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분석을 통한 교육 과정 위계 부적합 사례 연구 - 7학년 물질의 세 가지 상태

        서민희,최원호,Seo, Min-Hee,Choi, Won-Ho 대한화학회 2009 대한화학회지 Vol.53 No.6

        본 연구는 과학 교사들의 과학과 교수 . 학습 설계 시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와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에 나타나는 교육과정 위계 부적합 사례를 조사하였다. 교육과정 위계 부적합 사례는 7학년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단원에 한정하였으며, 분석에 사용한 내용 요소는 물질의 상태 변화, 분자, 분자 모형이었다. 그 결과 교육과정 위계 부적합 사례에 해당하는 내용 요소는 ‘물질의 상태 변화’에서는 플라즈마, 상평형, 눈이 생기는 현상, 물의 특이성, 결정성과 비결정성 고체의 분류, 열에너지, 물리 변화 등 7종류였으며, ‘분자 모형’에서는 분자 운동, 밀도가 발견되었다. 그리고 ‘분자’에서는 교육과정 위계 부적합 사례가 발견되지 않았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unsuitable cases for the hierarchy of the curriculum in scienc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which is on the web site of the each city's support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Seoul Science Park with a purpose of giving helpful data for science teachers at lessons. The investigation is limited to 'Three states of matter' unit for the 7th grade and the content elements used at analysis was the "state changes of matter", "molecule" and "molecular model". The case found for unsuitable case for the hierarchy of the curriculum was phase equilibrium, ice crystal theory, peculiar property of water, classification of solid, thermal energy and physical change at the "state changes of matter". While the "molecular model" showed molecular motion and density. On the other hand, no case was found at "molecule".

      • KCI등재
      • KCI등재

        일반진단모형을 활용한 수학과 학업성취도 및 정의적 특성의 국제 비교

        서민희 ( Seo Minhee ),전경희 ( Chon Kyong 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세계 각국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국제비교 연구에서 주요 교육 성과지표에 대해 국가 간, 문화 간 차이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연구 자료를 통해 아시아 문화권과 서구 문화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진단모형(general diagnostic model; GDM)을 적용하여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수학 성취도 및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응답 자료의 잠재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각 문화권을 대표하는 국가로 우리나라(371명), 일본(315명), 미국(656명), 영국(284명)을 선정하여 4개국으로부터 총 1,626명의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와 교과 태도, 교사에 대한 인식, 자신감, 가치인식을 포함한 정의적 특성 관련 척도에 대한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성취도와 정의적 특성 자료에서 아시아와 서구 문화권으로 분류되는 두 개의 잠재집단이 확인되었으며, 수학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이 각 문화권에서 각각 다르게 식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s’ math achievements measured in cognitive and noncognitive domains using TIMSS 2011 data collected from four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N=371), Japan (N=315), United States (N=656), and United Kingdom (N=284). Students from these four countries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s of Asian/Eastern and Western cultural backgrounds, respectively. A general diagnostic model (GDM) was applied to analyze the latent structure of response data on the math achievement and attitude scales.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wo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into student groups representing high-achievers and low-achievers in math achievement. Higher percentages of students in South Korea and Japan were classified into the “high-achievers in math achievement” group. Similarly, two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into student groups representing high-achievers and low-achievers in math attitudes. Higher percentages of students in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were classified in the “high-achievers in math attitudes” group. Thus, this study reveals that student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i.e., Asian/Eastern versus Western cultures) perform differently in math achievements and attitude domains.

      • KCI등재
      • KCI등재

        Impacts of DIF on Ability Estimation in CAT

        서민희(Minhee Seo) 한국교육평가학회 2022 교육평가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컴퓨터 적응형 검사(Computerized Adaptive Testing)에서 차별문항기능(DIF)이 피험자의 능력 추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CAT에서 DIF 분석 방법들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CAT에서 DIF가 능력 추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CAT의 피험자 수, DIF의 크기, DIF 문항의 수와 위치, 피험자 집단 간 평균 차이 등 다양한 조건을 적용하여 CAT 시행 상황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 DIF가 존재할 때 피험자의 능력이 과소추정되었으며 DIF의 크기와 DIF 문항의 수가 증가할수록 bias가 증가하였다. CAT의 진행에 있어서 초기 단계에 DIF 문항이 존재할 때 bias가 가장 컸고, DIF 문항의 위치가 검사의 마지막 문항에 가까울수록 그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능력 추정에 대한 DIF의 영향력은 능력 수준의 양 극단, 즉 능력이 매우 높거나 매우 낮은 수준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A couple of methods to detect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for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CAT) have been developed and successfully adapted. However, it has been unknown that how much DIF influences ability estimation as a result of testing.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DIF on ability estimation in CAT by varying conditions such as sample size, impact level, degree of DIF, the number of DIF items, and the location of DIF items administered in testing. To adopt a CAT environment as similar as to real CAT, the study administered all items including DIF items adaptively to each examinee s ability.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study indicated that bias increased as the degree of DIF and the number of DIF items increased. The largest bias was found when DIF items were administered at an early stage. The bias decreased as DIF items were administered at a later stage. The most impact of DIF on ability estimation was observed in the examinee groups at either end of ability level. The examinees at the highest ability level showed the largest underestimation of their ability due to DIF.

      • KCI등재

        초등단계 혁신학교 재학 경험이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서민희 ( Seo Minhee ),전경희 ( Chon Kyong H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교육종단연구 자료 분석을 통해 혁신학교의 재학 여부가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종단적으로 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의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의 4개년도 패널 자료를 토대로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학업성취도 및 성취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어, 수학, 영어 세 교과에서 모두 초등학교 5학년 시기에는 혁신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일반학교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혁신학교 학생들의 점수가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세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초기 시점으로 설정한 초등학교 5학년 학업성취도 점수에 대하여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간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이 높아지면서 성취도점수의 변화율은 혁신학교에서 더 가파르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성장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초등단계 혁신학교에 재학한 학생들이 장기적 학업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단계 혁신학교 재학 경험이 장기적 관점에서 인지적 성취의 성장을 이끄는 데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성과 검증 시 초기단계의 집단별 차이를 고려한 장기적 관점에서의 학업성취도 분석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Hyukshin schools by focusing on the growth rate of academic achievement scores. For this purpose,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data for grades 5 through 8 collected across four consecutive years were analyzed to compare academic achievement and its growth between regular schools and Hyukshin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for the fifth graders of the Hyukshin schools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the regular schools; however, the achievement for the Hyukshin school students tended to increase as they progressed. Second, the growth rate curve was steeper for the Hyukshin school students and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long-term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students who attended Hyuksh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experience in Hyukshin schools plays a positive role in driving the growth of the cognitive achievement in the long term. Additionally, we suggested follow-up research to analyze the educational outcomes of Hyukshin school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considering group differences in the initial stage.

      • KCI등재

        부모의 농 유무에 따른 건청 자녀의 비음치 비교

        김재옥(Jae ock Kim),서민희(Min hee Se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2

        배경 및 목적: 농인은 청각적 피드백의 결함으로 일탈된 공명 현상을 보이며, 이는 그들의 건청 자녀(이하 CODA)의 공명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2년에 걸쳐 부모의 농 유무가 CODA의 말소리 공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정상 발달 과정에 있는 3-4세 CODA와 건청 부모의 건청 자녀(Normal) 각 7명씩을 대상으로 /a/ 모음, 고압력자음 문장, 저압력자음 문장, 고압력자음과 저압력자음의 평균으로 산출한 총 구강음 문장 그리고 비음 문장 검사어들의 비음치를 분석하고, 1차년과 2차년의 2년에 걸쳐 검사어별로 집단 간의 차이와 집단별 연차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1차년의 비음 문장의 비음치를 제외한 모든 검사어에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1차년과 2차년 모두 CODA 집단의 비음치가 Normal 집단에 비해 높았다. 집단별로 연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CODA는 1차년과 2차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Normal 집단은 비음 문장의 비음치를 제외하고 모든 검사어에서 비음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농 부모의 건청 자녀가 말 산출 시 청각장애 성인이 보이는 공명 특성과 일부 유사하게 나타나 이는 농 부모의 공명 문제가 건청 자녀의 발달 과정에서 공명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how the deviant resonant speech of deaf parents influences the resonance of speech sounds produced by their preschool aged children (children of deaf adults, CODA). It was a longitudinal study done over 2 years. Methods: The following subjects were selected: seven 3 to 4 age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of deaf parents (CODA group); seven age-matched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of normal hearing parents (Normal group). The nasalance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he production of /a/ vowels and 3 types of sentence stimuli-oral sentences (high pres-sure consonants and low pressure consonants) and nasal consonants sentences. Results: The nasalance scores of all stimuli except the nasal consonant sentence in the CODA group were higher than the Normal group in both the 1st and 2nd year of the study. The nasalance scores of the CODA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vowel /a/ and oral consonant sentence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eviant resonant characteristics of deaf parents may influence the speech of their children during this stage of speech development.

      • BIM을 활용한 구조물 유지관리 신뢰도 향상

        강종만 ( Kang Jong Man ),서민희 ( Seo Min Hee ),길흥배 ( Gil Heung Bae ),노한성 ( Roh Hang Sung ),신용석 ( Shin Yong Su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7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2

        This study is a method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effectivity of maintenance. It is necessary to buil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BIM throughout the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structure. In order to apply BIM, it was introduced structural record management from the design stage. And It help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mainte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