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품 시가감정 인력(art appraiser) 양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양지연,손차혜 한국예술경영학회 2023 예술경영연구 Vol.- No.65

        미술시장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이 되는 미술품의 시가감정은 진위감정과 구분하여 체계적인 교육과 자격요건에 따라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하는 영역이다. 최근 도입된 미술품·문화재의 물납제로 인해 제도적으로도 미술품 시가감정의 전문성과신뢰성이 긴요해지고 있으며 인력의 직업화가 논의되고 있는 시점이나, 인력 양성을 위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미술품 시가감정 인력(art appraiser) 양성 현황과 수요, 역할(직무) 및 핵심 역량, 그리고 인력 양성 방안의 포괄적인 연구 문제를 탐색했다. 해외 선진 사례 검토와 국내전문가 질적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인력 양성의 논의점을 첫째, 미술품 시가감정인력 양성의 구체적 수요와 전제, 둘째, 미술품 시가감정 인력의 직명 통일, 셋째, 미술품 시가감정 관련 용어 및 실무 가이드라인 정립, 넷째, 직무·역량을 바탕으로한 단계적·체계적 교육과정 설계, 다섯째, 자격 제도 도입 여부, 마지막으로 정부·산업계·학계의 상보적·협력적 역할 측면에서 제시했다. 본 연구는 미술품 시가감정의 실무 기반과 학술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실증적 자료에 기초해 미술품시가감정 인력 양성의 방향성을 탐색하여 향후 미술품 시가감정 제도 및 인력 양성정책 수립의 토대를 마련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전시 의도의 관람객 수용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전시평가 방법론 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사례를 중심으로

        양지연,김정화,박선주,손차혜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5

        박물관의 전시가 의도된 주제와 메시지를 관람객에게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인식된 이 후 전시의 기획의도가 관람객들에게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측정하는 전시평가의 영역이 대두되 었다. 아직 국내에서 전시에 대한 평가는 주로 관람객 수나 만족도 등 산출적인 요소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으나, 전시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전시기획 의도의 관람객 수용결과를 측정하는 평가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전시가 갖는 속성을 바탕으로, 전시기획의 의도가 관람객에게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전시평가의 분 석틀과 평가방법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전시평가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진은 국립민속박물관 에서 2013년과 2014년에 이루어진 4개의 특별전에 대한 전시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전시기획팀의 기획 의도를 파악하고, 구체적인 평가의 질문들을 도출하였다. 질문에 대한 답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설계하기 위해 전시평가의 분석틀을 시간, 공간, 행동, 인지, 의견의 다섯 가지 요소로 도출하고, 이와 연계된 평가방법을 추적조사, 출구인터뷰, 출구설문조사로 설계하였다. 여기서 제 시된 전시평가의 분석틀과 복합적 평가방법은 전시의 기획의도와 관람객 수용 간의 상호작용을 보 다 효과적이고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museum exhibitions came to be recognized as communication media, the field of exhibition evaluation has emerged and been practiced widely to assess how the intention of a curator/museum was received by visitors. Even though the evaluations of exhibitions, in Korean museums, are currently limited to measuring such outputs as the number of visitors and visitor satisfaction, the systematic methodology to assess communicative effects of exhibitions need to be incorporated and studied. This study presented analytic framework for exhibition evaluation, based on the attributes of exhibitions as communication media, and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s to assess the visitor reception of exhibition’s intention. A case study of exhibition evaluation conducted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at applied the framework and methods of exhibition evaluation was introduced. The five elements of the framework to analyse visitors’ reaction were proposed as time, space, behavior, perception, and opinion. Based on the framework, the mixed methods to evaluate exhibition’s effectiveness to communicate its intention with visitors were incorporated: time and tracking study, exit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framework and mixed evaluation methods discussed and incorporated in this case study could be adopted as methodology to assess the interaction between curator’s intention and visitor reception more effectively and objectively.

      • KCI등재

        뮤지엄 온라인 원격교육의 의미와 방향

        양지연(Ji-Yeon Yang),손차혜(Cha-Hye Son) 한국문화교육학회 201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4 No.2

        20세기 중반 이후 뮤지엄은 물리적 공간을 벗어나 새로운 매체와 기술을 활용하여 소장품과활동의 접근성을 증대해 왔다. 21세기에 들어와 뮤지엄이 다루는 자료의 개념 역시 디지털·영상 형태의 비물질 자료로 확대되었으며, 온라인 원격교육을 통해 뮤지엄 자료에 대한 접근성 강화와 새로운 교육의 가능성을 개발해야 하는 기회와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연구는 뮤지엄의 물리적 공간 밖에서 교수자와 비대면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 원격교육의의의와 현황, 방향을 이론적 검토와 사례 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온라인 원격교육 유형별로 선도적으로 운영해 온 해외 뮤지엄의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뮤지엄 온라인 원격교육의 향후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뮤지엄의 온라인 원격교육은 확장된 공간에서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뮤지엄 차원의 비전이 전제되어야 한다. 둘째, 동시적/비동시적 교육 방식 각각의 특장점을 고려하여 원격교육을 설계해야 한다. 셋째, 온라인 원격교육은 비형식 학습의 자기주도성과상호작용성을 최대한 활용하는 교수-학습 설계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뮤지엄을 방문하여 실물자료를 면대면 학습하는 경험과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뮤지엄 온라인 원격교육은뮤지엄의 시공간적 접근성과 콘텐츠 활용도를 높이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강화하며, 모든 학습 참여 주체들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학습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의 지향성 안에서 개발·운영될 때 뮤지엄 교육의 미래지향적 역할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mid-20th century, the museum has increased access to its collections and activities by utilizing new media and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the concept of museum collection is also being expanded to intangible evidence in the form of digital imag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museum fac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o further enhance access to museum collections and activities through online distance education and to develop new educational possibilities. In this aspect, this research present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of museums’ use of new media and online distanc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research explored the meaning, status and direction of online distance education through a study of online content created by museums that provides non face-to-face education outside of the museum’s physical space. This study implemented a case study of overseas museums that have been leading the operation of various types of online distance educa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museum online distance education are suggested : First, a clear vision for their new role in an expanded space should be a precondition for a museum’s creation of online distance education programs. Second, distance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by considering the features of each synchronous/asynchronous teaching method. Third, distance education is capable of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to make the most of the self-directedness and interactivity of informal learning. Finally, there is a need to design an effective relationship with the experience of face-to-face learning for visitors when they visit the museum in person. Museum online distance education will be able to live up to the future-oriented role of museum education when developed and operated within a new educational orientation that can enhance the time-space access and content utilization of the museum, the learners self-directedness, and the interaction and social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