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부문 전망모형 KREI-KASMO 2018 운용 · 개발 연구

        서홍석,김충현,김문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타연구보고서 Vol.- No.-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는 우리나라 농업부문 거시지표 중장기 전망과 정책분석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농업부문 계량경제학적 부분균형모형인 KREI-ASMO를 전신으로 한 KREI-KASMO를 개발하였으며, 모형의 현실 반영 및 전망능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매년 업데이트 및 보완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베이스 갱신, 전망치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통한 품목별 수급모형 수정 및 보완, 대외현황 또는 국내 농업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나리오 분석을 목적으로 한 모듈 개발 등을 통해 모형의 견고성과 완성도를 증진시키는 데 있다. 2018년 연구에서는 첫째, 거시경제변수 및 품목별 수급자료를 업데이트 하였으며, 자료 업데이트에 따른 개별방정식을 재조정하였다. 둘째,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농가구입가격지수 등 기준연도가 올해부터 2015년으로 개편되어 거시경제 지표 및 품목별 경영비 행태방정식을 재추정하였다. 셋째, 2018년 9월에 통계청에서 발표한 사과, 배를 제외한 모든 과일 품목에 대한 생산량 보정치를 반영하여 행태방정식을 재추정하였으며, 과일 생산량 자료 변동에 따른 최근 3년의 오차를 검토하여 오차가 20%를 넘는 행태방정식을 개선 · 보완하였다. 넷째, 향후 KREI-KASMO 수급자료 업데이트를 사전에 대비하고자 채소, 과일 품목별 가격자료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 품목별 담당자들과 검토하였다. 다섯째, 총량산출 모듈 일부를 개선 · 보완하였다. 본 보고서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및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고, 농업부문 총량모형의 선행연구를 정리하였다. 2장은 KREI-KASMO의 기본 가정, 대상 품목, 모형 구조를 소개하고 2018년 모형 운용 및 활용실적을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KREI-KASMO의 이해를 돕기 위해 모형구축의 이론적 원리와 운용방식을 요약하였다. 4장에서는 2018년도 KREI-KASMO 2018의 개선사항을 정리하였다. 5장에서는 향후 KREI-KASMO의 중장기적 보완사항 및 과제를 제시하였고, 부록에는 KREI-KASMO 2018의 구조 및 변수 설명을 수록하였다.

      • KCI등재

        사상체질에 따른 스마트밴드 소재 및 표면처리 선호 경향

        서홍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1

        Each person’s constitution is different, and the preferred product material and finishing condition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roducts with a lot of body contact, such as wearable devices, the material and surface treatment are emotional factors that convey the quality and feeling of the product through the person’s sight and touch, and it can be seen that it has a deep connection with the constitution. In this study, smart bands that are recently worn by many people as wearable devices were selected, and 68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ho are the generation who are sensitive to trends and pursue individuality, were classified by constitution according to ideological medicine, and the same type of smart band was selected. A survey was conducted by giving the band strap a change in material and surface treatment. As the method of this study, 5 types of materials distinguished according to raw materials and 18 types of samples with changes in surface treatment for each material were produced through expert review to select experimental stimulants, and smart band materials were provided to the subjects. Subjective sensory and preference evaluation for surface treatment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preferred materials and surface treatment tendenc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constitution of the respondent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actile adjectives felt from the same material. Taeyangin has a hard-gloss surface texture of metal material and UV coating, Taeeumin has a hard-smooth surface texture of metal corrosion material and SF coating, Soyangin has a soft-natural surface texture of silicon material and leather, and Soeumin has a soft-natural surface texture. Glossy-Natural surface texture of chrome plated material and fabric material was preferred. For the same material, Taeeumin and Soyangin showed higher sensitivity to surface texture than Taeeumin and Soyangin.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used as quantitative data that can implement more effective customized design if material and finishing ar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product. It is expected that a personalized material recommendation service will be possible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duct based on these data. 본 연구에서는 사람마다 체질이 다르고, 체질적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제품 소재 및 표면처리 조건이다르다는 것을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신체 접촉이 많은 제품의 경우, 소재 및표면처리는 사람의 시각과 촉각을 통해 제품에 대한품질과 느낌을 전달하는 감성 요소로서 사람의 체질과 깊은 연관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사람들이 많이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밴드를 선정해서, 유행에 민감하고 개성을 추구하는 세대인 20대 대학생 68명을 대상으로사상의학에 따라 체질별로 분류하고, 동일한 형태의스마트밴드 스트랩에 소재 및 표면처리 변화를 주어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실험 자극물을선정하기 위한 전문가 리뷰를 통해 원자재에 따라 구별되는 5가지 종류의 소재와 각 소재별 표면처리에변화를 준 18가지 종류의 샘플을 제작하였고, 피실험자에게 스마트밴드 소재와 표면처리에 대한 주관적인감각 및 선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응답자의 체질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소재 및 표면처리경향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동일 소재에서 느껴지는감성어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양인은 메탈 소재와 UV코팅의 Cool-Glossy한 표면질감을, 태음인은 메탈부식 소재와 SF코팅의 Warm- Soft한 표면질감을, 소양인은 실리콘 소재와 가죽의Hard-Smooth한 표면질감을, 소음인은 크롬도금 소재와 패브릭 소재의 Glossy-Natural한 표면질감을 선호하였다. 동일한 소재에 대해 소음인, 소양인, 태양인, 태음인 순으로 표면질감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스마트밴드는 일반 시계나 스마트워치와는 달리, 금속 소재보다는 가죽 및 실리콘소재를 활용한 피부 친화적인 표면질감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감성제품 개발에 있어서 체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소재 및표면처리를 적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개인맞춤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정량적인 데이터로 활용될 수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오디오 사용 환경 변화에 따른 무선오디오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서홍석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2

        Recently, audio market will have to make wireless connections between devices and by streaming for listening to music through the shift in the context of the outdoor life with style space expands and as the trend of growing demand for wireless audio that can enjoy the music without restri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portable wireless audio design user needs in the development by classification for each group of the new line-up, has to set up a line-up by the design concepts developing. In the current wireless audio of the market, consumers going through the lifestyle analysis through the use of differentiated by segmenting the line-up of each design concept. It conducted a study in the hope of discovering the following ways. The first is with current audio caused by expansion and market trends and technological change over the wireless market, an outdoor market of audio products by looking about the changes analyze the change in the audio market trends. The second is the major wireless audio brand line-up through the analysi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line-up and analyzed, and outdoor audio product trend analysis. Third is the wireless audio needs analysis by conducting a survey by the users, or by breaking on frequency of use through the line-up. Finally, segmented group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the line-up that match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sign concepts by appropriate to the wireless audio design developed. The first design direction was accessible and simple design that can be harmonized with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by applying the unique design and the prototype considering that you can implement high-quality sound. The second design direction was designed with an emphasis on durability and appearance material in the form emphasizing the outdoor properties. The third design direction was emphasized portability in a compact size, visual design was developed around a color that can be preferred. 최근 오디오 시장은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연결하여 스트리밍을 통해 음악을 감상하는 사용 환경의 변화와 함께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트렌드가 확대되면서 공간의 제약 없이 음악을 즐길 수 있는 무선오디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즉 오디오를 사용하는 행태의 변화와 아웃도어 시장 확대라는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반영하여 실내뿐만 아니라 아웃도어 환경을 고려한 라이프스타일 오디오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오디오 디자인 개발에 있어 사용자 니즈를 그룹별로 유형화하여 라인업을 구성하고, 라인업별 디자인 콘셉트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에 현재 무선오디오의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해 사용 용도별로 라인업을 세분화하여 차별화된 디자인 콘셉트를 발굴하고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현재 오디오시장을 둘러싼 기술변화와 시장동향을 살펴보고, 아웃도어 시장 확대에 따른 오디오제품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오디오시장의 변화 흐름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는 주요 무선오디오 브랜드의 라인업 및 디자인분석을 통해 라인업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아웃도어 오디오제품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는 무선오디오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용자 니즈 분석을 통해 사용 용도별로 라인업을 세분화하였다. 끝으로 세분화된 그룹의 특성을 분석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는 디자인 콘셉트를 도출하여 세분화된 라인업 특성에 맞는 무선오디오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 번째 디자인 방향은 고음질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는 용적을 고려한 박스형 디자인과 원형의 손잡이 부분을 유니크하게 적용하여 실내·외 환경과 조화될 수 있는 심플한 디자인으로 접근하였다. 두 번째 디자인 방향은 아웃도어적 특성을 강조한 형태로 내구성과 외관 소재에 중점을 두고 디자인하였다. 세 번째 디자인 방향은 소형 사이즈로 휴대성을 강조하였으며, 시각적으로 여성층이 선호할 수 있는 색상을 중심으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