡경로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품 지급 기간에 따른 이벤트 호감도 와 제품 구매의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벤트 참여의도는 즉시지급이 지연지급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이벤트에 참여자들은 복잡한 행위보다는 단순한 행위를 선호하면 경품이 즉시 지급될 때 이벤트에 대한 참여도가 더 욱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실험실 환경이 아닌 실제 진행된 이벤트를 이용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온라인 경품 이벤 트의 제시 방식과 경품 지급 방식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연구 내용의 실무적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consumers respond to online promotion events in terms of the their behavioral types and the award time frames. To achieve the study goals, online event promotion was executed actually on Facebook, Event behavioral type was defined in two forms: simple or complex one. The incentive time frames were instant and delayed reward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Facebook fan page of Repit, a professional hair care brand of Great Ion Korea. As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vent preference and buying intention by the behavioral type, and event participation intention was higher in favor of simple type event. Secondly, no significance was found in event preference and buying intention by the award time frame. Event participation intention was higher in favor of instant reward type. Results suggest that event participants of social media prefer simple way and quick award promotional ev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earch was executed actually on real time basis in Facebook and generated highly valid results.

      • KCI등재

        모바일 웹에서 버튼 크기·비례·위치에 대한 GUI 디자인 연구

        송수진,김세화,성치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1

        This thesis is that as we researched mobile website examples to enhance mobile web's usability, We classified button's type and performed experiment by button's size, ratio, and position. consequently, We suggests web design's buttons. At first we selected 27 exclusive mobile web sites that have frequent access like web potals, public institutions, banks and internet malls etc, for target survey. Button's patterns coming out hyperlink were classified as a research button, a box button, a text button. Base on this, we produced web game style's experiment stimulation making a change in mobile web screen's buttons of size, ratio, and position. and we handled web game style's experiment stimulation having buttons to 65 users. and then we recorded touch success or fail about database. As a result, touch screen's success, fail and 5button's ratio had meaningful differences. also statistically button's success, fail about button's position had differences to 80%size and 100%size, ratio 50*80pixel and ratio 50*50 pixel. Base on this experiment result, We suggest using button's size, ratio, and position on mobile web.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웹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모바일 웹사이트 사례 조사를 실시하여 버튼 배치의 유형을 분류하고, 버튼의 사용성 검증을 위해 버튼 크기, 비례, 위치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며, 그 결과에 따라 모바일 웹 버튼의 디자인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포털사이트, 공공기관, 은행, 인터넷쇼핑몰 등 사용자의 접속이 많은 모바일 전용 웹사이트 27개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하이퍼링크가 발생하는 버튼 유형을 검색버튼, 박스버튼, 텍스트버튼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웹 화면 버튼의 크기·비례·위치에 대해 변화를 주어 웹 게임형의 실험자극을 제작하였고, 사용자 65명에게 버튼이 있는 모바일 웹 게임형의 실험자극을 조작하도록 하고 데이터베이스에 터치 오류 유무 로그를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버튼 크기 4가지에 대해서는 터치 성공과 실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버튼 비례 5가지에 대해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버튼 위치에 대해서는 크기 80%와 크기 100%, 비례 50*80pixel과 비례 50*50pixel에 대해서 터치 성공과 실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모바일 웹에서 사용하는 버튼의 크기와 비례와 위치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 KCI등재

        부자(附子) 및 천오(川烏)를 함유한 처방(處方)이 간기능(肝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II)

        송수진,장자원,황원덕,Song, Su-Jin,Jang, Ja-Won,Hwang, Won-Duk 대한한방내과학회 2006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7 No.2

        Objectives: Boo-ja and Cheon-o are not commonly prescribed, but are necessary for some clinical conditions, dispite the fact that some negative effects have been known to occur with these medicines. Hence, consequences for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due to herbal medicines, including boo-ja and cheon-o are here reported.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July 2005, iresults were analyzed for 40 inpatients belonging to the sixth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Dongeui Oriental Medical Hospital who took herbal medicine, including boo-ja and cheon-o, over 20 days. The study is about the comparison and the investigation of LFT, and all results were taken upon their hospitalization and upon their departure. The standard of liver injury was used as a standard for their examinations. Results : 1. No Change in normal limit . 34 of the 40 2. Increased AST. ALT from when they were hospitalized : 2 of 40 Normalized AST, ALT from when they were hospitalized with results higher than normal : 6 of 40 3. These results show no side-effects, therefore suggest that these herbal medicines, including boo-ja and cheon-o. do not cause adverse side-effectsfor patients of this kind if administered as was done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