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와 정규 교원의 비대칭성 연구1

        손준종(Son, JoonJo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4

        최근 중등학교에서 한시적으로 정규 교원을 대신하는 기간제 교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기간제 교사는 정규 교원과 동일한 자격을 가지고,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업무를 담당하지만, 고용이 불안정한 임시교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간제 교사와 정규 교원의 비대칭성을 능력주의 원칙에 따른 교원임용시험과 관련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비대칭성이란 교사들이 서로를 우리와 그들로 구분하고 상대방을 불평등하게 대비하는 것을 말한다. 두 집단의 비대칭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간제 교사와 관련된 법규, 정책, 보고서, 선행연구 등을 검토했다. 연구 결과, 기간제 교사와 정규 교원의 주된 비대칭성은 고용의 불안정성이었다. 이러한 비대칭성은 능력주의 임용 원칙에 따른 임용시험의 합격 여부와 관련이 있었다. 임용시험에서 합격한 정규 교원은 고용과 삶이 안정적이지만, 임용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기간제 교사는 부정적 타자화, 개별화된 책임, 몫의 비대칭적 배분 등을 경험했으며, 노동조합과 같은 정치적 조직화도 제약받았다. 기간제 교사는 임용시험에 불합격한 이등 교사가 아니라, 새로운 유형의 교사로 인정받아야 한다. 아울러 능력에 따른 임용시험을 재검토하고 그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기간제 교사가 존중받으면서 교직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ymmetry of regular and irregular fixed-term teachers in relation to the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Since 1990 s, the number of irregular teachers who are hired to cover maternity and child leave of regular teachers has increased rapidly. Irregular teachers have the same qualifications and perform the same tasks at the same school with regular teacher. The main asymmetry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teachers is the difference in employment precariousness. Irregular teacher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regular teachers, but they are only temporary teaching jobs. This is related to the teacher employment exam based on the meritocratic principles. Irregular teachers has experienced negative othering, individualized responsibilities for precarious employment, asymmetrical distribution of right and advantages, and difficulty in organizing their union. Irregular teachers should be recognized as a new type of teacher not as second-level teachers who failed the exam. We need to review the limitations of the teacher employment exam based on meritocracy and seek its alternatives. Irregular teachers should be respected, and conditions should be created to respect them.

      • KCI등재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의 불안정 경험과 그 대응에 관한 질적 연구

        손준종(Son Joon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기간제 교사는 정규 교사의 일시적 보충을 위해 한시적으로 임용된 비정규직, 임시직 그리고 계약직 교사이다. 이들의 대부분은 고등교육을 이수하고 교원자격증을 취득한 전문가이지만 교원임용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교사라는 특징을 공유한다. 이들은 임용과 해고를 반복하는 고용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경험하는 불안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응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했다. 면접대상자는 눈덩이 표집을 통해 선정했으며, 면접은 2018년 2월부터 4월까지 진행했다. 자료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기간제 교사들은 삶의 불안정과 위계적 신분 질서에 종속, 부당한 대우의 자기 합리화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불안정 경험은 기간제 교사를 계약을 위해 자신의 쓸모를 적극 개발하는 기업가적 대응, 학교의 요구에 적응하는 대응, 불안에 소극적인 대응 그리고 자유로운 기회로 간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간제 교사의 성격에 대한 이론적 검토, 기간제 교사 노동시장의 실태 분석, 정규 교사와 연대 방안 모색에 대한 후속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subjectivity of fixed-term secondary teachers as precarious workers in Korea. This article focused on the precarious employment of fixed-term secondary teachers. The work and life of fixed-term teachers were becoming increasingly vulnerable. In order to analyze fixed-term teacher’s work and live in precarious conditions, I conducted interviews with 13 teachers. As a result, fixed-term teachers were experiencing the precalization of everyday life, subordinate to hierarchical order of status, exclusion and self-exploitation. Based on this precarious experience, teachers formed their subjectivity as entrepreneurial teachers, sacrificial teachers, disposable substitute teachers, and freelance teachers. I suggested follow-up research on the class characteristics of fixed-term teachers, the career path of fixed-term teachers, an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regular teachers.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19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성찰

        손준종(JoonJong So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2

        교육적 일상을 갑자기 중단시킨 코로나는 개인적으로 놀라운 경험이었다. 학교가 코로나 확산에 취약하다는 의학적 판단에 따라 학교는 일정 기간 문을 닫았고, 교사와 학생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했으며, 모두 백신을 접종했다. 코로나는 예전의 교육과는 성격이 다른 교육적 실천을 요구했다. 이 글의 목적은 코로나로 인한 낯선 경험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성찰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코로나에 대한 교육부의 대응 담론과 코로나의 미시적 수준에서의 교육적 영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논의가 필요한 쟁점을 제시했다. 먼저, 교육부는 배움 담론, 돌봄 담론, 안전 담론, 미래 담론이라는 관점에서 코로나에 대응했다. 코로나는 인간과 비인간인 물질과의 교육적 관계 강조, 장의 변화로 인한 히스테리시스 효과, 몸의 정동 능력과 같은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추가 논의가 필요한 주제로 교육 거버넌스와 국가 역할, 교육불평등의 다중성, 교육통치성의 변화, 그리고 교육의 디지털화와 학교의 재배치를 제안했다. Covid-19 was an unfamiliar experience that abruptly interrupted the educational practices. Based on medical decisions, all schools are closed and we must follow social distancing rule and get vaccinated. I change the teaching methods used to in formal education and adopted those that fit online-base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and education, serve insight into how to understand the unfamiliar experience of Covid-19. To this end, I firstly analyze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sponse discourses to Covid-19.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sponse discourses summarize in four discourses: learning discourse, care discourse, safety discourse, and future discourse. Secondly, I explore the impact of Covid-19 on education at the micro level. Covid-19 influences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material, the hysteresis effect of field changes, and the effects of the body's affect capacity production. Finally, I suggest further research issues in the post-Covid-19 era: state's educational role, changes of governmentality in education, digitalization of education, and multiplicity of educational inequality.

      • KCI등재

        시·도 교육청 ‘미래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김혜란 ( Kim Hyelan ),손준종 ( Son Joonj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해 ‘미래교육’ 정책이 그리는 미래의 교육 모습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미래교육’ 정책을 뒷받침하는 논리적 정당성은 무엇인가. 둘째, ‘미래교육’은 어떤 학생을 길러내고자 하는가. 셋째, ‘미래교육’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먼저 ‘미래교육’은 비교육적 관행과 소외를 극복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예측 불가능한 미래 사회에 대비한다는 데에서 정책의 정당성을 찾고 있었다. ‘미래교육’이 길러내고자 하는 학생은 지식과 정보를 소비하고 생산하는 생비자, 배움과 삶을 주도할 수 있는 학생, 민주시민 역량을 갖춘 미래인재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래교육’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흥미, 진로, 요구 등 학생들이 지닌 특성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해야 하며, 학생들이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선택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래교육’ 정책이 형성하는 교육 담론을 사회적 구성물이자 특정한 미래를 형상화시킨 결과로 바라보며, 이에 정책에 가시적으로 드러난 교육적 사고, 가치, 행위과 더불어 주변화된 것은 무엇인지 주목하고 우리가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실천하는 것들은 과연 무엇인지 성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Future Education” policy.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logical justification that supports the “Future Education” policy? Second, what kind of students does “Future Education” aim to raise?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Education” curriculum?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as utilized.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uture Education” looks for the legitimacy of its policy in overcoming non-educational practices and alienatio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preparing for an unpredictable future society. It wants students to be prosumers who not only consume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also produce, to lead their learning and life, and to be talent with democratic citizenship. Finally, the “Future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d that we need to teach and learn what students want and need and that students should manage self-directed learning by themselves. This study views the educational discourse formed by the policy as a result of selecting specific educational thoughts, values, and practices, not educational and justifiable in itself.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o see both what is visible and what is marginalized in policy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what we think and practice in the name of education.

      • KCI등재

        학교급식을 통한 학생인구의 생명관리 : 학교급식제도의 도입기(1953-1981)를 중심으로

        배성은(Bae, Sung-eun),손준종(Son, JoonJong)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4

        한국전쟁 이후 외국 원조양곡을 학교에 배정하면서 시작된 학교급식은 결식아동의 구제를 주된 목적으로 삼았다. 그러나 이후의 발전과정 속에서 학생의 신체와 식습관에 대한 국가의 개입이 확대되어갔으며, 이러한 특성은 1981년 「학교급식법」의 제정으로 구체화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환에 주목하여 한국에서 학교급식제도가 도입되었던 1953-1981년을 중심으로 학교급식을 통한 학생인구관리의 양적 확대 배경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속에서 관측되는 학교급식의 특징적인 실천 양상을 생명관리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가는 학교급식을 통해 학생의 생명을 존속시키려하였으며, 학교에 학생을 출석시킬 수 있는 동인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입맛을 국가의 경제 전략에 맞추어 재구성했으며, 이러한 실천을 영양학적 지식을 통해 정당화하였으며, 건장하고 건강한 몸을 생산하기 위한 표준화된 기준을 제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법규, 제도, 지식, 기술, 통계 등 이질적인 것들을 접합시켜 학생인구의 생명을 관리한 학교급식을 근대 생명관리장치의 일종으로 해석하였다. School meals began when foreign aid food was allocated to schools right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The school meal was primarily aimed at relieving hungry students. However, during the subsequent development process, intervention of government through school meals expanded to include students bodies and eating habits. Such an expansion was specifically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the 「School Meals Act」 enacted in 1981. This study focused on this transition and analyzed the bio-political implications of school meals in 1952-1981 when the school meal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rough school meals, the government provided an inducement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school for forming human capital, and reconstructed their tastes to match the government s economic strategy, justified these practices through nutritional knowledge, and sought to form a useful body for the nation. In this study, school meals, which combine heteronomous things such as laws, systems, knowledge, technologies, and statistics, were interpreted as a kind of modern bio-political dispositif for students to promote their physical condition and eating habits in the interests of the nation.

      • KCI등재

        일반고 직업교육위탁생 연구: 주변화된 이등학생의 출현

        김범석(Kim Beom-Seok),손준종(Son, JoonJ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에 재학하면서 직업교육 기관에 위탁되어 직업교육을 받고 있는 직업교육위탁생들의 삶을 분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는 일반고에서 직업교육을 받는 일부 학생들이 경험하는 삶의 양상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 확대․ 강화되고 있는 일반고 직업교육화의 의미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의 직업교육위탁생과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면접과 관찰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교육위탁생들은 낮은 성적 때문에 대학진학보다는 직업교육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은 자신의 성적에 맞추어 낮은 수준의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것보다는 직업교육이 자신에게 도움이 된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결국, 직업교육위탁생을 선택하는 것은 나름의 합리성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직업교육위탁생들은 학생과 위탁생이라는 이중(二重)신분으로 인해 주변화된 정체성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직업교육위탁생들은 이등(二等)학생으로 간주되었으며, 일반고에서 ‘위탁’으로 불리는 등 비정상으로 분류되는 스티그마(stigma)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처럼 일반고의 직업교육화는 학생이면서도 외부 기관에 위탁되어 직업교육을 받는 직업교육위탁생이라는 주변화된 정체성을 지닌 새로운 학생을 출현시켰다. 일반고에서의 직업교육이 학교에서 일터로의 이행을 촉진하는 도구적 관점에서 벗어나 주변화된 정체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consigned vocational students’ life in general high schoo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mplemented an in-depth interview targeting 10 consigned vocationa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a general high school.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 the consigned vocational students were found to mostly make a passive selection due to their low grade, an d to have anxiety due to the deficient term of consignment even concerning their career path after graduation. Second, consigned vocational stud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discriminate name-calling on the day for going to their original affiliated school, and relocation through separation from general students. Third, it was found that such stigmatization through normal-abnormal division was incur ring the identity split of con signed vocational students. In short, it's possible to see consigned vocational students as the emergence of new students who are placed at the lowest position even in a general high school.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 t is required that there should be the composition of an alternative, which c an surmount an instrumental level of vocational education, i. e. a transfer from school to workplace.

      • KCI등재

        한국에서 교육평가학의 출현과 재맥락화: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조영화(Cho, YoungHwa),손준종(Son, JoonJong)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4

        한국에서 교육평가학은 해방 이후 미국으로부터 교육평가 관련 지식, 기법, 담론이 빠르게 이식되는 과정에서 제도화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한국에서 교육평가학의 초기 제도화를 중심으로, 서구의 교육평가 담론이 누구에 의해 어떻게 도입되었고, 어떻게 구성되었으며, 당시 한국적 상황에서 어떻게 재맥락화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석적 역사사회학 방법을 활용하여 교육평가 담론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서 교육평가학은 해방 이후 문화적 헤게모니의 재편과 교육학의 분화 과정에서 정범모로 대표되는 미국 유학 출신의 교육평가 전문가들이 미국으로부터 교육평가 관련 지식들, 기법들, 담론들을 번역하고 이식하는 과정에서 출현한 것이었다. 둘째, 해방 이후 출현한 교육평가 담론은 Tyler식 평가 개념과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교육평가의 정체성을 규정함과 동시에 실증주의 및 합리주의에 기초한 기술적 지식과 과학적 측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었고, 이러한 평가 담론과 측정 담론의 병존에 따라 교육평가학 내부에 담론적 긴장이 발생하였다. 셋째, 해방 이후 출현한 교육평가 담론은 당시 한국의 담론적, 사회적 조건들과 실천들 속에서 재맥락화된 것이었다. 이에 따라 교육평가 개념의 외연은 확장된 반면 Tyler식 평가 개념이 내포하고 있던 함의는 축소되었고, 교육평가의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목적보다는 선발과 관리 목적이 부각되었으며, 가치들 간의 갈등의 문제가 소거되고 차별과 불평등의 문제가 정당화되는 방식으로 교육평가의 탈정치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천의 괴리, 평가 목적들 간의 긴장과 갈등 등 현재 교육평가의 문제들이 과거부터 유사한 방식으로 반복되고 변주되어 온 역사-사회적 문제라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o introduced the Western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how it was constructed, and how it was recontextualized, focusing on the initial institutionalization of academic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from Korea s liberation to the 1960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was analyzed using a historical sociology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was emerged by educational evaluation experts from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reflecting the reorganization of cultural hegemony. Second, the academic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defined the identity of educational evaluation centering on Tyler-style evaluation concept and theory,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echnical knowledge and scientific measurement based on positivism and rationalism. And due to the coexistence of evaluation discourse and measurement discourse, discursive tensions arose within academic texts on educational evaluation. Finally, the academic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was recontextualized in Korea s historical-social context at the time. As a result, the extension of the educational evaluation concept was expanded, while the intension of the educational evaluation concept was changed, and the purposes of selection and management were highlighted rather than the purpose of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and educational evaluation was depoliticized in a way that eliminated th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values and justified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problems of educational evaluation, such as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al evaluation, the tensions and conflicts between evaluation purposes, have been repeated in a similar way since the past.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 연구

        손준종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emotional labo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Especially, I analyze the influence of neo-liberal educational reform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otion.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 is a social construct that reflects the educational and social environment rather than being a personal psychological dimension. Teachers don't always express their real emotion naturally. They manage, adjust and control their emotion. Research method is in-depth interview. In-depth interview are conducted for 20 primary school teachers. Results of the study are below. Teachers feel negative emotions on neo-liberal education policy, mainly to have experienced emotions of unhappiness and stress, frustration, enforced embarrassment, anxiety and fear. There are four emotional rules that control these emotions; the Confucian order, the social image of teaching profession, promotion and evaluation system, and self-regulative system. In order to eliminate emotional inconsistency, teachers engage in emotional management techniques such as leaving the school and indifference to social and structural problems. I suggest that it is need to be based on teachers' sympathetic understanding than education policies are enforced without considering teachers' emotion.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교사의 감정은 개인적인 심리적 차원에서만 경험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 사회적 환경을 반영하는 사회적 구성물이 기도 하다. 교사들은 자신의 감정을 항상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하고 조정 하며 통제하는 감정노동을 수행한다. 이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이라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교사 의 감정을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초등학교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행복과 스트레스, 불만과 힘듦, 강요된 부끄러움, 불안과 두려움의 감정 을 주로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감정을 통제하는 감정규칙으로는 예를 중시하는 유교적 질 서, 교직에 대한 사회적 시선, 승진과 평가제도, 그리고 자발적 규율이 있다. 교사들은 감정 부조화를 해소하기 위하여 개인적으로 삭히기와 구조적 문제에 무관심하기, 그리고 학교 떠 나기 등의 관리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정책이 교사들의 감정을 고 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집행되기 보다는 교사들의 공감적 이해에 근거할 필요가 있음을 시 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