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목란전> 연구

        소인호 ( So In-ho ) 택민국학연구원 2017 국학연구론총 Vol.0 No.20

        <정목란전>은 목란이야기를 토대로 고소설의 창작 문법에 따라 한국적 변용을 거쳐 이루어진 여성영웅소설이다. 현재까지 활자본이 유일본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양승민 교수 소장 필사본의 존재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두 이본의 텍스트를 비교 검토하고 작품의 서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두 이본의 세부 내용을 비교해 보면 표기법과 일부 표현 등 서술 상의 미세한 차이를 제외한다면 전체적으로 동일하다. 필사본은 활자본을 그대로 필사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다른 이본이 발견되지 않는 이상 현재로서는 활자본을 기준본으로 삼을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활자본의 오류와 장회 구분 등을 볼 때, 이보다 앞선 또 다른 필사본이 존재했으리라 판단된다. ‘가족 이산- 남복 개착- 출장 입공- 귀환’으로 이어지는 목란이야기는 국내의 소설 독자에게 익숙한 여성영웅소설의 기본 구도와 부합한다. 이를 활용한 재창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서사 구조와 내용에 있어서 문화적 변용이 가해진 것이 <정목란전>이다. 작품의 구성적 특징으로는 남녀 영웅의 일대기 구조, 천정연에 의한 남녀 이합의 구조, 여주인공의 운명 극복 서사를 들 수 있다. <정목란전>의 서사 진행 순서는 ‘가정의 회복’에서 ‘천정연의 완성’으로, 다시 ‘국난극복’으로 나아간다. 그렇지만 지향가치의 측면에서 본다면 개인적 가치가 공적 가치에 선행한다. 요컨대 개인의 애정 성취와 가문의 질서 회복 의지를 주요 지향점으로 하는 여성영웅소설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 Jeong Mok-lan Jeon > was made through Korean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original grammar of the ancient novel on the basis of the story of Mongnan. Until now, the printed version of < Jeong Mok-lan Jeon > has only been known. However, the existence of a manuscript of Professor Yang Seung-min has been newly discovered. In this paper, I compared the two texts and examine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Comparing the details, the two versions are entirely the same except for minor differences in notations and some expressions. Manuscripts are very likely to have copied the printed version. Therefore, unless another copy is found, we can only use the printed version as the reference at this time, but it seems that another manuscript preceded it. The story of Mok-lan matches the basic composition of a female hero novel familiar to domestic novel readers. In the course of the recreation using it naturally, cultural transformation was applied to narrative structure and contents.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 Jeong Mok-lan Jeon > include the biennial structure of the male and female heroes, the structure of the male and female cohesion, and the heroic overcoming narrative of the heroine. In short, it has a female novel character with the main aim of accomplishment of individual affection and will to restore order of family. The heroine Mok-lan is presented as a normative human form embodying the dominant idea of Confucianism. In other words, it is not an entity that should be subject to the domination and protection of the male, but an independent female act of self-judgment and action.

      • KCI등재

        <츄미궁셩산녹>의 이본적 특성과 축양 양상

        소인호 ( In Ho So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8 청람어문교육 Vol.38 No.-

        <취미삼선록>은 후한 광무제의 황실 가문을 역사적 배경으로 하여 기존 가문소설의 보수적 흐름에 정면으로 반발하고 있는 문제적 작품이다. 이본으로는 현재까지 한중연본과 천리대본 2종이 알려져 왔으나, 연세대본과 서강대본 등 새로운 이본이 속속 출현하고 있어 전면적인 이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대한 기초 작업으로서, 본고에서는 새로 발견된 양승민본 <츄미궁셩산녹>을 대상으로 그 서지 사항 및 이본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양승민본 <츄미궁셩산녹>은 지방의 보수적인 가문에서 여성들의 생활교양서로 수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에 저촉되지 않는 한, 의식적으로 과감한 축약이 시도되고 있다. 그 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작품 서두를 비롯한 여러 곳에서 서사 단락 및 세부적인 사건의 진행 절차가 생략되어 있다. 둘째, 작품 전체에 걸쳐서 문장 표현 및 장면 묘사를 간략하게 처리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작중인물들의 대사와 삽입 서간의 내용에 대한 과감한 축약이 행해지고 있다. 축약의 결과, 여성적 글쓰기의 섬세한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는 원작의 소설적 특성이 상당 부분 훼손되는 부작용이 드러나기도 한다. 양승민본은 애초부터 의도적인 목적 하에 대폭적인 축약을 도모한 이본으로서, 이와 같은 파격적인 축약본의 출현은 선본 여부의 평가와는 별도로 가문소설의 수용 양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주목을 요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Chuimisamseonnok(취미삼선록) is a very unique styled novel which was written in 18th century. Through looking out on the women`s situation under the feudalistic family with critical attitude, it shows the absurdity of the feudal family system and searches for a solution to that problem. The author provides several methods for women to cope with their husbands and to live independently in the isolated place. Like this, Chuimisamseonnok speaks for women who were suffered from patriarchal system in Joseon dynasty. Until now, just two versions of manuscript were known to us; Cheonridae-bon(천리대본) and Hanjungyeon-bon(한중연본). Recently, professor Yang Seung-min found a new manuscript of it, and provided it with me. So, in this study, I tried to examine the bibliographical features of it. In conclusion, it is estimated as the most abbreviated manuscript of Chumisamseonnok that was ever known. The total length of it is just as half as the other ones. Many of scenes and dialogues are omitted of excessively shortened. In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estimated as a very unique case. We can assume that it could be accepted more easily by the readers.

      • KCI등재

        중국 조선문학사의 비교 연구 -서사문학을 중심으로-

        소인호 ( In Ho So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In this thesis, I examined four kinds of 『Joseon Munhaksa(조선문학사)』 which was written in China, especially focusing on the narrative literature. In order to ascertain the aspects of description, I compared the periodization in history at first. The four books are generally similar to one another, but there are no concern about the literature of Balhae(발해). Secondly, I examined the aspects of description about oral narratives, prose styles, and classical novel in detail. The books written by Huh Mun Seop(허문섭) and Park Chung Rok(박충록) are relatively similar to the 『Joseon Munhaksa』 of north korea, especially in the fact of emphasizing ``identity`` and ``ideology``. On the other hand, Wi Uk Seung(위욱승) and Mun Il Whan(문일환) are showing more flexible attitude about selecting and elucidating the documents. Despite the differences above, they are all revealing many weaknesses in clarifying documentary records, writers, genre, and periodization. Generally speaking, they seem to proceed toward balanced region in describing the history of korean narrative literature. So, they can provide us with many useful informations to make better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a prudent and critical approach on them, we can make narrow the dista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KCI등재

        20세기초 러시아 한인의 고소설 향유 양상

        소인호(So, In-ho)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3 No.-

        본고에서는 1세대 사할린 교포의 필사본 소설 자료집을 소개, 검토하였다. 필사자의 아들 윤정남 씨의 편지에 의하면, 돌아가신 그의 부친 윤태정 씨가 당시 읽을거리가 없던 교포들을 위해 사할린 현지에서 직접 필사한 이야기책이라고 한다. 동봉된 자료는 필사본 소설책 5권과 『동맹결의』 수첩, 낱장의 양면에 적은 <상여소리>, 기타 자료사진 등이다. 모국을 떠나 생활하면서도 전통적인 문화를 보존하고자 노력했던 1세대 한인교포들의 모습을 바라볼 수 있다. 수록된 작품은 빈 노트 용지에 볼펜으로 정성스럽게 필사되어 있다. 매면 15-16행, 매행 35자 내외이며, 모두 동일인의 필적이다.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표지를 덧씌우고 실로 꿰어 매듭을 지어놓았다. 소설책 목록은 ① 『두조유영전』, ② 『강춘식 실긔』, ③ 『리옥경 랑자전-상편』, ④『명사십리·구의산』, ⑤ 『가연·(제목미상)』이다. 전체 작품 수로 따지면 총 8종이 된다. ①은 내용이 다른 고전소설의 두 이본을, ④와 ⑤는 각각 신소설과 일본 대중소설로 추정되는 두 작품을 나란히 수록하고 있다. 유사한 성격의 작품들을 같은 책으로 서로 엮어서 필사한 것을 알 수 있다. 필사된 작품들 가운데는 기존에 알려져 있는 작품도 있고 그렇지 않은 작품도 있다. 그런데, 세부적인 사건의 성격과 서술 방식을 살펴보면 수록된 작품들 사이에는 일정 정도 공통적인 면모도 엿보이고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문체와 서술기법에 있어서도 일관된 방식으로 윤색되어 있다. 따라서 필사자의 창작적 개입이 적지 않게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평가해 본다면, 작품의 질적 수준 여부를 따지기 전에, 그동안 관심의 영역 밖에 놓여있었던 사할린 한인교포들의 ‘디아스포라’ 문학을 단편적으로나마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그 자료적인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 Several years ago, I received a bundle of documents containing a letter, along with some old Korean novels and old photographs. According to the letter, these works were written by his father in Sakhalin to console Korean residents who had no reading materials. In this thesis, I examine these documents to confirm the Sakhalin Koreans accommodation of old novel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enclosed documents are transcribed in the empty notes; there are five books of old novels, a pocket notebook titled Dongmaeng Gyeolui (동맹결의), and a sheet of paper on which the work “Gasa (가사)” is written. Through these, we can understand the aspects of first-generation Sakhalin Koreans who tried to preserve traditional korean culture. The seven novels are as follows; “Two Stories of Jo Yu-yeong (두조유영전), “Gang Chun-sik Silgi (강춘식 실기), “A Story of Lady Lee Ok-kyung (리옥경 낭자전), “Myung-sa-sip-ri (명사십리), “The Gu-ui mountain (구의산), “Ga-yeon (가연), and a work whose name has been lost. The contents of “Two Stories of Jo Yu-young (두 조유영전)” are very similar to the novels “Hong Yeon Jeon (홍연전)” and “Jeong Su-gyeong Jeon (정수경전)”. “Gang Chun-sik Silgi (강춘식 실기)” is a heroic novel spanning three generations, though its time and place are modern. “A Story of Lady Lee Ok-kyung (리옥경 낭자전)” is a long novel, but the latter part has been omitted. “Myung-sa-sip-ri (명사십리)” and “The Gu-ui Mountain (구의산)” are different versions of the same novel. “Ga-yeon (가연)” and the unnamed work can be considered adaptations of popular japanese nove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의 고전소설사와 『화몽집』

        소인호 ( So In Ho ) 우리어문학회 2003 우리어문연구 Vol.21 No.-

        In north Korea, there has been many important achievements of scientific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old nonel. They are applying the two concepts -a realistic tendency and a romantic tendency- to the main creative methods of old novel. The 17th century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period in the history of old novel, and is dealed with as a separate chapter in the history books of Korean old novel. 『Hwamong-jip(花夢集)』 is especially emphasized as the first collection of medium-length stories in the history of Korean old novel. It is constituted with nine medium-length stories, but the original number of stories can be defined as ten including <Choichuk-jun(崔陟傳)> which has been left out. The exitence of 『Hwamong-jip』 may offer a significant clue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tream of 17th century Korean novel. The romantic fiction grew rapidly into favor, undergoing vigorous inner connection of genre, and the variegated transfigurations of it were promoted all the more. Especially through translating into Korean, the romantic fi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reation and circulation of popular novel written in Korean later ages.

      • KCI등재
      • KCI등재

        일제하 근기 지식인의 삶과 사유, 『관란재일기』

        소인호(So In-h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한국학연구 Vol.25 No.-

        『觀潤齋日記』는 鄭觀海(1873~1949)에 의해 쓰여진 총 24권 분량의 한문 생활일기로서, 한일합방 직후인 1912년 1월 30일에서 해방 직후인 1948년 1월 28일까지 약 35년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본고에서는 일기에 나타난 관란의 삶과 학문, 그리고 일제강점기를 살아오면서 그가 취했던 현실 인식과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관란은 낙론 계열의 성리학적 학맥, 특히 간재 전우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았다. 하지만 그의 학문적 계보를 직접 이어받은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며, 학파적 범주에 구속받지 않고 明德主理主氣論爭 등의 성리학 논변에 있어서도 객관적인 태도로 그 장단점을 성찰하려 하고 있다. 그는 학문의 목적을 入本致用에 두는 도학적 태도를 견지하면서, 실천이 없는 虛文을 경계하고 전통 학문을 통한 후학 교육에 매진하였다. 그렇지만 변화하는 교육 현실을 외면하고 근대적 신학문 교육에 대해 비타협적인 태도로 일관하였던 까닭에 시대의 요구에 제대로 부응할 수 없었다. 관란은 일제하의 가혹한 현실에 처하여 일정부분 타협을 하기도 했지만, 도학적 이념과 원칙만큼은 끝까지 지키고자 했다. 그리고 일제가 강요하는 개화 정책과 서교에 대해서는 수구를 자처하며 완강히 거부했던 반면, 서양의 앞선 물질문명에 대해서는 다소 유연한 개방적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그는 일제하 정국의 추이를 예리하게 주시하고 있었는데, 특히 30년대 이후 국제사회의 동향을 바라보는 정치적 안목은 대단히 탁월한 것으로 평가된다. 전통적 보수 유림의 성향이 강한 그 시대 평범한 농촌지식인의 삶이 총체적으로 무르녹아 있는 『관란재일기』는 당대 근기 지식인의 일반적 동향을 알려주는 소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A diary has very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shows the real shapes of society without any addition and subtraction. 『Gwallanjae Diary』, written by Jeong Gwan-Hae, is a plain confession of a conservative intellectual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In this study, I have examined the author's attitude about social conditions, education, western sciences and religion, Japanese imperialism, etc. The author of 『Gwallanjae Diary』, living in rapid changes of society, remained as an ordinary farmer in spite of his extraordinary academic capacity. Instead of it, he devoted himself to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confucianism. To him, the aim of learning was only to expound the teachings of Confucius. He held fast to moral philosophy and believed in the precious value of learning. He was very anxious about the Japanese colonialism, but could not showed any active resistance. He thought that the establishment of social order was necessary above all things, and that it is possible only with restoring the human nature. He also had a very cute sense of discrimination toward the a political development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Especially in the latter part of the diary, we can find that he forecasted the stream of international situation very correctly. He was one of ordinary Geun-gi(近畿) intellectual who has strongly the disposition of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s. However, the very commonness can rather be useful to understand the shape of agricultural district and the literate stratum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