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초 여훈서의 일 양상- 『婦人言行錄』을 중심으로

        성민경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5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background of publication, the format, the principle of edit, and an aspect of traditional-oriented and non-traditional-oriented of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1916) that was published by Kwon Sungu.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is the biography of women that modeled after Yolnyojun(列女傳), and classify virtues detailedly for Women's discipline. Chinese character with Hyun-to(懸吐) and translation and annotation are likely to be useful to increase Korean-Chinese Style literacy for women. And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modifies traditional Yeo-Hoon-Seo(女訓書) according to detailed classification standard.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has an aspect of traditional-oriented and non-traditional-oriented, the one is Yeol(烈) and family, the other is learning. The part of Soo-Jeal(守節) contains 20 women that represents this Yeo-Hoon-Seo(女訓書) is bothered Yeol(烈). And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emphasizes Yeol(烈) in other parts variously. Such emphasis on Yeol(烈) shows relentless giving value to Yeol(烈) in colonial times. The next thing traditional category of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is family. Contents of this book treats a role as ‘a daughter-in-law of family’ that traditional Yeo-Hoon-Seo(女訓書) mainly treated. And to make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than before intends to include family relations due to marriage. In modern-transition period, Yeo-Hoon-Seo(女訓書) tends to emphasize family harmony not only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In the background of the status quo, there are raising of new family theory and criticism of familism on blood ties. Learning is an aspect non-traditional-oriented of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In traditional era, learning of women in other word literal education for women is limiting and private. Moreover reading and writing did not recommended to women. By the way,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 sets a part of Hak-Mun(學問) at the end of text, and recommends learning to women. Though, such encouragement of learning not for autonomous growth of woman herself but for education of children. Even so such an attempt does not have to devaluate, that is a distinct point of progress compared with traditional Yeo-Hoon-Seo(女訓書). 본 논문은 權純九(1866~1944)가 편찬한 여훈서인 『부인언행록』(1916)의 간행배경, 체재와 편집원리 및 내용에 공존하고 있는 전통적 지향과 탈전통적 지향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인언행록』은 『열녀전』의 형식을 본 따 여성인물전기집의 형태로 편찬된 여훈서로, 보다 구체적인 분류 항목을 두어 한층 더 세밀하게 여성들을 규율하고자 하였다. 현토체 한문에 언해문을 붙인 형식과 어려운 어휘에 붙인 주석들은 여성들의 ‘국한문 리터러시’를 제고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부인언행록』은 전통 여훈서에 비해 세밀해진 덕목의 분류기준에 맞추어 원전의 맥락에 변형을 가하는데, 이것은 전범이 되는 여훈서를 재가공하고 편집하여 당대에 맞게 변개하는 근대전환기 여훈서 편찬의 일단을 보여준다. 『부인언행록』에는 전통적 가치를 고수하고자 하는 측면과 전통적 가치에서 벗어나 있는 측면이 공존하고 있는데, 전자는 ‘烈’과 ‘家’, 후자는 ‘學’이라고 할 수 있다. 『부인언행록』은 <守節>에 가장 많은 20명을 배치함으로써, 이 여훈서가 여성에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덕목이 무엇인지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여타의 세분화된 항목들에서도 열행을 나열하여 강조하고 있다. 『부인언행록』의 ‘烈’에 대한 강조는 식민지시기에 들어서도 결코 수그러들지 않은 烈에 대한 가치부여를 드러내며, 전통시대부터 지속된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완고한 통제가 얼마나 해체하기 어려운 문제였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烈’에 이어 『부인언행록』에서 지향하고 있는 전통적 범주의 가치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家’이다. 『부인언행록』은 전통적인 여훈서의 형식을 띠고 있는 만큼 그 내용에 있어서도 전통 여훈서들이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가문의 며느리’로서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이전에 비해 세밀해진 분류 항목을 세워 혼인에 의해 맺어지는 모든 관계들을 포용하고자 했다. 근대전환기 여훈서에서 가족구성원들 간의 화목을 강조하는 경향은 『부인언행록』만의 일은 아니었으며, 그 배경에는 당시 새로운 가족론이 대두되고 혈연적 가족주의가 비판의 대상으로 떠오른 상황이 자리하고 있다. ‘烈’과 ‘家’가 『부인언행록』이 고수하고 있는 전통적 가치를 대표한다면 ‘學’은 전통적 여훈서의 관행에서 벗어난 탈전통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시대에 여성의 학문 즉, 여성에 대한 문자 교육은 제한적이고 사적인 범주에서만 이루어졌으며, 여성의 글 읽기와 글쓰기는 권장되지 않았다. 그런데 『부인언행록』이 마지막에 <學問>이라는 별도의 항목을 내세워 여성들에게 학문을 권장한 것은 여훈서의 전통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근대전환기 여훈서들이 여성에게 학문을 권한 것은 여성 자신의 주체적 성장이나 계발을 위한 것이 아닌 자녀 교육을 위한 것이었다. 그렇다고 해도 그 시도를 평가 절하할 필요는 없으며, 그것은 전통시대 여훈서에서 보이는 여성의 학문적 활동에 대한 방어적 경계에 비하면 분명 긍정적으로 변모해가고 있는 지점이라고 평가할 만한 것이다.

      •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에 관한 연구

        성민경,이진영 동서대학교부설연구센터 2001 연구센터논문집 Vol.4 No.1

        The text and the image has developed from the static form to the dynamic form in digital communication. Kinetic Typography is transition of the dynamic form with time and interaction from the traditional and the static typography. There are enough abilities about virtual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but there ar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visual design in kinetic typography. Thus we need to understand about kinetic typography as an efficient tool with transmission of contents and an emotion on digital communication.

      • KCI등재

        제자훈련을 위한 역량모델링 및 평가 설문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성민경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1

        본 연구는 제자훈련생을 위한 역량모델링을 실시하고 평가를 위한 설문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제자훈련은 1970년대부터 시작하여 1990년대부터는 교회 내의 프로그램으로서 평신도 지도자를 양산할 뿐만 아니라 교회 체질을 유기적인 것으로 개선하여 신앙과 인격이 함께 성장해 가는 그리스도인을 세우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제자훈련이 효과적으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요구분석, 계획, 개발, 실행뿐만 아니라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시 말해, 제자훈련을 통해 어떤 영역의 역량들이 개발되는지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역량모델링을 시행하고 평가를 위한 설문도구를 개발하였다. 목회자와 평신도를 대상으로 하는 두 차례의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기초설문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개발된 설문도구는 지성, 감성, 영성, 관계성, 공동체성으로 분류되었고 총 7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인지 역량의 하위 역량으로는 의사결정력, 창의적 혁신, 문제해결력이 제시되었고 정서 역량의 하위 역량으로는 자기인식, 자기주장, 자기평가, 공감, 융통성, 자기통제, 적응력이 제시되었다. 영성 역량의 하위 역량으로는 신앙고백, 영적 건강성 유지, 소명의식의 중요성, 영성훈련의 일상화가 제시되었고, 관계성 역량의 하위 역량으로는 갈등관리, 관계구축, 협력, 경청, 말하기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공동체성 역량의 하위 역량으로 공동의 필요인식, 멤버십, 영향력, 공유된 책무, 참여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이미 많은 교회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적절한 도구의 부재로 실시되지 못한 제자훈련의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고, 평가도구를 다섯 가지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자훈련을 통한 다양한 영역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기여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etency modeling and evaluation inventory for discipleship training. Discipleship training introduced in 1970s began in local churches as a program in order to cultivate the laity leaders and improve the organic constitution of the church. In 1990s, it is used for Christians to grow in faith and personality. Effective discipleship training should have proper evaluation as well as need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Evaluation should be able to measure what kinds of competencies are developed by participating in discipleship training. This study developed competency modeling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the preliminary study using an focused group interview. It also developed an evaluation inventory for discipleship training, followed by two focused group interviews targeting the laity leaders and pastors to confirm validity and a preliminary survey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inventory. The final evaluation inventory is classified into cognitive, affective, spiritual, relational, and community domains, and composed of a total of 76 items. Subordinate competencies of cognitive competency are decision-making, creative innovation, and problem-solving. Subordinate competencies of affective competency are self-recognition, self-assertion, self-evaluation, empathy, flexibility, self-control, and adaptability. Subordinate competencies of spiritual competency are confession of faith, keeping the spiritual health, importance of calling, and daily practice of spiritual training. Subordinate competencies of relational competency are conflict management, building relationship, cooperaton, listening, and speaking. Lastly, subordinate competencies of community competency are recognizing common needs, membership, influence, shared 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a development of an inventory that was divided into five areas of cognitive, affective, spiritual, relational, and community competencies so that churches can properly implement an evaluation process.

      • KCI등재

        DISC 행동유형검사를 활용한 예비부부 교육

        성민경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본 연구는 William Marston의 DISC 행동유형검사가 어떻게 교회의 예비부부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DISC 행동유형검사는 속도와 우선순위의 축을 결합하여 인간의 행동 유형을 주도형, 사교형, 안정형, 신중형의 네 가지로 분류하여 감정이 어떻게 다양한 행동양식으로 표현되고 변하는지를 그들의 자아인식에 기인한 경험과 관계로 설명한다. DISC 행동유형검사를 활용한 예비부부 교육은 다른 환경에서 성장한 예비부부가 서로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해함으로써 더욱 연합하고 헌신하여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가정 안에서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경상북도에 있는 G교회의 결혼예비학교 참여자 50명을 대상으로 각 커플이 경험하는 갈등의 유형을 공유하고 DISC 행동유형검사를 실시하여 그 갈등을 재해석하며 갈등의 해결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연구결과 25쌍의 예비부부 중 가장 많은 유형은 사교형 남성과 주도형 여성, 사교형 남성과 신중형 여성, 안정형 남성과 사교형 여성이었다. 세 유형 모두 사교형이 포함된 특징이 있으며 이들의 갈등은 비체계성과 즉흥성, 완료의 어려움에 기인하여 나타났다. 행동유형의 특징에서 볼 수 있듯이 주도형은 비경청과 고집, 신중형은 유연성의 부족, 안정형은 지나친 양보 등이 갈등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연구의 참여자들은 문헌에서 발견한 각 유형의 약점이 갈등의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과 그들의 약점과 두려움이 상대방에게 어떤 어려움을 느끼게 하는지에 대해서 발견하였다. 또한 건강한 관계를 위해 어떤 노력을 시도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갈등 요인이 틀린 것이 아닌 다른 것임을 인식했을 때 예비 남편과 아내가 어떻게 연합하고 헌신하여 행복한 결혼생활을 운영해야 할지에 대한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d how the DISC profile test by Dr. William Marston can be used for church’s premarital education. The DISC profile system, which classifies human behavior into four types of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and conscientiousness by combining two axes of the speed and the priority, describes how each person expresses his or her emotion with different behaviors. It aimed to help couples to enjoy happiness in God -created family through practicing oneness and devotion by acknowledging and understanding differences of each othe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fifty participants at G church in Gyeongsangbuk-Do shared their stories of conflicts they had experienced, took DISC profile test, analyzed their conflicts by means of DISC, and discussed how to resolve these conflicts.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couple types with the highest frequency were influent male and dominant female, influent male and conscientious female, and steady male and influent female. These types all included one person of influent type, and these couples experienced conflicts due to unsystematic and impromptu tendency and difficulty in completing the tasks. As shown in the literature, the dominant person had troubles because of stubbornness and lack of attentive listening, the conscientious person due to lack of flexibility, and the steady person because of too much yielding. It showed that weaknesses of each DISC type suggested in the literature worked as an initiating factor for conflicts; however, when both parties realized the differences, and how these make their future spouses feel uneasy, they found ways to deal with conflicts to build happy family where members unite and devote for each other.

      • KCI등재

        鶴山 尹濟弘의 <漢拏山圖> 一考

        성민경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8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Yoon Je-hong's <Hallasando>. In order to help the discussion before that, I looked at the life of Yoon Je-hong and the style of painting. <Hallasando> is a painting completed by placing Hallasan Baengnokdam and Hallasan Yugi(遊記) on one screen.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each picture and Yugi(遊記).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Yugi(遊記),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work that properly melted the climate and related legends of the excursion site along with the journey in a relatively short amount. Subsequently, the effects of Yugi(遊記) as pictures and Jebal(題跋) were examined in the overall composition of <Hallasando>. It was confirmed that <Halla Sando>‘s Jebal(題跋) reminiscent of the gaze and footsteps of the tourists who wander around Baeknokdam, and fills the entire screen, making it feel a unique aesthetic that cannot be felt in any landscape painting. Next, he revealed that <Hallasando> is in the field of change in the way of enjoying travel ar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ethod of visualizing the experiences in <Hallasando> analyzed last is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Hallasando>. I think that the key significance of <Hallasando> is that it effectively visualizes the experience by integrating the travel device, which is a typical way of remembering the travel experience, into the same screen. 본 연구는 윤제홍의 <한라산도>에 대한 고찰이다. 그에 앞서 논의를 돕기 위해 윤제홍의 생애와 그에 따른 화풍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한라산도>는 한라산 백록담 그림과 한라산 유기를 한 화면에 배치하여 완성된 그림이다. 그래서 그림과 유기를 각각 분석할 필요가 있다. 우선 유기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여정과 함께 유람 장소의 풍토 및 관련 전설들을 비교적 짧은 분량 속에 적절히 녹여낸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한라산도> 전체 구도에서 그림과 제발로서 유기가 갖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라산도>에서 제발이 그림 전체의 조형성을 고려한 요소로서 역할 하게 되는 것과 관련하여, 청나라 화단 및 추사 김정희의 <불이선난>의 구도를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라산도>의 제발이 백록담 주변을 완상하는 유람객의 시선과 발길을 연상하게 하고 화면 전체를 촘촘히 메우며 여느 산수화에서는 느낄 수 없는 독특한 미감을 느끼게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한라산도>가 조선후기 기행예술의 향유 방식 변화의 자장 안에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분석한 <한라산도>에 나타난 체험의 가시화 방법은 <한라산도>가 갖는 가장 중요한 의미이다. 여행 체험을 기억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산수유기와 기행사경도를 같은 화면 안에 요령 있게 융합시켜 그 체험을 효과적으로 가시화하고 있다는 것이 <한라산도>의 핵심적인 의의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Biophysical Feature, Crystallization and X-ray Crystallographic Studies of Toxascaris leonina Galectin

        성민경,정미숙,Woo Chul Lee,Jeong Hyun Song,Hye Yeon Kim,조민경,유학선,장세복 대한화학회 2012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3 No.1

        Galectins are generally believed to be potential candidates for use in the development of novel antiinflammatory agents or as selective modulators of the immune response. In particular, galectin-9 exhibits some of the extracellular functions, including cell aggregation, adhesion, chemoattraction, activation, and apoptosis. Tl-galectin (Tl-gal, galectin-9 homologue gene) was isolated from an adult worm of the Toxascaris leonina. The full-length Tl-gal gene, which was incorporated into pET-28a, was overexpressed in E. coli and purified by nickel affinity a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ies. The purified Tl-gal was crystallized using the hangingdrop vapor-diffusion method. The crystal belonged to the tetragonal space group P41, with unit-cell parameters of a = b = 75.7 Å and c = 248.4 Å. The crystals were obtained at 20 oC and diffracted to a resolution of 3.0 Å. The asymmetric unit contained four molecules of Tl-gal, which gave a crystal volume per protein mass (Vm)of 2.8 Å3 Da−1 and a solvent content of 54.1%.

      • KCI등재

        근대전환기 女訓書가 전통을 수용하는 방식 : 『婦人言行錄』의 『女學』 변개에 대하여

        성민경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2 No.-

        본고는 근대전환기의 여훈서가 전통을 어떻게 수용해서 변개하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이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동원하게 될 자료는 청대의 여훈서 『女學』과 근대전환기 식민지 조선의 여훈서 『婦人言行錄』(이하 『부인』으로 지칭)이다. 『부인』은 책에서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목차 상의 유사점이나 『여학』의 논평이 여러 군데 인용된 것으로 볼 때, 『여학』을 참조한 것이 분명해 보인다. 즉 『부인』은 『여학』의 체재를 참조하여 목차를 구성하고, 내용을 발췌하여 정리한 것을 바탕으로 국내의 사례를 첨가한 저작인 것이다. 『부인』은 전통 여훈서의 범주에 포섭되는 저작이지만 근대전환기의 국어 교과서에 해당하는 ‘讀本’의 역할도 겸할 수 있었다는 특징이 있다. 『부인』은 『여학』을 전기체로만 일관하는 전기집의 형태로 변개했고, 세분화된 덕목들 중 보다 핵심적이라고 할 만한 것들로 집중을 꾀했다. 결과적으로 『부인 이 『여학 의 지나치게 세분화된 덕목을 통합해서 간소화한 것은 실제 통용되는 여훈서로서 갖는 실효를 제고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부인』은 『여학』을 수용함에 있어 전반적인 체재를 재조직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내용을 첨가했다. 특히 『부인』이 독자적으로 수록하고 있는 인물들의 존재는 비교적 덜 알려진 여성 인물들이 역사 속에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한편 『여학』과 『부인』은 모두 ‘학문’으로 별도의 항목을 구성함으로써 학문이 여성에게 필요한 덕목이라는 점을 인정하고 있는데, 『부인』은 『여학』의 이러한 측면을 계승하면서도 여성의 한시 작품을 수록함으로써 여성의 詩詞를 긍정하는 한층 진전된 면모를 보인다. 『부인』의 여성 한시 수록은, 비록 소극적일지언정 여성교화의 최전선에 있는 여훈서조차도 시대적 변화를 거부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며, 여성의 시사에 대해 방어적 경계로 일관하고 있는 전통 여훈서의 흐름에 비추어보면 그 긍정적 변모의 의미를 더욱 또렷하게 드러내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부인』이 『여학』을 변개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또 하나의 특징은 규범의 통속화이다. 이것은 유교적 여성 규범이 지식 엘리트나 사족 부녀의 영역을 벗어나 여성 일반에게 한층 수용되기 용이한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그 효과는 일제강점 초기부터 중기에 걸쳐 거듭된 『부인』의 재간행이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how Yeo-Hoon-Seo(女訓書) in the transitional period embraced and changed the tradition. The materials we will be mobilizing for this work are 『Yeo-Hak(女學) and 『Buin-Eonhaengrokl(婦人言行錄)』(Hereinafter referred to as 『Buin』) Although 『Buin』 is not disclosed, it seems clear that a reference to 『Yeo-Hak』 has been made given the similarities in the table of contents or the comments of 『Yeo-Hak』 are cited in several places. In other words, 『Buin』 is a work in which domestic cases are added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he table of contents by referring to the format of 『Yeo-Hak』 and the excerpts of the contents. 『Buin』 transformed 『Yeo-Hak』 into a biographical book, and focused on the subdivided virtues that could be considered more essential. As a result,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simplification of 『Buin』 by incorporating the overly subdivided virtues of 『Yeo-Hak』 has im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al Yeo-Hoon-Seo. And 『Buin』 not only reorganized the overall format in accepting 『Yeo-Hak』, but also added new content. In particular, the existence of characters that are independently included in 『Buin』 provided an opportunity for relatively lesser-known female characters to establish themselves in history. On the other hand, both 『Yeo-Hak』 and 『Buin』 recognize that scholarship is a necessary virtue for women by composing separate items as 'academics'. The dissertation affirms women's Chinese poetry by including women's poetry while inheriting this aspect of the book. It shows a more advanced aspect. The women's poems in 『Buin』 show that even Yeo-Hoon-Seo at the forefront of women's revitalization, although passive, did not reject the changes of the time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point where the meaning of transformation is more clearly revealed. Another characteristic that 『Buin』 reveals in the process of changing 『Yeo-Hak』 is the popularization of norms. Thi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Confucian women's norms to be more easily accepted by women in general, out of the realm of the knowledge elite or the Yangban women. And it can be said that the effect can be proved by the re-publishing of 『Buin』 repeated from the early to mid-term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