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명일(徐明一) 한국역사연구회 2019 역사와 현실 Vol.- No.114
Despite habitual descriptions such as the first ever Korean student in the United States, Yu Kilchun’s thought reflected in Seoyu gyeonmun (Observations of a journey to the West) has oftentimes been considered as an understanding of Modern knowledge with a ‘Japanese filter,’. In other words, his comments in Seoyu gyeonmun are usually considered as a result of learning about the West not in its original form but with ‘Japanese-translated’ works. A major portion of Seoyu gyeonmun does show translations of Japanese writings, while traces of his own consulting of English-language sources are rather scarce. That led to scholar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his study in U.S. having any sort of real bearing or influence on his thinking as ‘minimal’ or ‘probably’ at best. Yet an extensive examination of all the sources of Yu’s references made in the first and second chapters of Seoyu gyeonmun reveals that Yu Kilchun did consult U.S.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s at least in his writing on World Geography. Six out of nine parts of Seoyu gyeonmu n’s first two chapters were translation of David Warren’s An Elementary Treatise on Physical Geography. Yu Kilchun studied modern geography using the same textbook alongside U.S. students at Dummer Academy, and apparently integrated the results of his study into the first two chapters of Seoyu gyeonmun. In other words, contents of these two chapters were not a rehash of a Japanese interpretation of the same source. It was a result of Yu’s own seeing, hearing and studying of U.S. contents during his stay in the country. The fact that he translated a textbook at Dummer shows us that his stay in the U.S. not only provided him with an opportunity to hone his English or superficially experience the Western culture, but also prompted him to embrace modern knowledge rather directly, and not using any Japanese proxy or media.
대학생들의 그릿이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명선,류선주 한국취업진로학회 2023 취업진로연구 Vol.13 No.3
대학생 시기는 진로 발달상의 결정적 시기로 사회인으로서의 독립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emerging adulthood)에 해당하는 단계로 삶의 전환기라 할 수 있다. 현대사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급격한 사회변화로 일자리가 사라지고 코로나19의 장기화와 경제적 불황으로 청년 실업률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속되는 취업난으로 인해 대학생들에게 진로탐색 및 취업 준비의 중요성과 부담감이 가중되고 있으며, 학업, 진로, 대인관계, 품행 등 여러 영역에서 가능성을 탐색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변화와 불안정성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대학생들은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 역경을 이겨내기 위한 심리적 요인이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처럼 지속적인 취업난의 상황에서 열정과 인내를 가지고 진로를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타고난 재능을 뛰어넘어 성취의 원동력이 되는 요소로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주목 받고 있다. 그릿과 회복탄력성은 선천적인 능력보다는 후천적 습득 가능한 특성으로 장기적으로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그릿은 열정과 끈기를 가지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을 뜻하며, 회복탄력성은 어려운 상황을 잘 극복하고 성공적인 적응을 이루어내는 개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심리학적 변인 가운데 그릿과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가 주목 받는 이유는 목표를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역경, 실패, 정체된 상태에서 겪게 되는 스트레스에서 포기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노력하기 위해서는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현대 사회는 타고난 재능보다는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비인지 능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으로 대학생들의 진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그릿과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연구와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그릿이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그릿이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ollege period is a pivotal stage in career development and can be considered a transitional phase in life, corresponding to the emerging adulthood, where individuals prepare for independence as members of societ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dern world is facing rapid societal changes, where job opportunities are disappearing. With the prolonged effects of COVID-19 and economic downturns, youth unemployment rates are steadily rising. Due to the persistent difficulty in finding employment, the importance and pressure of career exploration and job preparation are intensifying for college students. They experience significant changes and instabilities while exploring potential and adapting in various areas such as academics, career choic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sonal conduct. Given these environmental changes, it is becoming increasingly recogniz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for overcoming adversity through specific actions are essential for college students in finding a career path that fits their aptitude. In the face of such persistent employment challenges, grit and resilience are gaining attention as factors that can drive achievement beyond innate talent for college students preparing their careers with passion and perseverance. Grit and resilience ar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cquired rather than innate, playing a vital role in setting long-term specific goals. Grit refers to continuously striving with passion and persistence to achieve goals, while resilience can be described as the psychosocial traits of an individual that allows them to overcome difficult situations and achieve successful adaptation. Among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the reasons studies on grit and resilience stand out are because of their positive impact on not giving up amidst adversities, failures, and stagnation, and on sustaining efforts over a long period for achieving goals. In essence, in modern society, acquirable non-cognitive abilities are becoming more crucial than innate talents. Thus, research on grit,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ch positively influence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suggestions for reinforcing these are deemed necessary.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grit on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examin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grit does impact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서명은,신상희 梨花女子大學校 藥學硏究所 1993 藥學硏究論文集 Vol.- No.3
Arylalkanoic acid derivatives are known as good non-steroidal antiinflamatory and natirheumatic agents. The new arylalkanoic acid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when 2-chloro-3-(α-cy-ano-α-ehtoxycarbonyl-methyl)-1, 4-naphthoquinone was reacted with some arylamines.
Computer Graphics/Grid-Search 분석에 의한 Quinolone Conformation에 관한 이론적 연구
서명은,Suh, Myung-Eun 대한약학회 1994 약학회지 Vol.38 No.6
According to computer graphics/Grid search analysis, ${\beta}-keto$ carboxylic acid of nalidixic acid which has an antibacterial activity as DNA-gyrase inhibitor has been known to have got four different conformational energy values. In orders, the energy value of conformation A,B,C and D was -6.603, -4.114, -1.766 and 7.327 kcal/mol. The difference of energy value between conformation A and D was 13.9 kcal/mol. Usually conformation C was used in literature. However, it had a energy value of -1.766 kcal/mol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which is about 5 kcal/mol higher than the most stable conformation A. Therefore, conformation A is expected to be more stable than conformation C.
청소년이 지각하는 어머니공감과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 간의 관계: 단절/거절 초기부적응도식, 우울, 내재적 공격성, 외현적 공격성의 다중 매개효과
서명성,김현수 한국교육개발원 2022 한국교육 Vol.49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어머니공감과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단절/거절 초기부적응도식, 우울, 내재적 공격성, 외현적 공격성의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청소년 1,00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이 지각하는 어머니공감이 학교폭력의 근원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격성의 성향에 따라 학교폭력이 피해 및 가해경험으로 상반되게 나타났고 학교폭력 피해와 가해가 순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피해 및 가해학생을 위한 통합적인 접근의 학교폭력의 개입방안으로 청소년이 지각하는 어머니공감향상 개입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학생의 공격성 성향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의 학교폭력 개입방안과 학교폭력 피해-가해 중복경험 청소년의 개입이 필요하고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를 통합해서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피해-가해 중복경험 청소년에 대한 효과적인 학교폭력 개입방안이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