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인숙(In-sook Seo)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9
이 논문은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을 중심으로 이창동의 영화세계를 탐구하려고 한다.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 세 작품 모두 사회현실에 역동적으로 반응하는 인물의 내면세계를 영화의 중심에 놓으면서 주인공과의 감정적 동일화를 통한 연민을 기반으로 정서적, 감성적 유대감을 촉발시킨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때 〈초록물고기〉와 〈박하사탕〉은 주인공의 내면묘사에 있어서 객관적 리얼리티에 충실한 사실성과 함께 리얼리즘에서 이탈하는 과잉의 비극성을 보인다. 〈오아시스.〉는 주관적 내면을 형상화하는데 있어서 환상성이 교차하며 현실과 환상이 뒤섞인다. 이러한 탐구 과정에는 인물의 내면을 매개로하는 리얼리즘적 비판정신, 리얼리즘 양식에 균열을 가하는 탈-리얼리즘 기법, 그리고 정신분석학적 측면에서의 스크린의 환상작용을 토대로 논의 될 것이다. This paper will study on the films of Chang-dong Lee, focused on 〈Green Fish〉, 〈Peppermint Candy〉, 〈Oasis〉.These films concentrate on the internal mind of hero and heroine who react actively to social reality around their environment. Also these films share another common thing which retain to strong emotional tie with spectator, based on the sympathy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hero. 〈Green Fish〉, 〈 Peppermint Candy〉 〈Oasis〉 represent to the mixture of realism and de-realism.. Specially 〈Oasis〉 shows the mixture of the realism and fantasy. This Quest for the films of Chang-dong Lee will include discussion of a critical attitude from realism, discussion of de-realism factors, and study of screen fantasy from the respective of psychoanalysis.
융ㆍ복합적 의미의 업사이클링 지속가능디자인 브랜드 인식에 대한 사례 및 인식분석
서인숙(Seo, Ihn Soo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5 No.-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심각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는 디자인 분야에서도 친환경은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친환경디자인으로는 업사이클링 지속가능디자인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업사이클링 친환경디자인의 지속가능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브랜드 사례 중 몇가지 제품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뿐만아니라 업사이클링 지속가능디자인의 인지도, 브랜드인지도 및 구매의도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 혼인여부에 따른 업사이클링 지속가능디자인에 대한 인지도 및 제품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며, 연령대는 4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디자인인지도는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제품 구매 시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성별, 연령, 결혼여부와 관계없이 품질을 가장 중요시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두 번째 중요시되는 사항으로는 디자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추가적으로 구매경험이 있는 사람은 디자인을, 구매 경험이 없는 사람은 품질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업사이클링 지속가능디자인 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주관단체는 업사이클링 브랜드 기업이 가장 적합하다고 파악되었고,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는 정보의 부재가 가장 큰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업사이클링 지속가능디자인에 대한 브랜드 활성화를 위해서는 브랜드의 적극적인 홍보와 가격대비 제품의 품질향상과 다양한 디자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The eco-friendly design is becoming very important today when worldwide environmental problems emerge as a serious issue. Upcycling sustainable design is one of eco-friendly designs with a posi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co-friendly upcycling sustainable design, to analyze its products and features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brand cases, and to conduct online survey and a statistical analysis on design awareness,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on the upcycling sustainable design.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design awareness and brand awareness are higher among women than among men, and in 40s. Design awareness is higher in unmarried and brand awareness is higher in married. Product quality is considered most important regardless of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and design the second. However, people with buying experience consider design more important, and people without buying experience consider product quality more important. It was also identified that upcycling brand companies are most appropriate as superintending organizations for activating upcycling sustainable design brand and that the biggest reason why products are not purchased is the lack of information. Therefore aggresive promotion on the brand, product quality improvement with cost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f a variety of designs are required for activating brands on the upcycling sustainable design.
서인숙(IS Seo),노기문(KM No),박정옥(JO Park),이영순(YS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6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1 No.2
2 cases of cervical pregnancy are reported. Both patients, 25 & 37 year old and had 2 & 10 times of D & C respectively, were treated as total hysterectomy because of uncontrolable profuse painless vaginal bleeding. The exact cause of this lower uterine pregnancy is not known, howevere, permanent injury to the uterine mucosa usually due to operative dilatation of endocervical canal is suspected. Cervical pregnaney is a dangerous form of ectopic pregnancy and is one that requires early recognition and adequate treatment to prevent diaster.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본 [괴물]의 영화적 모방과 번역의 의미
서인숙(In-Sook Seo)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이 논문은 한국형 블록버스터로서 역대 최다 흥행 기록을 세운 영화, [괴물]을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괴물]은 할리우드의 대표적 장르인 괴수 영화를 적극적으로 모방함으로서 한국 영화중에서도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와 유사한 면모를 많이 지닌 영화라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괴물]은 미국 영향 아래 있는 현재의 한국적 식민 상황을 비판하고 조롱하는 저항 담론이 살아 있는 한국영화이기도 하다. [괴물]은 이전에 만들어진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들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모방을 식민주의에 대한 저항으로 확장시키는 탈식민적 문화번역에 성공한 영화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영화 [괴물]이 할리우드 괴수 영화를 차용하면서도 이 차용이 단순한 흉내 내기에 머물지 않고 식민 지배를 전복시키는 탈식민적 의미작용으로 어떻게 확장되고 있는가에 역점을 둘 것이다. This article attenpts to analyze,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Goemul'(English title,The Host), the Korean blockbuster movie that scored the greatest box-office succes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inema. As Goemul eagerly copies the monster movie, a representative genre of Hollywood movies, it has close affinity with Hollywood blockbuster movie in many repects. At the same time, however, it also contains a resistance discourse that criticizes and mocks colonial of Korean society under American influences. This movie successfully carries out a post-colonial cultural translation that transforms mimicry into resistance to colonialsim. Hence, this artcle focuses on how Goemul borrows many aspects of the Hollywood monster movie but goes beyond the simple copying of it to reach post-colonial signification subverting the existing cultural regime.
영화 [실미도]의 이데올로기와 리얼리티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인숙(In-Sook Seo)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7
영화 [실미도](2003)는 은폐되었던 역사적 사실을 폭로하면서 실미도에서 행해진 특수부대의 훈련 과정을 스펙타클하게 묘사한다. 말하자면 영화라는 허구적 공간이 사실적으로 변모된다. 영화는 파쇼적인 정부에 대해 비판적 시각과 함께 정부의 권위를 보호하는 이데올로기적 모순을 노출시킨다. 또한 영화는 이런 역사적 사건을 재현하는데 있어서 신파와 같은 멜로적 표현에 의한 감성적 과잉으로 묘사한다. 여기서 관객의 동화작용은 비극적 민족 담론으로부터 파생되는 감정 이입으로 성취된다. [실미도]는 이성적 차원이 아닌 감성적 차원에서 상상의 공동체라는 민족의식에 호소하는 영화이다. 시각적 영상은 남과 북으로 나뉜 민족적 비극이라는 감상주의에 의해 더욱 고조된다. [실미도]는 신파적인 감상주의를 통해 분단 이데올로기에 의해 야기된 비극적 상황을 더욱 심화시킨다. 더구나 이 비극에서 군사정부는 야만적으로 묘사되는데 비해 실미도 부대원들은 영웅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Silmido [실미도 2003] captures the covered historical reality and describes the spectacular training process of the special army stationed at Silmido in vivid detail. As a result, a fictional space is turned into a reality film. The film shows ideological inconsistency of the critical view about the fascism of government authority and at the same time the political aid about government authority. The film creates dramatic and friendly effect through melodramatic and emotional exaggeration called sinpa about historical events to produce the pleasure of assimilation based on the trust of the audience. Here, individual assimilation is subjectivity achieved through the general sympathy coming from the tragic national discourse. Silmido appeals to the imaginary community not in a logical but in an emotional way. The spectacular action and realistic images are supported by national tragedy divided into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nd integrated sentimentalism to amplify the tragedy. Silmido tries to strengthen the tragic situation caused by the division ideology through this sentimentalism called sinpa. In contrast to the brutality of the relentless military regime, the sacrifice of good-hearted Silmido force members is heroically portrayed.
서인숙(In-Sook Seo)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1
교육이라는 education과 오락이라는 entertainment가 합쳐진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라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방법은 학습자에게 오락이나 놀이가 지닌 재미를 통해 학습 효과를 상승시키는 열린교육의 가능성을 품고 있다. 에듀테인먼트의 성격을 지닌 영화 교육은 교육과 놀이를 그 목적과 방법으로 채택하면서 대안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이 연구에서는 영화 교육이 에듀테인먼트로서 추구해야 하는 교육 목표를 설정하면서 효과적인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영화교육의 학습 형태와 방향은 무엇인지를 논의하려고 하다. 더 나아가 영화교육의 개념 설정에만 머무르지 않고 에듀테인먼트로서 기능할 수 있는 실제 영화교육 사례를 제안함으로서 실질적인 영화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Edutainment as a new form of educational method is being combined with the education and entertainment, which has possibility of open education improving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entertaining and studying at the same time. Film education, one of edutainment, offers a new paradigm of alternative educational method using of education as well as playing Therefore, this study will discuss about the purpose and effective forms of film education that should have for edutainment goal. Furthermore, this study offers educational examples of film program which are used for teaching for students. This study mostly suggests diverse educational matter and focuses on researching film education efficacy.
정보 교과 교육 :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서인숙 ( In Suk Seo ),김종한 ( Jong Han Kim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1
21세기는 컴퓨터와 정보통신이 사회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화 사회이다. 컴퓨터를 도구로 지식은 대량 생산되고 정보는 계속적으로 창출되고 있다. 시대변화에 적응하고 능력 있는 기술을 육성하기 위한 학교교육의 내용은 창의력과 사고력 배양을 궁극의 목표로 설계되어야 하며, 학습활동은 자기 주도적 형태를 취하여야 한다. 이에 컴퓨터는 필수적인 학습도구요 지식습득과 정보수집의 매체요 나아가 정보생산의 도구인 것이다. 컴퓨터 활용능력은 학습활동의 선수능력이며, 컴퓨터시스템은 개인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개별학습의 일반화에 전제조건이 된다. 오늘날의 컴퓨터 교육은 급격한 사회 변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컴퓨터 교육에서 다루는 영역들은 컴퓨터 기술 발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에 따라 점진적인 변화를 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선택과목으로 운영되고 있는 컴퓨터 교육과정 및 컴퓨터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여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앞으로 컴퓨터 교육을 개선하고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및 외국의 컴퓨터 교육에 대해알아보고,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해서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성공적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컴퓨터 교과 교육 2 : 초등학생을 위한 PBL 기반 정보보호교육 수업 설계
서인숙 ( In Suk Seo ),김종한 ( Jong Han Kim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9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3 No.2
현대 정보사회는 인터넷 환경의 다양한 서비스 시행에 있어 대량의 개인 정보가 수집, 축적되고, 개인정보의 유출과 남용이 증대됨에 따라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로 기존의 지식과 정보의 수명은 빠르게 단축되고 있으며,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정보를 사회에서 활용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정보 사회에서는 생산적인 능력을 가지고 창의적인 사고를 하며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사람을 요구하고 있으며, 실제문제 상황에서 필요한 지식을 선택하여, 재구성하고, 문제해결에 활용하는 능력이 중요한 교육목표로 부각되고 있다. 교육의 방향도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초기의 정보통신 윤리에 관련된 마인드위주의 교육이 아닌, 실질적으로 실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보호 교육이 요구 된다. 문제중심학습(PBL)은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탐색하여 적절한 해결책을 찾는 교육접근 방법(조연순, 2006)으로 초기에 정보 교육을 받게 될 초등학교의 정보보호 교육 설계 방안에 적합하다 할 수 있겠다. 따라서 학교집단이라는 작은 사회에 속한 개인의 상호작용에 주목함으로써 학생들이 협동심과 책임감을 가지고, 학습의 주도권을 학습자들 스스로 찾는 자기 주도적 학습방법인 문제중심학습(PBL)기반의 정보보호교육의 수업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