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격대학 사례를 통해 살펴본 온라인 강의 품질 관리 방안 탐색

        서희정 한국품질경영학회 2022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

        팬데믹 이후 온라인 강의가 보편적인 교육 방법으로 자리 잡으면서 온라인 교육 품질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학 온라인 강의의 품질은 학습자들의 학습효과와 학습 전이에 영향을 미치며 교육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에 해당하므로 우수 온라인 강의 개발과 운영 과정을 탐색하여 품질 관리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 원격대학의 강의 콘텐츠 개발 및 운영 절차를 살펴보고 국내·외 대학의 강의 품질 관리 지원사례와 품질 관리 기준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오랜 원격교육의 전통을 기반으로 고등원격평생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K원격대학의 교수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여 우수 강의 개발 및 운영 과정에 나타난 특성과 품질 관리 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로 첫째, K원격대학의 우수 교수자들은 온라인 강의 품질 관리를 위해서 성인 학습자 특성과 상황, 요구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으며, 학습효과와 학습자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수요자 맞춤형 강의를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때 교수자와 제작 PD와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각 교과목의 특성과 교수자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된 콘텐츠를 제작하며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었다. 셋째, K원격대학에서는 방송국 내부 모니터링 과정 뿐만 아니라 학생 모니터링단을 통해서 강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며 질 관리를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강의 품질 제고를 위한 국내·외 대학 차원의 다양한 지원 방안을 살펴보고, 형식지로 쉽게 자료화하기 힘든 원격대학의 교수자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탐색하여 강의 질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의 서술형 답안 작성 양상 연구

        서희정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2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mon usage of examination answers written by Korean undergraduates and foreign undergraduates in order to suggest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eaching how to write examination answers. Methods: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180 argumentative answers and 182 explanatory answers were collected from 62 Korean undergraduates. Also, 181 argumentative answers and 175 explanatory answers were collected from 62 foreign undergraduates. The criteria of analysis were contents, constructions, grammars, and words. Results:This analysis showed a couple of features of answers written by foreign undergraduates. First, major contents of answers were frequently omitted in explanatory answers. Second, contents of introduction and conclusion in answers tended to be similar. Third, explanatory relations were more found in argumentative answers. And, example relations were less found in explanatory answers. Fourth, demonstrative pronoun ‘i, geu’, determiner ‘ireohan’ were less used. On the other hand, conjunctive adverb ‘geurigo, geuraeseo, waonyahamyeon, gureonde’ were frequently used. Fifth, colloquial forms of grammars and words were easily found. Conclusion:Results of this analysis will be used in setting up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teaching foreign undergraduates how to write examination answers in Korean. 목적: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이 작성한 서술형 답안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학부생의 답안 작성에 필요한 교육 내용을 제안하는 데 목적은 둔다. 방법:한국인 학부생 62명의 논증형 답안 180편, 설명형 답안 182편과 외국인 학부생 62명의 논증형 답안 181편, 설명형 답안 175편을 내용, 구조, 언어 사용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결과:외국인 학부생의 서술형 답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지시문이 요구하는 핵심 내용에 선․후행하는 시작 부분과 마무리 부분의 내용이 동일한 경향이 있으며, 핵심 내용이 누락된 답안은 설명형 답안에서 두드러졌다. 관계적 응집성 측면에서는 논증형 답안에서 설명 관계의 사용률이 높으며, 설명형 답안에서는 예시 관계의 사용률이 낮았다. 지시 대명사 ‘이, 그’, 지시 관형사 ‘이러한’의 사용률은 낮으며 접속부사 ‘그리고, 그래서, 왜냐하면, 그런데’를 선호하였다. 언어 사용 측면에서 구어적 속성을 지닌 문법 및 어휘의 사용률이 높았다. 집단 및 답안 유형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서술형 답안 작성을 위한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결론:본 연구 결과는 외국인 학부생의 서술형 답안 작성을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정신건강의학과 음악치료 인턴쉽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서희정,소혜진 한국예술치료학회 2018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들의 정신건강의학과 인턴쉽 경험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음악치료사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정신건강의학과 인턴쉽 경험에 대한 심층면담을 진행한 뒤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ʻ시작 전 경험,ʼ ʻ의미 있는 경험,ʼ ʻ어려움 경험ʼ 그리고 ʻ성장의 경험ʼ으로 총 4개의 영역과 1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음악치료사들은 정신건강의학과 인턴쉽을 통하여 음악치료적 개입 기술과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 및 동료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는 등 치료사로서 전문성 성장을 경험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라는 고유한 특성을 가진 기관에서 음악치료 훈련생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전문성을 획득하는지에 대해 고찰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인턴쉽을 진행하게 될 훈련생들에게 전문성 발달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to examine the internship experiences of music therapists in a psychiatric department. To gather the data, the researcher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to explore the internship experiences of 10 Korean music therapists in a psychiatric department. Afte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four domains and 18 categories were generated about participantsʼ internship experi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d various emotional reactions such as anxiety or excitement prior to their internships, but they also improved their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about psychiatric patients. In the realm of positive experiences, they witnessed their clientsʼ changes and were able to gain help from supervisors, unit staff, and peers. Their difficult experiences were related to lack of skills, countertransference, conflicts with staff, and confusion about their roles in the unit. It is hoped that this qualitative research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how music therapy interns need to be prepared before their internships and how they establish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during their internship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may assist intern supervisors to understand their internsʼ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in a psychiatric department.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교육 항목으로서의 담화표지 '말이다'에 대한 고찰

        서희정 이중언어학회 2010 이중언어학 Vol.43 No.-

        Seo Huijeong. 2010. 6. 30. A Study on the Discourse Marker ‘Malid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ilingual Research 43, 217-246. This paper aims to set up the morphosyntactic features, the semantic function, the discourse situations and the pragmatic information of the discourse marker ‘malid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ven though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sensitively react to speaker’s attitude, discourse markers revealing speaker’s attitude have been treated too lightly so f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the discourse marker ‘malida’ has been presented as grammar item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malida’ should be clearly mentioned as one of discourse markers, and systematically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morphosyntactic features, the semantic function, the discourse situations and the pragmatic information of ‘malida’ are presented like below, based on 548 sentences including ‘malida’ extracted from drama scripts which show Korean colloquial style. First, ‘malida’ follows all kinds of grammatical elements, and constructs declarative, interrogative and exclamatory sentences. Also, ‘maliya’ is common form in casual speech. Second, ‘malida’attracts the listener’s attention in mainly rebuking, complaining, turning the theme, confirming situation. Third, ‘malida’ is mostly used in a group of similar age and close relation as well as a private conversation. (Kyunghee University)

      • 중국 두 차례의 美學熱과 그 영향(1949-2002)

        서희정 인문예술학회 2015 인문과 예술 Vol.- No.2

        The Ultimate aim of this paper is to indicate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crisis that Chinese aesthetics is currently facing by using the critical appraisal method on the particular development process of the "Aesthetics Popularity(美學熱)", that arose two times between 1949 and 2002 for about half of a century in mainland China, and the current impacts of it over the aesthetic field. In China, there were three main channels from they had received a study of aesthetics: Japan, some western Europe countries and the former Soviet Union. These different sources enabled them to deal with a very advanced study of aesthetics with various perspectives. The uniqueness of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the first "Aesthetics Popularity" movement which happened between the 50’s and 60’s, and the second "Aesthetics Popularity" movement, which occurred in the 80’s, can be recognized from the three aspects: first, their emergence and the posterior spread as a social phenomenon. Second, their propagation in China was rapid unlike their propagation in other East Asia countries at that time. Third, they were exploited for political purposes. However it can’t be denied that the rapid spread of both popularity movements under a political control had some negative effects such as the loss of its academic purity that consequently caused severe impacts for instance the deviation from the academic field where aesthetics had originally been studied or the loss of its academic purpose. Even though the "Aesthetics Popularity" period has come to an end, still the study of aesthetics remains in the state of following or circling around the achievements of previous studies without developing novel theories that may be better than the "Aesthetics Popularity" developed theories in discussion. Hence, in this paper, a critical review on the progress of the "Aesthetic Popularity" process had been attempted, furthermore, a deep analysis and a partial statistical analysis had been perform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ensuing academic situation of the "Aesthetic Popularit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to re-evaluate the academic achievement which earlier Chinese aestheticians had built up before the "Aesthetic Popularity" period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early aestheticians held profound discussions on philosophically leading issues, on how to embrace this new knowledge and how to integrate it with their own knowledge system. Finally few methods that might be helpful to overcome those barriers that the current Chinese aesthetics is facing were presented. 본 논문은 1949년에서 2002년에 이르는 근 반세기의 시간동안 중국 대륙에서 전개되었던 두 차례의 미학열(美學熱)의 전개과정과 그것이 현재의 중국 미학계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봄으로써 현재 중국 미학계가 봉착한 위기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진단해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에서의 미학은 서양, 일본, 구소련의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수용되었는데, 이는 그들이 미학이라는 학문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이 되는 50년대와 60년대 이루어졌던 제1차 미학열과 80년대 재차 이어졌던 제2차 미학열 현상은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대두되어 진행되었다는 점, 여느 국가들과는 달리 강력한 전파력을 지니고 빠르게 진행되었다는 점 그리고 사회, 정치적 목적으로 활용되었다는 점 등에서 그 특수성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사회, 정치적인 통제 안에서 급속하게 발전되어 온 중국의 미학이 그 학문적 순수성을 잃어버리고 결과적으로는 원래의 미학이라는 학문이 연구되어오던 연구 범위에서 벗어나거나 그 학술적 지표를 잃어버리는 등의 폐단을 낳았다는 점 또한 부정할 수 없다. 미학열이 종결된 당대 중국 미학계가 더 이상의 미학열 시기의 이론을 능가하는 참신한 이론을 생산해내지 못 한 채, 이전까지의 연구 성과들을 맴돌며 답습하는 정도에만 머물고 있는 원인 또한 여기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학열의 진행과정과 그 후의 미학계의 행보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관립공업전습소의 용기화교육과 주체성 고찰 - 농상공부소관 <<관립공업전습소일람(官立工業傳習所一覽)>>(1909)의 검토를 통해서 -

        서희정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科學硏究 Vol.45 No.-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no review of The Catalog of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Commerce in 1909 befor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fore, until now, the previous researches have used The Catalog of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published in 1915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s a major material, while also studying about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unde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Commerce in 1907 1910 before being colonized by Japan during Joseon Dynasty and Korean empire period. Thus, the previous research for this modern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could not be considered in terms of modern vocational education and mechanical drawing education, which were intended to be conducted independently before being colonized by Japan. On top of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names of the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and the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s ambiguous, because The Catalog of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has not been found and not used as a historical records. Not only that, but The Catalog of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has been only used as a historical record even for the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during Korean empire period together. There were several mis records about years and photos for the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in 1909, because that data came from The Catalog of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1915), not The Catalog of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1909). This study reconsidered the arrangement of facilities and historical records of buildings related to The Catalog of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Commerce in 1909. In addition, it seems to have been interpreted as an affiliated institution for colonial management from the standpoint of colonial exploitation, even though focusing on the information of the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l’(1907 1909). In this study, The Catalog of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Commerce in 1909 and The Catalog of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published in 1915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ere mainly compared and reviewed. As a result,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e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which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Gabo Reform in 1894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commerce and industry school management system in 1899, while having the vision for the modern industrial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mechanical drawing education’ which was for the mechanical and industrial production was the big part of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curriculum. It showed that Kojong empire in Korean empire period had the big interested in modern industiral production, but that the part of ‘mechanical drawing education’ was dramatically decreasing in the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fter being colonized and organizing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t means that the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had another goals for the colonial management by Japan. This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curriculum of the ‘National Industrial Training Center’ is intended to suggest that the period of independent efforts for modernization such as the Gabo Reform of Joseon during the opening of ports and the Gwangmu Reform of the Korean Empire. It should be compared and reviewed with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p... 본 연구는 지금까지 공업전습소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한일합방 이전 1909년에 발행된 농상공부소관의 관립공업전습소일람 이라는 문헌에 대한 검토가 부재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한일합방 이후 조선총독부 산하에서 1915년에 발행된 조선총독부공업전습소일람 을 주요 문헌으로 삼아 한일합방 이전의 농상공부소관의 관립공업전습소의 운영체계까지 아울러 연구, 검토되게 되었고 고종 시대의 상공학교 관제를 토대로 주체적으로 실시하고자 했던 실업교육과 용기화교육의 차원에서 관립공업전습소가 고찰되지 못하였다. ‘관립공업전습소’와 ‘조선총독부공업전습소’의 명칭에 대한 구별도 모호한 채로 관립공업전습소 설립에 관한 기록 또한 조선총독부공업전습소일람 에 게재된 시설도면과 사진으로 불분명하게 정리되어 있었다. 이것은 농상공부소관의 관립공업전습소의 활동사항과 일람에 대한 정보가 없었기 때문에 갑오개혁과 1899년의 상공학교의 관제의 개편으로 설립된 대한제국기의 관립공업전습소에 대해 1910년 한일합방이후에 발간된 ‘조선총독부공업전습소’의 정보를 중심으로 식민지수탈론적 입장에서 식민지경영을 위한 부속기관과 같이 해석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1909년에 발행된 농상공부소관의 관립공업전습소일람 과 조선총독부소속에서 1915년에 발행된 조선총독부공업전습소일람 을 비교, 검토하여 조선총독부공업전습소의 자료를 중심으로 모호하게 대체된 관립공업전습소의 교육내용과 시설배치에 대한 역사기록에 대해서 재고했다. 또한 광무개혁의 연장에서 기계생산에 의한 근대적이 산업화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고종의 용기화교육의 비중이 한일합방이전 관립공업전습소의 교육과정에 상당부분 차지하고 있었음을 논증했다. 이와 같은 관립공업전습소의 설립과 교육과정에 대한 본연구를 통해 개항기 조선의 갑오개혁, 대한제국의 광무개혁 등 근대화를 위한 주체적 노력을 기울인 시기에 대해 주목하고 일제강점기와 구별하여 비교, 검토해야 함을 시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