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韓國人의 正常腹腔動脈에 對한 X 線學的 硏究

        徐源赫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73 고려대 의대 잡지 Vol.10 No.3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normal distribution pattern and variations of the coeliac trunk and its branches in Koreans. The materials consisted of 106 Koreans in whom selective coeliac and superior mesenteric arteriography or on occasion aortography was performed and no pathological changes or abnormal anatomical changes could be found angiographically. The angiograms of these 106 cases were carefully reviewed and analysed to determine the origin, size and frequency of various types of coeliac trunk and its branches. The summarized findings are as follows : A hepato-spleno-gastric trunk was seen in 86.7%, hepato-splenic trunk in 9.8%, hepato-gastric trunk in 0.9%, hepato-spleno-mesenteric trunk in 0.9%, and spleno-gastric trunk in 1.9%. Supplementary arteries to the liver were found in 39.6%. These supplememtary arteries supplied the right lobe in 23.9%, the left lobe in 26.9%, and both lobes of the liver in 11.1%. When parts of the liver were supplied by supplementary arteries, the common hepatic artery was significantly narrower than that of the individual in whom no such supplementary arteries were present. When left gastric artery gave off supplementary arteries supplying the left lobe of the liver, it was statistically wider in calibre than in the case having no such supplementary blanches. The right gastric artery and the cystic artery were small arterial branches often difficult to demonstrate to angiographically. Double cystic arteries were found in 16.7%, which is a lower figure than that given by anatomists. The frequencies of all types of coeliac trunk were similar to the figures found by both domestic and foreign anatomists as well as foreign radiologists.

      • KCI등재

        조선 중기 금강문화권 예학의 전개와 특징

        서원혁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6

        The paper is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 of the Lixue of Geumgang Culture Area in the mid-Joseon Dynasty. The Geumgang Cultural Area can be said to be a generic term for various social cultures developed around the place where the river passed from the origin of the Geumgang River to the sea. Lixue in the Mid-Joseon Dynasty also belongs to the culture of Geumgang Cultural Area. Lixue is an academic phenomenon that intensively appeared at a specific period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8th century in the history of studying abroad in Joseon. and It also flourished greatly in the Geumgang Cultural Area. Sagye Kim Jang-saeng, who is called the leader of Lixue, came from the Geumgang Cultural Area, and his son and disciples followed him and developed Lixue. Here, led by Sagye Kim Jang-saeng, I would like to clarify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lixue through research on Shindokjae Kim-Jip, Uam Song Shi-yeol, Choryeo Lee Yoo-tae, and Noseo Yoon Seon-geo. In order to realize suitable Lixue for reality, they created and distributed Lixue book. They developed various forms of Lixue. 본 연구논문은 조선시대 중기 금강문화권을 중심으로 전개된 예학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금강문화권은 금강의 발원지에서부터 바다로 빠져나가기까지 강이 지나간 곳을 중심으로 발전한 다양한 사회문화들의 총칭이라 할 수 있다. 조선 중기 예학도 그러한 금강문화권의 문화에 속하게 된다. 예학은 조선유학사에서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나타난 학문 현상으로 금강문화권에도 크게 융성하였다. 예학의 종장이라 불리는 사계 김장생이 금강문화권에서 나왔으며 그의 아들과 제자들도 그의 뒤를 이어 예학을 발전시켰다. 이에 금강문화권에서 조선 중기 예학의 전개와 특징은 사계 김장생을 필두로 신독재 김집, 우암 송시열, 초려 이유태, 노서 윤선거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이들은 현실에 알맞은 예를 실현코자 예서를 만들어 보급하였다. 또한 형식적이고 엄격한 예의 집행을 추구하기도 하지만 인정(人情)에 기반 한 예의 실행을 일부 허용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예학을 전개하였다.

      • 正常 韓國小兒의 X­線像 右側下行 肺動脈幅에 關한 硏究

        徐源赫 우석대학교 의과대학 1967 우석의대잡지 Vol.4 No.1

        A critical analysis of the pulmonary arterial tree on conventional chest radiogram is essential in proper evaluation of a patient with pulmonary or cardiac diseases. Such analysis may be of great significance in evaluating of the changes in pulmonary blood flow ad pulmonary arterial pressure which commonly in change the size of the main pulmonary artery and its branches. Leinbach(1963) made obsevation on normal values for the right descending pulmonary artery in Western children. However, there has been no work on those of Korean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estimates the normal width of the right descending pulmonary arterial tree in Korean children as seen on roentgenograms. The author measured the width of the right descending pulmonary arteries on the conventional chest x-ray of apparently healthy 248 Korean children raging from 1 to 16 years in ag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groups each 2 years interval age in order to evaluate growth changes. The right lower lung field was arbitrarily divided into three zones, namely central, mid and peripheral zone, measuring primary branch in central zone, secondary branch in mid zone and tertiary branch in perpheral zon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normal values of the right descending pulmonary artery of the normal Korean cilidren were: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2. It appears that the right descending pulmonary artery progressively increases in size as the age advances. 3. There was a constant and normal taper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ary descending branch and the tertiary branch as indicated by the mean ratios. 4. Author proposes the following values as the normal upper limit of the right descending pulmonary artery in Korean children.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 KCI등재

        율곡 인성론의 논리 구조 연구

        서원혁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gical structure of Yulgok Yi I(李珥, 栗谷, 1536∼1584) personality. Neo-Confucianism is constructed on the Theory of RiKi; Theory of mind and humanity, Theory of self-cultivation. The Theory of RiKi i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Ri and Ki. The Theory of mind and humanity deals with human beings’ nature problem.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searches for a way to practice. Yulgok's theory of personality consists of: The Original Nature · The Physical Nature,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Feelings,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This paper tries to analyze by way of Etonggikuk, one of the cores of Yugok riki theory. Yulgok's Etonggikuk has a special logic structure of ri-yi-fen-shu(理一分殊) and ki-yi-fen-shu(氣一分殊). Through this, the logic of the three theories of Yulgok's personality theory are analyzed. This discussion will strengthen the meaning of Yulgok's personality theory based on riki theory. 공맹유학 중심의 선진유학을 벗어나 새로운 의미를 지니게 된 신유학인 성리학은 이기론과 인성론 또는 심성론 및 수양론의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중에서 이와 기의 관계성에 기초한 논의를 이기론이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본성 문제를 다루는 것이 인성론 혹은 심성론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 실현하는 것을 수양론이라 하겠다. 본 논문은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유학자인 율곡 이이(李珥, 栗谷, 1536∼1584)의 인성론에 대한 구조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율곡 인성론의 구조 분석을 위해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사단과 칠정, 인심과 도심의 관계를 면밀히 살펴보고 이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성을 파악해 나갈 것이다. 특히 율곡 이기론의 핵심 이론 중 하나인 리통기국(理通氣局)의 특징을 통해 인성론의 구조를 해석하고 파악해 나가고자 한다. 율곡의 리통기국은 이일분수(理一分殊)와 기일분수(氣一分殊)라는 독특한 논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기일분수의 해석을 중심으로 세 가지 인성론 이론의 논리 구조를 면밀히 분석해 냄으로써 이기론적 기초 아래 새워진 율곡 인성론의 의미를 더욱 견고히 하는 계기를 부여케 될 것이다.

      • KCI등재

        율곡 인성 교육의 실천성 연구 - 『격몽요결』을 중심으로

        서원혁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47 No.-

        This study is a work to find a methodology that makes Yulgok’s personality education practical. The purpose is to find various methodologies for the Practicality of Yulgok Personality Edu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his educational practice through “Gyeokmongyo-gyeol”. “Gyeokmongyog-yeol” was created to help Yulgok set his own will, keep his body neat, and fulfill his basic role in his family and society. It reinterprets this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discusses ways to practice it.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ways to provide practical education centered on personality education, considering that the need for personality education is emerging at this point. 본 논문은 율곡의 인성 교육에 대한 실천성을 연구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인성교육의 실제로 이뤄지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론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율곡 이이가 학문을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해 편찬한 『격몽요결』을 통해 그의 교육 실천에 대한 내용과 방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격몽요결』은 율곡 이이가 해주의 은병정사에서 제자들을 가르칠 때 그 향방을 정하지 못하는 초학자들에게 스스로 뜻을 세우고 몸을 단정히 하며 가정과 사회에 대해 기본적인 역할을 다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만들었다. 이를 현대적 관점으로 재해석 하여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현시점에서 인성교육이 필요성이 매우 대두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실제적 교육이 이뤄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충청유학의 실천성 연구 -외암 이간의 심성일치를 중심으로-

        서원혁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59 No.-

        본 논문은 충청유학의 실천성 연구로써 외암 이간의 심성일치를 중심으로 그 의미를 찾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충청유학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한 개념을 정립하지 못한 상태로 일단 이 지역을 연고로 한 인물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코자 한다. 이중 외암 이간은 충남 아산 출신으로 호락논쟁에서 인물성 동론을 주장한 대표적인물이다. 그러나 그의 이론이 서울과 경기 지역 학자의 동조가 많았기에 낙론이라이름 불리면서 충청지역과는 상관성이 떨어져 보이는 인상을 주고 있다. 하지만 그가 태어나가 자랐으며 활동한 곳이 아산시 송암면 외암 마을 일대이므로 충청유학의 학자로 인정하면서 그의 핵심 이론인 인물성 동론과 심성일치에 대한 논의를 통해 충청유학의 실천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실천성은 북학파에게 영향을 주었다. 북학파는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등이 주축을 되어 청의 문물을 배워우리 사회를 합리적으로 변화시킬 것을 표방한 실학적 학풍으로 ‘이용후생’을 중시하였다. 이것을 종합해 보면 이간의 심성일치론을 중심으로 한 충청유학의 실천성을 또 하나의 풍조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