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수길 장편소설 <북향보> 연구

        서재길 ( Jae Kil Se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6

        본 논문에서는 안수길의 장편소설 <북향보>의 서지사항을 검토하고 텍스트를 새롭게 소개하는 한편으로 이 작품에 나타난 북향촌에의 이상 추구와 그 이념적 좌표로서의 북향 정신이 당대의 맥락 속에서 지니는 의미에 대해 시론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신문연재본 <북향보>가 현재 완본으로 존재하며 저자에 의해 일부 수정, 삭제된 부분을 제외하고 는 개작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밝혀졌다. 아울러 삭제된 부분을 복원하는 한편으로 그 내용이 만주국 국책에 협력하거나 전시 체제하 지원병 및 징병 장려와 관련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그렇지만 극히 일부분을 제외하면 이 소설은 북향촌이라는 이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겪게되는 위기와 그 해결의 과정이 중심이 되고 있다. <북향보>에서 보다 본질 적인 부분은 북향촌 건설의 지도 이념으로서의 ``북향 정신``과 ``도혼稻魂``이 라는 이데올로기가 지닌 양가성과 중층성이다. <북향보>에서 나타난 ``북향정신``이란 외견상으로는 만주국 국책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만주국 체제를 위협하는 것으로서 간주될 여지가 있었다는 점에서 양가적이고, ``도혼``이란 조선 민족주의를 상기시 키면서도 사회진화론적 맥락에서 조선인이 ``일본 국민``으로서 만주에 ``진출``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제국주의의 이데올로기로서 작동할 여지를 지니 고 있었기에 중층적이었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theme of Pukhyangbo 北鄕譜 (The Song for the Northern Hometown) and its ideological position, by introducing the original source text of this novel. It became clear that the whole text of Pukhyangbo exists as clippings which have been preserved by his family. There are a few modifications in these clippings. Some parts were blacked out by the author, most of which were dealing with the necessity of Koreans` collaboration with the Manchukuo and wartime mobilization. But the core narrative of this novel is about overcoming the crisis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 ideal of a northern hometown.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multi-layered features and ambivalence of both ``the spirit of a northern hometown`` 北鄕情神 and ``the soul of rice farming`` 稻魂, which were suggested by the heroes of this novel as guiding ideas in making an ideal town for Koreans in Manchukuo. ``The spirit of a northern hometown`` seems to be ambivalent, because it was considered not only as a collaborative ideology for Manchukuo but also as a rebellious thought by the colonial authority. ``The soul of rice farming`` is also multi-layered, in that it seemed to serve as an imperialist ideology for Koreans`` expansion to Manchukuo as a Japanese imperial subject, while it also reminded Korean nationalis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류 드라마에서 K-연극으로 : 한국 근현대연극의 일본 소개 현황을 중심으로

        서재길 ( Jae-kil Seo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일본공간 Vol.29 No.-

        본 논문에서는 20년에 걸친 일한연극교류센터의 한국 연극 번역 소개, 연극 <격정만리>의 일본 낭독공연, 『한국연극운동사』의 일본어 번역 출간 등을 통해 한국 연극의 일본 소개 현황을 살피고 여기에 드러나는 몇 가지 이슈를 살펴보려 한다. 2020-2021년은 한국 연극의 일본 소개가 한 획을 긋는 해였는데, 여기에는 2002년경부터 한국의 한일연극교류협의회와 일본의 일한연극교류센터가 20년 동안 지속해 온 양국의 현대희곡 번역 및 낭독공연이라고 하는 오랜 역사가 자리하고 있다. 특히 2021년 1월에 10번째를 맞이한 한국 현대희곡 낭독공연 작품으로 <격정만리>가 선정되었는데, 이 작품 속의 다양한 한국적 소재와 역사적 사건은 일본 공연 과정에서 해설자나 자막을 통해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공되었다. 한편 『한국연극운동사』(2020)의 일본어 번역 및 출판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들은 한국문학의 세계화라는 관점에서 유의해야 할 지점들을 보여준다. 20세기 한국학의 반일 내셔널리즘적 시선에서 쓰인 이 책은 21세기 이후 탈민족주의적·탈식민주의적 연구 성과가 충분히 반영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한일 연극 교류 20년의 역사와 한국 현대희곡의 일본 소개 및 낭독공연, 그리고 『한국연극운동사』의 일본 번역은 역사적 문제로 야기된 한일 간의 갈등을 치유할 수 있는 문화적 기제로 기능하고 있다. 작품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면서 문화적·예술적 교류를 계속해 나가는 과정에서 인간적인 신뢰를 쌓게 되고, 그것이 궁극적으로는 더 큰 역사적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several issue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Korean plays to Japan through three cultural events. For twenty years, fifty plays by fifty Korean playwrights have been translated into Japanese through the exchange program. The writers represented are diverse in their age and gender, and the translated works represent a wide range of genres from realism to avant-garde. The exchange program selected and performed Kyeokjeong-Manri for the season-ending show of its tenth event in January 2021. In the Japanese performance, various Korean repertories and historical events were explained using both diegetic and non-diegetic elements. The non-diegetic elements include the narrator’s explanations and the projection of subtitles on the back screen. In 2020, a transl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Play Movements, was published, but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the translation that rela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As the original was written with a nationalistic point of view characteristic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publication could not reflect recent transnational and postcolonial research that has emerged in the new millennium.

      • KCI등재

        <창극 서편제>와 창극의 새로운 가능성

        서재길 ( Jae Kil Se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8

        본 논문은 국립창극단의 창극 <서편제>(2013)가 흥행 면에서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창극으로서의 뛰어난 예술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 작품의 미학적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창극 <서편제>는 이청준의 원작소설을 각색한 영화 <서편체>의 서사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창극의 특성을 살리기 위한 위한 각색과 연출이 잘 드러나 있다. 즉 사계절을 표현한 무대장치와 전통악기 및 서양악기가 조화를 이룬 음악은 공연예술로서의 미학을 잘 드러내었고, 이질적인 시공간을 한 무대 위에서 동시에 재현하는 방법을 통해서 주인공의 내면이나 무의식을 드러냄으로써 무대예술이 구현할 수 있는 양식적 가능성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창극 <서편제>는 새로운 사설을 작창하는 대신, 일반 대중들에게 친숙한 판소리의 주요 레퍼토리를 극의 흐름 및 서사 전개와 긴밀하게 배치하는 한편으로, 판소리 고유의 서사적 특징인 긴장과 이완의 구조 및 부분의 독자성을 살리는 방식으로 다양한 소리를 극중에 삽입하여 ``소리의 버라이어티``를 보여주었다. 다른 창극과 달리 <서편제>라는 작품 자체가 소리꾼의 이야기를 담고 있었기 때문에 이 같은 공연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창극 <서편제>는 특히 주제를 구현함에 있어서 판소리 <심청가>를 상호텍스트적으로 새롭게 해석하고 이를 자신의 서사의 일부로 전유함으로써 원작 소설이나 영화와는 대별되는 독자적인 새로운 세계를 펼쳐보였다. 이 작품에서는 송화의 득음 과정과 아비에 대한 용서 문제를 연결시킴으로써 이 문제에 대한 연극적 해결을 시도하였는데, 그것은 궁극적으로는 송화가 <심청가>를 완성하는 장면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aesthetic features of the Ch`angguk performance style, as featured in the Korean traditional opera Sop`yonje (唱劇西便制). This original opera in the Korean traditional style had two performance runs in Seoul in 2013, one in spring and one in autumn; it was widely acknowledged to be an artistic and box-office success. Maintaining the plot of the 1993 film of the same name, which had been adapted from the stories of Yi Ch`ongjun (李淸俊), the Ch`angguk opera Sop`yonje was adapted and directed skillfully. The stage setting and the music expressed seasonal changes; also, the orchestra included a balance of Korean traditional and Western-style musical instruments. By simultaneously showing two performances from different times and locations on the same stage, the opera effectively expressed the unconsciousness and the inner conflicts of the characters, making Ch`angguk to be the most versatile of the Korean performing arts. The contemporary Ch`angguk opera Sop`yonje showcased a variety of traditional Korean songs that are familiar to contemporary Korean audiences by fitting appropriate songs from the P`ansori genre of musical storytelling to certain dramatic plots and incorporating humorous songs. The opera achieved an artistic completeness different than the original stories or film by reinterpreting the Simch`ong-ga 沈淸歌, one of the most popular P`ansori repertoires, intertextually and appropriating it as a part of the dramatic plot.

      • KCI등재
      • KCI등재

        자료/해제 : 강요된 협력, 분열된 텍스트: 일제 말기 방송소설을 읽는 하나의 독법

        서재길 ( Jae Kil Se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5 No.-

        전시총동원 체제 하에서의 식민권력의 언어정책은 외형상 ``국어 전용``을 표방하였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계급, 젠더, 지역에 따른 위계화와 차이화라는 양상을 드러내고 있었다. 민족국가의 근대어로서의 역할을 일본어에 내어주고 기능적 언어로서 전락한 조선어는 식민권력에 의해 ``언문``이라는 기표로 전유되었다. 한글 신문과 잡지가 강제 폐간되고 한정된 지면에서도 일본어가 점유하는 비중이 점점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조선어에는 ``국어``라는 언어적 문화자본을 보유하지 못한 이들을 위한 최소한의 역할만이 부여되고 있었다. 문학 행위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국어``를 통해서만 가능하게 된 상황에서 조선어에 주어진 것은 구술적 연행에 대한 보조적 기록물로서의 임무였다. 방송잡지 『방송지우』와 여기에 실린 방송 문예물은 바로 이러한 매체 지형과 언어적 불균등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 새롭게 소개하는 방송소설 작품들은 전쟁 말기 식민권력의 국책 협력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여 생산된 국책 협력문학이라는 점에서 공통성을 지니고 있지만 각각의 텍스트가 지닌 의미들은 다층적이면서도 분열적인 양상으로 드러나고 있다. 각각의 텍스트에서는 겉으로 표방되는 협력의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서사적 층위에서는 의미의 공백 혹은 과잉의 지점들이 징후적으로 그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Although the policy of colonial authority on language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seemed to stand for Japanese monolingualism 國語常用, both the hierarchy and the differentiation in terms of the class, gender and locality were evident in the colonial linguistic situation. Having been disqualified as a possible modern national language, and then degraded to a functional language suitable only for information delivery, the Korean language was appropriated as the signifier eonmun 諺文. According to the compelled discontinuance of several Korean language newspapers and journals and the growing use of Japanese language in the print journalism, only a limited role was assigned to the Korean language: as a language for the colonial illiterature, who could not understand kokugo 國語, the imperial language. Under this circumstance, except for some special cases, all literary efforts were possible only with the use of Japanese kokugo. The role of the Korean language became limited to ancillary records for oral reports. The representative literary materials of this condition are the literary texts published in the monthly broadcast journal Bangsongjiwoo 放送之友. "The Dugout 防空壕," a radio short story by Koyama Mitsuro 香山光郞 (Yi Kwangsu 李光洙), describes the conflict surround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a father and his children during an air raid in wartime. The hero, Mr. Kim, portrayed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traditional Korean generation, evolves into an imperial subject in the process of coming to terms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himself and his children. A disabled hero also becomes an imperial subject after being drafted into a war of his own making in "Going to the War Walking Lame 片脚出陣" by Om Heungseop 嚴興燮. In "Keeping on Increasing Output 增産一路" by Yi Kiyoung 李箕永, two young intellects settle in a mountain village after growing sick and tired of urban life, and follow the national policy by increasing output. In "A Cock-pheasant 장끼" by the same author, a desirable female subject is described as keeping the pot boiling in place of her husband, who had been conscripted into the war. Although these newly introduced texts are similar in that they were produced in line with the national policy, each text has its own hermeneutical layer that cannot be interpreted on a singular level, and that exposes blanks or excesses of the meaning, despite being enforced collaborative writings.

      • KCI등재

        ‘제국’의 전파 네트워크와 만주의 라디오 방송

        서재길 ( Seo Jae-kil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7 한국문학연구 Vol.0 No.33

        본 논문에서는 만주에서의 라디오 방송의 출현과 그 발전 과정을 실증적으로 정리하고 식민지 라디오 방송이 지닌 역사적 성격을 문화론적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주로 1930년대 후반 중일 전쟁 전후 시기 만주의 라디오 방송을 대상으로 하여 당시의 라디오 방송이 지닌 중층 인 의미망들을 수용자 연구를 통해서 분석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만주에서의 라디오 방송은 일본의 조차지였던 관동주 관동청과 중국의 동삼성 정부에서 각각 시작되었으나 1931년 ‘만주사변’ 발발 이후 관동군에 의해 통합된다. ‘만주국’ 건국 이후 일본과 만주국이 합작한 ‘만주전전’이 설립됨에 따라 만주지역의 라디오 방송은 만주전전의 관할 하에 놓이게 된다. 1934년의 신경의 대출력 방송국(100kW) 건설과 1936년의 이중방송 개시는 만주의 라디오 발전에 획기적인 계기가 된다. 또한 중일전쟁 발발과 더불어 ‘전파 전쟁’의 도구로서의 라디오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각 지역 방송망이 확장됨에 따라 청취자는 급속도로 증가한다. 그러나 ‘제국’의 전파 네트워크는 일본의 패전을 의미하는 ‘옥음방송’을 끝으로 그 역사적 종말을 고하게 된다. 만주전전의 라디오 방송은 만주라는 복합공간의 특성에 걸맞게 다양한 언어로 된 프로그램이 편성되었고, 각각의 언어 공동체가 라디오 방송에 대응하는 태도 역시 중층적인 양상을 드러냈다. 고향을 떠나 이국땅에서 살고 있던 일본인 청취자들에게는 ‘제국으로서의 일체감’을 확인하게 하였고, 조선인 청취자들에게는 조선어를 매개로 한 ‘상상의 공동체’를 형성하게 하였다. 한편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제2방송의 경우 뉴스와 강연을 중시한 권력의 의도와는 달리 청취자들은 연예오락 프로그램을 선호하였고 라디오는 대중문화를 생산, 유통하는 근대적 대중매체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라디오를 정치군사적 목적에 이용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청취자 확보였던 까닭에 만주전전에서는 보급형 수신기 판매, 공동 청취제, 전기료 할인 등 다양한 방책을 강구하였고 그 결과로 만주의 라디오 청취자는 급격하게 증가한다. 또한 청취자 기호 조사를 통해 중국인 청취자들의 기호를 파악하고 이를 프로그램 편성에 반영하기도 한다. 뉴스 중심의 편성을 지향한 방송 주체와는 달리 만주의 중국인 라디오 청취자들이 즐겨들은 것은 라디오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연예 오락 프로그램이었다는 것이 여러 자료를 통해 확인된다. 결국 만주에서의 라디오 수용 현상 속에서 우리는 효율적인 전시 동원 및 교화의 도구로 라디오를 활용하려 한 권력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서 라디오 대중문화의 발전이라는 결과가 나타나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식민지 공공영역’으로 성립된 만주의 라디오 방송은 식민지인의 문화적 주체성과 자율성을 보장한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전적으로 권력의 의도가 전일적으로 관철되는 공간이었던 것은 아니었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radio broadcasting in the Japanese empire by focusing on the cultural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radio in Manchuria during 1925-1945. Radio broadcasting in Manchuria started both in the Kanto Leased Territories (關東州) and in the Three Eastern Provinces (東三省) and were incorporated by the Kanto Army(關東軍)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滿洲事變).” After the establishment of Manchukuo(滿洲國), radio broadcasting came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anchuria Electric Telegram and Telephone Corporation (MTI), a joint venture between Manchurian and Japanese corporations. The Establishment of Sinkyou(新京) Broadcasting Station with a capacity of 100 kilowatts of power and the beginning of dual language broadcasting (二重放送) further developed radio broadcasting in Manchuria. As broadcasting took on a significant propaganda role in the “Wave War”(電波戰爭)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中日戰爭), broadcasting networks increased and its audience grew rapidly, but these broadcasting networks disappeared with the “Emperor's Broadcasting” (玉昔方燒), which announced the defeat of Japan in World War EL For Japanese migrant communities living in new colonial territories, radio broadcasting provided a sense of belonging to the larger “Japanese Empire,” and for Korean listeners, radio provided a space of an “imagined community” mediated through programming in their mother tongue. Radio also provided a cultural space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mass culture for Chinese listeners who became avid listeners of entertainment programs despite the agendas of militarists who emphasized news and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build the audience for political and military purpose, MTT attempted to accommodate its listeners through special promotions such as communal listening systems, the sale of reduced-price radio sets, and discounted electricity fees. As a result; the numbers of radio listeners in Manchuria increased rapidly, listener surveys were conducted by MIT to assess programming preferences of Chinese listeners, and the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production of new radio programs. Chinese listeners preferred entertainment programs such as radio dramas, contrary to MTT's efforts to promote news-oriented broadcasting stations. A brief inquiry into the phenomenon of radio listener reception in Manchuria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mass culture in radio reflected an “unintended outcome” of the aims of Manchurian authorities who envisioned the political usage of radio in mobilization and education for war. It can be concluded that although radio broadcasting in Manchuria did not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colonial public sphere” which ensured the formation of autonomous cultural subjectivities of colonized subjects, neither were the ruling authorities able to realize fully their political agendas through control of the airwaves of Manchuria as well.

      • KCI등재

        〈금수회의록〉의 번안에 관한 연구

        서재길(Seo Jae kil) 국어국문학회 2011 국어국문학 Vol.- No.15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adaptation in K?msu Hoe?irok 禽獸會議錄(The Animals' Congress), which was written by Ahn Kuks?n 安國善in 1908. Since the 1970s, K?msu Hoe?irok has been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Korean canon of the Enlightenment Period. However, this novel was adapted from Kinj?kaigi Jinruik?geki 禽獸會議人類攻擊(The Animals' Congress Attacking Human Beings), a Japanese Meiji seiji sh?setsu 政治小說(political novel) written by Sat? Kuratar? 佐藤欌太郞 under the pen name Tsuruya Gaishi 鶴谷外史in 1904. K?msu Hoe?irok adopts the same motives of the stories of eight animals from forty-four animals that appear in Kinj?kaigi Jinruik?geki. Second, most expressions in K?msu Hoe?irok are similar to those in Kinj?kaigi Jinruik?geki. For example, the preface of K?msu Hoe?irok is the same as that of Kinj?kaigi Jinruik?geki. K?msu Hoe?irok therefore seems to be a mere translation of Kinj?kaigi Jinruik?geki. However, several differences are evident between the two novels. Many expressions written in Kinj?kaigi Jinruik?geki, specifically those regarding Japan and the Japanese, were removed or skipped over in K?msu Hoe?irok. Difficult expressions written in kanji 漢字 in Kinj?kaigi Jinruik?geki were also paraphrased in hangul in K?msu Hoe?irok. Whereas new scientific discoveries and theories, such the theory of evolution, were omitted from the adaptation, critical comments that satirize political reality and reprimand the people for their moral degeneracy were added.

      • KCI등재

        경찰 기록으로 본 『금수회의록』 텍스트의 생산 과정

        서재길 ( Seo Jae-kil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5 No.-

        본 논문은 『금수회의록』의 집필 과정을 서술한 안국선의 경찰 조사 기록을 바탕으로 이 텍스트의 형성 및 출판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1909년에 압수 및 발매 중지 처분을 받게 되는 『금수회의록』의 집필 의도에 대한 경찰 조사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되는 ‘청취서’(1908)는 안국선이 직접 서술한 자신의 이력과 『금수회의록』을 집필하게 된 과정, 그리고 작품의 창작 의도와 내용에 관한 당국의 취체에 대한 답변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주목되는 것은 첫째 그가 와세다 대학의 전신인 도쿄전문학교에서 수학하였다는 점인데, 이를 통해서 『금수회의록』의 저본인 『금수회의인류공격』의 저자 사토 구라타로와 안국선이 각각 야노 류케이 류의 정치소설과 도쿄전문학교의 정치학을 매개로 하여 오쿠마시게노부로 대표되는 입헌개진당 계열의 자유민권운동의 사상적 흐름과 접속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안국선이 귀국 직후 미결수로 투옥되어 있는 중에 기독교로 개종하였다는 점은 『금수회의록』의 사상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를 제공한다. 최초로 번안설이 제기되었던 저본인 『인류공격금수국회』의 저자 다지마 쇼지가 기독교를 비판하는 입장에 서 있었던 것과 달리, 『금수회의인류공격』의 경우 전통적인 유학에 기반하여 동서양의 사상을 개방적으로 수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번안의 저본이 되었을 가능성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안국선이 사면 직후에 보성관 번역원으로 활동하는 등 적극적인 번역 활동에 종사하였고 『금수회의록』의 집필이 다년간에 걸쳐 이루어졌다는 진술을 통해서는 이 작품이 『금수회의인류공격』을 저본으로 하면서도 시기를 달리하는 비균질적인 텍스트들의 결합을 통해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금수회의록』은 1907년경 번역자로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안국선이 『금수회의인류공격』이라는 소설을 번역하면서 그 기본적인 서사적 골격과 표현 기법을 그대로 수용하는 한편으로 자신이 일찍이 유배 중일때 써 두었던 세태 비판의 논설적인 글과 연설문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만들어진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금수회의록』은 일본어 저본으로부터의 번역, 번안 과정 및 순한글 작품으로의 교열이라는 중층적인 과정을 거쳐서 일본어에서 국한문 혼용, 순한 글로 바뀌면서 생성된 혼종적 텍스트라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Ahn Kukson’s 安國善 Kumsu Hoeuirok 禽獸會議錄(The Congress of Animals, 1908) focusing on its text production and publication process based on newly found police reports, which contain his statement written in 1908, the year he was arrested. This statement tells his personal history, the process of creation, and his response to questioning from police. Three important points can be gleaned from his statement : First, he studied at Tokyo Senmon Gakko 東京專門學校(formally renamed Waseda University 早稻田大學 in 1902), founded by Okuma Shigenobu 大?重信, the leader of Rikken Kaishinto 立憲開進黨, which advocated Jiyu Minken Undo 自由民權運 動(Free Civil Rights Movement). We discover that Ahn might be connected to Sato Kurataro 佐藤欌太郞, the writer of Kinjukaigi Jinruikogeki 禽獸會議人類攻擊(The Animals’ Meeting for Attack on Human Beings, 1904) which seems to be the original text of Ahn’s novel. This was mediated by both the Meiji political novel and the politics of Tokyo Senmon Gakko, as Sato was deeply influenced by Yano Ryukei 矢野龍溪, a representative writer of Japanese political novels and also the main member of Rikken Kaishinto. Second, he converted to Christianity when he was in prison awaiting judgment right after his return from Japan. This provides a key clue as to why he chose to translate Kinjukaigi Jinruikogeki instead of Jinruikogeki Kinjukokkai 人類攻擊禽獸國會(The Animals’ Congress for Attack on Human Beings, 1885), which was once suggested as being the original text of Kumsu Hoeuirok. Contrary to Tajima Shoji 田島象仁, who criticized Christianity in his novel Jinruikogeki Kinjukokkai, Sato was open to Eastern and Western thought, and so he included Christianity in his novel even though he was raised in the Confucian tradition. Third, Kumsu Hoeuirok was translated and adapted while he was devoting himself to translation, working as a translator for Bosongkwan 普成館 Publishers. It took several years from translation to publication. From this fact, we can guess that Kumsu Hoeuirok combined various and heterogeneous texts written in different periods, although it was grounded on one original text. In addition, Kumsu Hoeuirok was formed partially by inserting various political comments and speeches written while he was in exile, and also by retaining traditional narrative plot and rhetoric while he was translating Kinjukaigi Jinruikogeki. In this light, Kumsu Hoeuirok can therefore be a hybrid text born through the complex translingual process which ranges from the original translation from a Japanese text to its Chinese-Korean mixed adaptation and to the final revision in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