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텍스트의 표점標點과 현토懸吐에 관한 비교 분석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을 중심으로

        서현경 한국국학진흥원 2023 국학연구 Vol.- No.50

        In order to organize and translate classical texts, it is very necessary to understand ‘Chinese punctuation marks’ and ‘Korean punctuation marks’ when training next-generation experts in Korea.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understand and utilize Chinese punctuation marks and Korean punctuation marks when providing Korean classical text to overseas. The advantage of Chinese punctuation marks lies in standardization and unification. Where the difference in Chinese punctuation marks of <Daxue,大學> & <Zhongyong,中庸> occurs, a classical text organization policy should be presented clearly to resolve the confusion. The advantage of Korean punctuation marks lies in specificity and convenience. Comparing Korean punctuation marks of <Daxue,大學> & <Zhongyong,中庸> in the government-produced books and the Yulgok’s books, it can be seen that as Korean punctuation marks of the government- produced books evolve into marks of the Yulgok’s books. The Yulgok’s books are reinforcing simplicity and simplicity. With reference to these good exampl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Korean punctuation marks based on medieval korean languages and reorganize it into Korean punctuation marks based on modern korean languages. Next-generation experts should learn the advantages of Chinese punctuation marks and Korean punctuation marks well. So when we organize classical texts, we have to produce efficient performance.

      • KCI등재

        연민선생과 『열하일기』번역

        서현경 열상고전연구회 2007 열상고전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연민 이가원 선생을 기리는 글이다. 본 연구는 연민 선생의 국역열하일기의 특징과 가치를 살펴본 후, 새로운 열하일기 번역을 위해 검토할 점들을 다루었다. 우선, 연민 선생이 번역한 국역열하일기의 특징과 가치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국역열하일기는 풍부한 이본 비교를 거친 최초의 전문적인 완역이다. 둘째, 국역열하일기는 새로운 목차를 제시한 특징이 있다. 셋째, 국역열하일기는 교합본 원본텍스트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다음은 새로운 열하일기 번역을 위한 검토점이다. 첫째, 기본적으로 국역열하일기의 텍스트 비교 성과를 계승하되, 좀 더 강도있는 텍스트 비교가 필요하다. 둘째, 과거보다 발전된 공구서를 이용하여 주석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어려운 말이 주석 없이 본문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해될 수 있도록 상세한 번역을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오역에 대해서는 번역의 수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번역자의 관점에 따라 번역문이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을 점검하여 객관적으로 번역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확률 통계 지도를 위한 Excel 의 활용방안

        서현경,강순자,임해경 한국수학교육학회 1999 수학교육논문집 Vol.9 No.-

        본 논문에서는 스프레드쉬트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Excel을 이용하여 만든 여러 가지 모의실험이 확률 통계학습에 어떻게 활용되는 지를 제시함으로써 개념의 지도 및 문제풀이 능력 향상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즉 이는 단순한 이론적 수치계산이 아닌 구체적 경험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확률적 상황에 내재된 확률적 정보의 의미를 파악하게 함으로써 확률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 확률 통계단원에 대한 흥미를 유발케 하고자 한다.

      • 탄소섬유 적층혼성부재의 계면수 변화에 따른 축 압궤 특성

        서현경,박준우,양용준,황우채,양인영 朝鮮大學校 機械技術硏究所 2007 機械技術硏究 Vol.10 No.1

        알루미늄과 CFRP는 대표적인 경량화 재료이다. 알루미늄 부재는 안정적인 소성 변형에 의해 에너지를 흡수하며, CFRP 부재는 비강성과 비강도가 우수하고 불안정한 취성파괴로 인해 에너지를 흡수한다. 이러한 각각 알루미늄과 CFRP 부재의 압궤 특성을 기초로 두 재 료의 결합에 의해 서로의 장점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해 혼성구조부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부재의 외측을 CFRP로 강화시킨 혼성구조부채를 제작하여 CFRP의 계면수 변화에 따른 축 방향 준정적 압궤실험을 행하여 사각 및 원형 단변 모형의 혼성구조부재의 압궤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혼성구조부재는 내부의 알루미늄 부재의 연성 성질 때문에 CFRP 부재의 불안정한 취성 파괴를 보완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압궤 모드를 보였다. 하지만 혼성구조부재는 계면수 변화에 대해 에너지 흡수성과 압궤 모드는 별다른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The aluminum or CFRP is representative of light-weight materials. The aluminum tubes absorb energy by stable plastic deformation and the CFRP tubes absorbs energy by unstable brittle failure with higher specific strength and stiffness. Based on the respective collapse characteristics of aluminum and CFRP tubes, the aluminum CFRP compound tubes were manufactured to get a synergy effect when the aluminum CFRP tubes were combined with the advantages of each tube.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ollapse characteristics of square or circular shaped aluminum CFRP compound tubes subjected to quasi-static axial collapse tests which were conducted by changing the stacking conditions.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ollapse of the aluminum CFRP compound tubes complemented unstable brittle failure of the CFRP tube due to the ductile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aluminum tube. It turned out that interlaminar numbers of aluminum CFRP compound tubes have no influence on the energy absorption and collapse modes of the tubes.

      • KCI등재

        「過庭錄」 異本 序文의 相異性에 관한 연구-전남대본「熱河日記」의 改作 및 朴宗采와 관련하여

        서현경 열상고전연구회 2006 열상고전연구 Vol.23 No.-

        연암 박지원에 관한 중요한 개인정보를 담은 자료인 「과정록」은 현재 박공서본, 서울대본, 열상본 등 세 개의 이본이 전한다. 그런데 박공서본에는 序文이 없고, 序文이 있는 서울대본과 열상본의 경우에는 그 서문에 적힌 제작연대 기록이 전혀 다르다. 이 연구는 「과정록」 서문 기록의 상이성에서 출발한다. 박종채가 최초로 마련한 초고본인 박공서본 「과정록」을 다듬은, 서울대본 「과정록」에는 서문에 ‘1822(壬午)년’부터 ‘1826(丙戌)년’까지 5년 동안 다듬었다고 기록하였는데, 열상본 「과정록」은 이 서울대본을 다시 고쳐 최종본으로 완성하여 놓고는 ‘1813(癸酉)년’부터 ‘1816(丙子)년’까지 만들었다고 기록하였다. 그런데 열상본의 자서는 ‘後序’가 아니라 분명히 ‘序’이다. 즉, 열상본의 자서가 ‘후서’라면 열상본을 마련하면서 누군가 서울대본의 ‘서’를 존중한다는 전제 하에 자신의 서문을 나중에 덧붙인 상황이겠지만, 내용상 ‘自序’이면서 형태상 ‘後序’가 아니기에, 열상본의 서문은 서울대본의 자서를 폐기하고 새롭게 쓴 序이다. 한편, 열상본에서 적힌 제작연도는 바로 초고본인 박공서본을 만든 시기를 소급해서 기록한 것이다. 그리고 특히 열상본에는 1831년의 추기가 있어 열상본의 서술의 마지막 시점도 알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과정록」은 朴宗采(1780~1835)의 작품이다. 본 연구는 우선 박종채가 朴宗侃의 改名인 근거를 남김없이 확인했다. 그리고 박종간의 호가 濁硏齋임을 밝혔고, 정작 박종간이 이름을 박종채로 개명한 것은 연암 사후의 일임도 밝혔다. 이러한 사실은 탁연재라는 서명을 사용한 자료와 박지원이 서거한 이후에도 종간이라는 이름으로 서명한 자료 등을 통해 입증했다. 그런데 「과정록」의 제작시기와 작가인 박종채에 관한 정밀한 논의는 「과정록」 자체에 관한 이해를 깊게 하는 것은 물론, 연암의 작품들이 개작된 과정을 밝히는 작업에까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를테면 「과정록」의 제작시기에 대한 변증은 전남대본 「열하일기」의 개작시기를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과정록」의 작가에 대한 연구는 전남대본의 개작자를 추적하는 데 많은 암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열하일기」 定本의 성립시기가 적어도 1826년 이후로 내려오지 않는데, 전남대본 「열하일기」는 定本보다 선행하는 것이 분명하기에, 전남대본 「열하일기」의 개작 완료는 개작자가 남겨둔 ‘병자년’ 기록에 의거할 때 1816년 경이 분명하다. 한편, 1816년은 「과정록」의 초고본인 박공서본이 제작된 시기이기도 하다. KWA-JUNG-ROK過庭錄 is the recordings on the process of life of PARK, Ji-Won朴趾源. The Variants of KWA-JUNG-ROK過庭錄 are PARK, Kong-Seo manuscript朴公緖本, SEOUL Nat'l Univ. manuscript서울대본, and YOL-SANG manuscript洌上本. PARK, Kong-Seo manuscript朴公緖本 has no preface. and SEOUL Nat'l Univ. manuscript서울대본 and YOL-SANG manuscript洌上本 have preface. but the writing duration of KWA-JUNG-ROK過庭錄 is differently recorded in each preface. This study starts with the different characteristic of Variant's Preface. PARK, Jong-CHAE朴宗采 is the author of KWA-JUNG-ROK過庭錄. In this study I discussed the followings. 1. Examining the grounds that PARK, Jong-CHAE朴宗采 must be the changed name of PARK, Jong-Kan朴宗侃 2. Discovering that THAK-YON-JAE濁硏齋 is the pseudonym of PARK, Jong-Kan朴宗侃 3. Revealing that PARK, Jong-Kan朴宗侃 had changed his original name to PARK, Jong-CHAE朴宗采 after the death of his father PARK, Ji-Won朴趾源. This discussion can draw a deduction that the Revision period of YOL-HA-IL-KI熱河日記 of CHUN-NAM Univ. manuscript全南大本 and PARK, Jong-CHAE朴宗采 must be its reviser. It is the meaning of this study.

      • KCI등재

        실감콘텐츠 제작을 위한 1인칭 스토리텔링 교육방안 연구

        서현경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11

        In this paper, we propose to present a storytelling education plan for the development of realistic content. The need is emerging in the content industry for realistic content along with technological convergence as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This phenomenon is being accelerated by COVID-19. In 2019, the government set up strategies to secure future growth engines, announced "three major innovation strategies" in the content industry, and emphasized "fostering leading realistic content." Realistic content is a content that users can experience directly. It is first-person storytelling that should be dealt with as important a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he production of realistic content.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storytelling classes conducted at the actual educational site are analyzed, and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person perspective commonly used in traditional literary works is described. Through this, we present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used to develop realistic content. 본 논문은 실감 콘텐츠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교육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미디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술적 융합과 함께 실감 콘텐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COVID-19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저변 환경 속에서 2019년 정부는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콘텐츠산업 3대 혁신 전략”을 발표하면서, ‘선도형 실감 콘텐츠 육성’을 강조했다. 실감 콘텐츠는 사용자의 직접 체험이 가능한 콘텐츠 영역이다. 실감 콘텐츠 제작에서 기술의 발전과함께 중요하게 다뤄져야 하는 것이 1인칭 스토리텔링이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진 스토리텔링수업의 결과를 분석하고, 기존의 문학적 글쓰기에서 통용되는 1인칭 시점과의 변별점을 찾아내, 1인칭 스토리텔링이 실감 콘텐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안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표출된 죄의식의 서사적 양태로 소설 속에 나타난 치매 모티프 연구-이승우 『검은 나무』를 중심으로-

        서현경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Study on the Motif of Dementia in Novels asa Narrative Mode of Expressed Guilt-Focused on Black Tree by Seungwoo Lee-Hyunkyung Seo Abstract: In this paper, the narrative aspect of the dementia motifs in the work was examined through the guilt in the unconscious of the person revealed due to dementia. In Seungwoo Lee’s novel, the characters’ choices to get what they want are the basis of guilt. Pathological analysis followed the cause of dementia, and psychoanalytic analysis was used to explain the background of dementia. Pathological imagination has long been a major motif in novels. Through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dementia in the work is not consumed as a material, but is contributing to the narrative of the work. The novel reinterpreted dementia as a ‘disease as a metaphor’. Key Words: Dementia Motif, Demnatio Memoirae, Oblivion, Pathological Imagination, Narrative Style 표출된 죄의식의 서사적 양태로 소설 속에 나타난 치매 모티프 연구-이승우 『검은 나무』를 중심으로-서 현 경** 연구 목적: 본 논문에서는 치매로 인해 드러난 인물의 무의식과, 무의식에 자리한 죄의식을 통해 작품 속 치매 모티프의 서사적 양태를 고찰했다. 연구 방법: 이승우 소설 속 인물이 욕망하는 것을 얻기 위해 행하는 선택은 죄의식이 발생하는 근거로 작용한다. 병리학적 분석을 통해 치매 발병의 원인을 추적하고, 정신분석학적으로 치매 발생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구 내용: 소설에서 병리학적 상상력이 주요 모티프로 사용된 지는 오래이다. 연구를 통해 작품 속 치매는 소재의 차원에서 소비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의 서사를 이끄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결론 및 제언: 이승우가 치매를 통해 드러낸 인물의 무의식에는 ‘욕망’과 ‘죄의식’이 자리하고 있다. 이승우의 작품 속 치매는 ‘은유로서의 질병’으로 재해석되는 것이다. 핵심어: 치매모티프, 기억처벌, 망각, 병리학적상상력, 서사스타일 □ 접수일: 2022년 10월 13일, 수정일: 2022년 10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8일* 이 논문은 저자의 2017년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음. **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교수(Professor, ChungKang College of Cultural Industries, Email: seohk@ck.ac.kr)

      • KCI등재

        『열하일기』의 서술양상에 관한 일 고찰 : 박영철본 『열하일기』의 「도강록」을 중심으로

        서현경 洌上古典硏究會 2002 열상고전연구 Vol.16 No.-

        This is study of the YOL-HA IL-KI written by PARK,Ji-Won 朴趾源(1737-1805), the greatest prose writer in the later period of Chosen 朝鮮 Dynasty. I am sure that a fundamental problem that a prose is confronted with is the conflict with the boredom that a long prose often evokes. so I think that a prose be organised all the better than a poetry. Based on this premise I analysed the DOGANG-ROK in the YOL-HA-IL-KI, concentration on its writing techniques In this study I discussed the following techniques of YOL-HA-IL-KI 1. a technique of highlighting the issues 2. a technique of evoking the interests 3. a technique of balancing the contrary elements 4. a technique of concentrating scattered elements 5. a technique of setting the scene Its description aspect based on the above techniques reflexes PARK'Ji-Won's intention with which he makes an normal prose vivid and interesting. and I have found out 'companion effect' in its aspect. Companion effect means a technjcal effect that makes readers feel that they experience a journey together. PARK'Ji-Woo as a leader of the Buk-Hak school 北學派 that insist upon accepting a good civilization of Qing 淸 Danasty though Qing Danasty was the enemy conuntry shows the contemproaries the differences between true pictures of Qing Danasty in the 18th century and ghost images of it in the contemporary thoughts of Chosen intelletuals. I come to the conclusion that YOL-HA IL-KI is well-organised prose so that it shows the remarkable achievement of literary chinese prose in the 18th century of Chose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