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과학교양교육을 위한 실험수업의 필요성과 효율적 운영방안

        손향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necessity of experimental practice and the matters that should be kept in mind for the course development, to seek policy measures for efficient operation after it outl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absence of universities that run related courses despite of the need for experimental courses to achieve the goal of science liberal arts education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eaning and role of the experimental class were explained through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was analyzed based on the lecture data and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after performing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Molecular Biology for All> lecture at the Seoul Science Center. It also summarizes the problems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through case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degree of difficulty should be adjusted and the factors such as mobilization of skilled instructors, change of evaluation method, and introduction of experimental credit system through linkage with base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기 과학교양교육의 목표 달성을 위해 실험교과목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강좌를 운영하는 대학이 부재한 국내 현황에 대해 개괄한 후, 이의 개선을 위해 과학교양실험수업의 필요성과 교과목 개발에 유의해야할 사항에 대해 설명하고, 나아가 효율적 운영에 필요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론연구를 통해 실험수업이 갖는 의미와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서울시립과학관의 <모두를 위한 분자생물학>강좌를 참여관찰한 후 강의 자료와 수강생 설문내용을 토대로 강좌의 효율성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사례조사를 통해 교과목 운영과정에 야기되는 행정절차상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수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수업의 난이도 조정, 숙련된 교수자 확보와 교재개발, 평가방식 전환, 거점시설 연계를 통한 실험학점이수제 도입 등을 적극 고려해야한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마굴리스 공생진화론과 가이아로의 확장성에 대한 소고 - 유전자 중심 신다윈주의 진화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손향구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99 No.-

        Although Margulis’s theory of symbiotic evolution and synthesis theory of neo-Darwinism are representative scientific theories that explain evolution, they have been in conflict with each other because of their different basic assumptions about the mechanism by which the life lineage is formed. Whereas Margulis presupposes symbiotic cell fusion as a major factor in the formation of a life lineage, Neo-Darwinism attaches greater significance to genetic variation within a single species. Mos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two theories take the position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ymbiotic evolution theory, and it is regarded as a theory in opposition to neo-Darwinism.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rationale on the premise that the theory of symbiotic evolution has the same level of explanatory power as neo-Darwinism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evolution.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superiority of explanatory power differs by period, speciation develops in various ways in the long history of life, and it is suggested that evolution can be properly explained only when both explanatory methods are accepted. Furthermore, I tried to show the fact that the theory of symbiotic evolution could go one step further from Neo- Darwinism by explaining the possibility that it could be extended to Gaia, an organic explanation for the Earth's ecosystem. To this end, it was explained that autopoiesis, which regulates interactions between cells and individuals in the process of symbiotic evolution, has been extended to a level that encompasses the control system between various organisms/ environments constituting the entire global ecology and is presented as a universal principle. This discussion on the connection between symbiotic evolution theory and Gaia can contribute to evoking the ontological fact that we human beings are just one member of Gaia, looking at the earth as an organic unity. 마굴리스의 공생진화론과 신다윈주의의 종합설은 진화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과학이론 임에도 불구하고 생명계통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기본 가정이 다르기 때문에 계속 해서 대립해왔다. 마굴리스는 공생적 세포융합을 생명계통 형성의 주요 요인을 전제하는 데 반해 신다윈주의는 단일종내 유전자 변이에 보다 큰 의미를 부여한다. 두 이론을 다루 는 대부분의 연구는 공생진화론의 설명력에 한계가 있다는 입장을 보이며 신다윈주의와 대립하는 이론으로 간주한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진화를 설명하는 과정에 공생진 화론이 신다윈주의와 대등한 수준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고 전제한 후 그 근거를 제시하 고자 하였다. 시기별로 설명력의 우위는 다르다 할지라도 장구한 생명의 역사에서 종 분화 는 다양하게 전개되어 두 설명방식을 모두 수용해야 진화를 제대로 설명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나아가 공생진화론이 지구 생태계에 대한 유기체적 설명인 가이아로 확장될 가 능성을 배태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하여 신다윈주의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다는 사실 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생진화과정에서 세포 간, 개체 간 상호작용을 조절하 는 자기생성이 지구 생태 전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생물/환경 간 조절체계를 포괄하는 수준 으로 확장되어 보편원리로 제시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공생진화론과 가이아의 연결성에 대한 이러한 논의는 지구를 유기적 통합체로 바라보고 우리 인간 또한 가이아에 배태된 하 나의 구성원에 불과하다는 존재론적 사실을 환기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자유의지에 대한 과학적 증명, 그 의미와 한계 -후성유전학을 둘러싼 철학적 논의를 중심으로

        손향구,조은희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81 No.-

        This thesis aims to examine critically philosophical debate that has been based on the findings of epigenetics. Epigenetics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expression itself and expression levels of genes are regulated through factors determined by the nutritional status and mental experience of individuals. This implies that people can control their gene expression by choosing their own environment and giving them the intended mental experience, which is presented as the main basis for establishing free will. The free will argument associated with epigenetics has been presented as a major basis for overcoming genetic determinism or materialistic mechanics in the fields of evolution, genetic engineering, and neuroscience, and furthermore, to treat various diseases caused by gene mutations. It implies the possibility of controlling each person's behavior as desired, so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philosophical implication. However, the cases in which the epigenetic basis is revealed scientifically are only a few. This will not be easy to improve even if research continues to be done in the future. It is not easy to find a universal epigenetic rule that regulates DNA expression sites, as human organisms are complex organisms that are difficult to be reduced to basic structures, as has been fully demonstrated in the discussion of past genetic engineering stability issues. It is highly appreciated that epigenetics can explain both a mechanism beyond the controversy of past nature and nurturing, and provide grounds for overcoming genetic determinism. However, if the generic principle for controlling the gene expression site is difficult to establish, suggesting epigenetic genetics as a basis for establishing free will will not only be logically contradictory but may also lead to various social problems. Therefore we need to take a more cautious approach in this regard. 이 글은 후성유전학에 기초하여 전개되어온 철학적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쓰여졌다. 후성유전학은 개체의 영양 상태나 정신적 경험에 의해 결정되는 DNA메틸화, 히스톤변형, 비번역 RNA의 작용 등의 요인을 통해 유전자의 발현 여부와 발현정도가 조절되고 최종적으로 개체의 표현형질이 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내용은 사람들이 스스로 환경을 선택하고 의도된 정신적 경험을 부여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는 내용을 함축하고 있어 자유의지 성립을 위한 주요한 근거로 제시되었다. 후성유전학과 연관된 자유의지 논증은 그동안 진화론, 유전공학, 신경과학 등의 분야에서 주장된 유전자결정론이나 유물론적 기계론을 극복하고 나아가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거나 원하는 대로 각자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까지 함축하는 것이어서 사회적, 철학적 관심이 집중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후성유전학적 근거가 제대로 밝혀진 경우는 몇몇 사례에 불과하고 특히 분자적 수준에서의 인과성을 통해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한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해 논의의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후성유전학 연구가 지속된다고 하더라도 쉽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과거 유전공학의 안정성 문제에 대한 논의에서 충분히 드러났듯이 인간은 기본적인 구조로 환원되기 어려운 유기체적 복잡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DNA발현부위를 조절하는 보편적인 후성유전 법칙을 찾아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후성유전학이 과거 본성과 양육의 대립논쟁을 뛰어넘어 이 둘을 하나의 메커니즘안에서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유전자결정론을 극복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것은 높이 평가할 부분이다. 하지만 유전자발현부위 조절에 대한 일반적 원리가 정립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후성유전학을 자유의지 성립 근거로 제시한다면 논리적으로 반박당할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어 보다 신중한 태도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학 과학교양교육의 현황과 개선안 모색

        손향구,박진희,이관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domestically and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For the study, we investigated the method and the proportion of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completion through the handbook of 51 universities in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through analyzing contents after collecting the lecture plans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common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 attitudes and responses of the audience, We surveyed the subjects of science subjects in liberal education. Along with these two surveys, an expert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collect relevant data and analyze th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lack of objective orientation of science gener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peration process, failure to comply with obligatory enrollment in science general education, absence of laboratory practice course and the effort for establishment of science literacy education system, lack of institutional capacity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learning design and teaching profession etc. caused the problems.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ompulsory system of science subject, strengthen the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general education for science curriculum. 본 연구는 국내 대학 과학교양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를 위해 국내 51개 대학의 학사편람을 통해 과학교양 이수방식과 비중을 조사하였다. 또한 공통 교양교육 과정 내 교양 과학 교과목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 교과목 유형을 분류한 후 내용분석을 통해 과학교양교육의 현황을 검토하고 수용자의 태도와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10개교의 2017년도 2학기 교양 과학 교과목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두 조사와 함께, 전문가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관련 자료를 취합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목 운영과정에 교양교육의 목적지향성 반영 부족, 과학교양교과목 의무 이수 규정 부실, 과학교양 교과목 내 실험실습 과목 부재, 각 대학이 표방하는 특유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과학교양교육체계 구축을 위한 노력 부족, 학습 설계와 교수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미흡 등의 문제점이 드러났으며,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 과학 교과목 의무 이수 체계를 보완하고, 과학교양 교과목 개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하며 교과목 운영자 지원체계를 마련해야한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전자결정론’ 논쟁에 대한 소고 ― 도킨스의 유전자선택설에 대한 비판과 반박을 중심으로

        손향구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1 No.-

        도킨스(Richard Dawkins)는 자신의 저서 이기적 유전자와 확장된 표현형을 통해 생물의 진화가 개체나 집단이 아닌 유전자 수준에서 일어난다고 주장하였다. 유전자 선택설로 명명되는 이 이론에 따르면 개체의 형질과 행동은 유전자 복제와 확산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선택되며, 이때 생물학적 개체는 유전자를 운반하기 위한 수단이자 유전자에 복종하는 수동적인 기계와 같다. 이는 결국 동식물의 다양한 표현형질뿐만 아니라 인간의 사고, 믿음, 행동방식에 이르는 광범위한 현상을 유전자간 경쟁과 선택이라는 단일한 요소로 설명하려는 시도로 해석되어 생물학적 결정론이라는 비판에 부딪혔다. 특히 도킨스가 이론을 설명하는 과정에 극단적 은유를 사용한 점, 확장된 표현형이라는 개념을 통해 유전자의 결정력을 강화한 점, 획득형질의 유전과 니치구성의 가능성을 부정함으로서 유전에 환경적 요인이 개입할 여지를 차단한 점 등이 비판의 주요 근거로 인용되었다. 하지만 도킨스는 자신의 저서와 논문을 통해 이러한 비판이 잘못되었다고 반박한다. 그가 ‘운반기계’나 ‘로봇’과 같은 표현을 통해 유전자에 대해 개체가 갖는 수동성을 설명하는데 초점을 맞추다보니 개체의 다른 특성을 무시하거나 왜곡하는 것으로 오해되었지만, 이는 과학적 은유가 갖는 본질적 한계 때문이지 자신이 의도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또한 유전자의 명령에 복종하는 수동성외에, 밈의 학습을 통해 유전자의 명령에 저항하는 개체의 능동성에 주목하였으며 기존 이론에서 주장하는 느슨한 의미의 획득형질의 유전가능성에 반대하지도 않는다고 주장한다. 다만 느슨한 기준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근거해 획득형질의 유전 가능성을 주장하는 것은 지지받기 어려우며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엄격한 기준을 만족시키는 사례가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도킨스의 이러한 반박을 토대로 유전자선택설에 대한 비판이 도킨스의 의도가 무시된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유전자선택설의 내용과 그것이 지니는 철학적 함축, 도킨스의 관점이 유전자결정론으로 비판받게 된 과정, 이에 대한 도킨스의 반박 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도킨스의 이론을 둘러싼 논쟁이 소모적으로 전개된 이유를 진단하고, 대안 책으로서 생산적 논의에 필요한 태도와 관점을 제안하였다. Richard Dawkins claims in his books, The Selfish Gene and The Extended Phenotype that the evolution of life develops not in the individual level or group level but in the genetic level. According to the theory as referred to 'Genetic Selection Principle', the character and behavior of individual is selected to maximize the copy and proliferation of genes, and individuals work as vehicles to move genes and so they are ike passive machine obeying the order of genes. This is criticized as a biological determinism because it is to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explain for widespread phenomenon such as various representation of men's thoughts, beliefs as well as all plant and animal traits with the only factor, competition and selection between genes. In particular, Dawkins' using extreme metaphors, trying to strengthen the impact of a gene with the notion of ‘The Extended Phenotype’, nullifying the contribu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genetic phenomenon and denying the possibility of niche construction and inheritance of acquired characters have been quoted as reasons why he was criticised. However Dawkins has argued in his own books and articles that the he has been misunderstood to ignore or distort the various phenotype in the level of individual and it is caused by the metaphor such as 'gene carrying machines' or 'robots' that he uses to focus on the passivity of individual. That is not what he intends but an aspect of essential limitation of scientific metaphor. He recognised that genes also have the activeness of resisting to the orders of gene by learning 'memes'. And he argues that he does not oppose to the inheritance of acquired characters. But he keeps the opinion that it is to supported only on the basis of loose definitions, not with his own one which is stricter than the other. He can not have found the case to support his strict criteria. As a result, this study is performed to point out that criticism to Dawkins' theory has been suggested unilaterally ignoring the intention and meaning of his theory and analyze what his theory includes and implicates. Besides it aims to clarify the reason why and the way how his theory is categorized and criticized as genetic determinism and analysize what he addresses to refute it. On the top of it, reviewing the theoretical meaning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genetic selection, this study will diagnose the reason why the argument about Dawkins theory was not productive and will suggest the appropriate attitude and perspective to solve it.

      • KCI등재

        인류세 과학교양의 방향성 모색과 수업모형 설계 : 기본역량, 문제해결역량, 과학지식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중심으로

        손향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2 No.1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wareness that the Anthropocene-related science liberal education should contribute actively to seeking ways to adapt or mitigate the Anthropocene, sharing that recent reckless pursuit of self-interest by human actors may lead to cracks in the homeostasis of the Earth's ecosystem and the extinction of the human spe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problems of current science liberal education and to present a teaching model of it to develop the basic competencies and problem-solving capabilities required in the Anthropocene efficiently.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mprovement of science liberal education because there are few Anthropocene-related liberal education courses that adequately address the issue in universities, although the background of the nomenclature and the various studies about Anthropocene confirm the need to consider nonhuman actors. Second, in science liberal education, basic competencies such as convergent connection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awareness of multi-layered predicaments, critical reflection on anthropocentrism,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to sympathize with non-human actors as well as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will be promoted in an integrated way. Third, teaching models suitable for the Anthropocene problem include conflict-centered, value-attitude analysi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s can be designed. A operation plans for those models can also be specified. Fourth, scientific literacy can be promoted by learners in a self-driven wa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ontext throughout the entire course from defining the Anthropocene problem to providing a solu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nthropocene problem can be dealt with in depth through science liberal educat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includes not only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ut also the explor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hat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basic competencies from a convergence perspective can also be improved more effectively. It can be expected that more instructors will proper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cience liberal education in the Anthropocene and become interested in finding the direction of course and developing specific methodologies due to the discussion.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기 협력적 규제 거버넌스의 필요성과 전문가의 역할

        손향구,조아라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hange for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rapid and its influence is uncertain, so it is difficult for even experts to accurately predict the problem or suggest a solution. This problem appears to be the same in the regulatory problem. It is true that the citizen participation model introduced to supplement the problem has been somewhat effective, but the related actors are buried only in their own interests or they are limited to scientific literacy in quite a few cases. This study aims to find an improvement model for citizen particip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innovation technology regulation and the case study of developed countries on autonomous driving, dron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egulation, and drew a conclusion that it needs to establish cooperative regulatory governance based on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various actors including experts after reviewing the role of experts who have been neglected in domestic regulatory governance. Furthermor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it was proposed that the pool of experts,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transparency, and ac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should be combined. 4차 산업혁명기 과학기술은 변화속도가 빠르고 영향력이 불확실하여 전문가조차 이에 따른 문제를 제대로 예측하거나 해결방안을 제시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양상은 규제문제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으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되어온 시민참여모델이 다소간의 실효를 거둔 것은 사실이나, 관련 행위자들이 이해관계 자체에만 매몰되거나 과학소양에 한계를 보임으로 인해 논의에 진전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연구는 혁신기술 규제에 관한 문헌조사와 자율주행자, 드론, 인공지능 규제에 대한 선진국의 사례 연구에 기초하여 이에 대한 개선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으며, 국내 규제 거버넌스에서 간과되어온 전문가의 역할을 재조명한 후 전문가를 포함한 다양한 행위자들의 상보적 관계에 기초한 협력적 규제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이의 실천을 위해 전문가 풀의 확보, 양방향 소통과 투명성 확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등이 병행되어야한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시각자료 활용 교수법 기반의 융복합교양〈진화론명저읽기〉수업모형 설계와 효과성 연구

        손향구(Shon, Hyang Koo),고은선(Go, Eun S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2 No.2

        본 연구는 <진화론명저읽기>가 융복합교양에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고, 수업효과 개선을 위한 교수법을 탐구하며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 시각자료를 활용하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자료를 공유하기 전후 학습자 이해도의 변화를 분석하고, 학습자 설문조사를 통해 시각자료 공유 이후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각각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본 후, 도출된 차이점에 기초하여 수업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시각자료 기반 수업모형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의 교양교육 과정 중에서 명작세미나 또는 고전읽기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을 5인을 계열별로 선정하여 지정 명저를 읽고 질문지와 설문문항에 답하도록 하여 시각자료 공유 전후에 나타나는 수업효과의 차이를 측정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자료 활용 교수법이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수업효과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인지적 영역에서는 기존 주장에 대한 재고찰, 재개념화, 주체적 해석, 비판적 분석 등의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셋째, 시각자료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방법을 다각적으로 연구하여 강의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진화론명저읽기>와 같은 융복합 교양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교수법을 적극적으로 개발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xplain why〈Reading Classics on Evolution〉is necessary for convergence liberal arts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visual materials to improve teaching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learners’ understanding before and after sharing visual materials, and to examine changes i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after sharing visual materials through a learner survey. The goal is to design a visuals-based teaching model that can improve teaching effectiveness based on the differences identified. To this end, five students who have taken a masterpiece seminar or a classic reading course among the universitys liberal arts curriculum are selected from each department and have them read designated classsics and answer questionnaires and a study to measure the difference in class effectiveness before and after sharing visual material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 methods using visual materials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eaching effectiveness i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Second, in the cognitive domain, the effects of reconsideration, reconceptualization,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critical analysis of existing claims were clearly demonstrated. Third, there is a need to research various ways to share visual materials effectively and apply them to lectur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need for convergence liberal arts such as〈Reading Classics on Evolution〉 and to develop related teaching methods actively.

      • KCI등재

        대학 과학교양교육 효율성 제고를 위한 융합적 교수법 개발: 플랫폼미디어 기반 유튜브 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

        손향구(Shon, Hyang K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3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기 미래인재와 시민사회구성원에 요구되는 자질 함양을 위해 과학교양교육의 개선노력이 있으나 기초과학에 대한 문해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는 미비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유튜브 기반 과학콘텐츠를 활용해 과학지식에 대한 대중의 수용성을 높인 후, 질적 전환을 통해 기초과학에 대한 문해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과학교양교육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과학교양교육 현황과 한계에 대해 정리하였다. 둘째, 유튜브의 주제, 구체적인 내용, 대중호응도 등을 살펴보기 위해 유튜브 크리에이터 데이터 정보 및 트렌드 발굴사이트를 조사하였다. 셋째, 크리에이터들의 제작전략을 맥루언의 미디어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함으로써 콘텐츠의 대중적 호응도가 높은 이유를 설명하였다. 넷째, 플랫폼미디어 기반 흥미위주의 표면적 내용을 극복하고 질적 전환을 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튜브 미디어는 수용성과 신뢰도가 있고 기초과학 관련 핵심어를 다루는 경우가 적지 않아 과학교양수업에 도입될 경우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둘째, 민 · 교 협업체계를 통해 콘텐츠를 확충할 경우 효율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으며 셋째, 온라인 질의응답, 지식공유활동, 토론활동, 소그룹 관리 등의 쌍방향 소통을 보완할 경우 수업의 질적 개선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교수법공유를 위한 플랫폼 운영과 교수자지원이 필요하다는 점도 제안하였다. 이는 플랫폼미디어와의 융합을 통해 비효율적인 과학교양교육에 실천적인 보완책을 제시하여 최종적으로 4차산업혁명기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모델 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oblem that the actual effect of improving literacy for basic science is insufficient even though science liberal arts education has been devoted to improving the qualities required of future human resources and civil society members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a new science liberal arts education model that can improve literacy for basic science through qualitative transformation from YouTube-based scientific contents after presenting that they are effective to increase the public"s acceptance of scientific knowledge. For this, first,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science liberal arts education were summarized through advance research. Second, YouTube creator data information and trend excavation sites were searched to analyze YouTube"s themes, specific contents, and popularity. Third, it explained why the content has been highly popular by analyzing the creator"s strategy based on McLuhan"s media theory. Fourth, it tried to find a way to overcome interest-based classes based on platform media and seek qualitative transforma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YouTube contents are receptive and reliable, deals with key words related to basic science, so it can improve efficiency when it is introduced into science education classes. Second, if contents are expanded by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private sector and public educ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ird, quality of class can be improved by questioning and answering,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discussion activities, and small group management. To this end, it is also suggested that instructor support and platform operation for sharing teaching methods are needed. This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 educational model that meets the need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y presenting practical supplementary measures to inefficient science liberal education through convergence with platform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