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역의 시각에서 보는 동아시아의 산업화와 원조

        서광덕(Kwang Deok Se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4

        근대 이후 동아시아 지역에서 빨리 근대화에 성공하여 제국주의 국가로 발전한 일본외에도 전후에는 한국과 대만 등이 산업화를 추진하여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1970년대 ‘동아시아의 기적’으로 불리는 산업화의 추진과 성공에 대해서는 종래 여러 학술적 방면에서 다양한 해석이 있었다. 이 글은 동아시아 지역의 산업화를 해역의 시각에서 새롭게 조망하고자 했다. 해역의 시각이란 바다와 관련된 지역 그리고 그 지역민들의 다양한 활동을 대상으로 하여 종래의 육지 중심의 시각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시각에서 먼저 근대 이후 일본의 산업화 성공을 근세 이후 아시아 해역에서 전개된 교역에서 그 원인을 찾는 일본의 아시아교역권론자들의 ‘해양아시아론’을 살폈다. 이들의 주장이 해양에 대한 관심을 추동하고, 동시에 중국 중심의 대륙아시아론에 대한 반론으로서 의미가 있지만, 일본 중심의 (해양)아시아 인식이라는 혐의 역시 부정할 수 없다. 그리고 전후 아시아태평양에서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에 의해 일본 및 한국과 대만의 산업화가 추동되었는데, 그것이 군사원조를 비롯한 경제원조에 의해 전개되었다는 점을 살폈다. 이를 통해 미국 원조에 의한 일본, 한국 그리고 대만 등 해역의 군사기지네트워크 건설과 이 국가들의 산업화와 경제성장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후 동아시아 국가들의 산업화가 각 국가들의 개발주의에 의해 추동되었지만, 그 산업화가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전략에 따른 동아시아 분업체제 안에서 진행되었고, 그 산업화의 중심지역이 대부분 해역이라는 점은 이 산업화가 해역민에게 끼친 영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군사기지로서의 섬과 원전이 설치된 어촌, 그리고 수출입공단이 건설된 해안가 특구 등이 그 대상이다. 이 지역에 살았던 원주민과 이주민들의 관계 그리고 이들에 의해 형성된 사회의 변화 양상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In addition to Japan, which succeeded in modernization in East Asia after modernization and developed into an imperial state, Korea and Taiwan promoted industrialization and achieved economic growth. In the 1970s, there wer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promotion and success of industrialization called 'miracle of East Asia' in various academic aspects.,This article aims to look at the industrialization of East Asi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a region. The view of the sea region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land-oriented view for various activities of the sea-related areas and their local residents. From this point of view, I first examined the 'Maritime Asia theory' of Japanese scholars who speak of Asian trade area, which seeks the cause of Japanese industrialization success in trade in Asian sea region since the recent era. While their arguments are meaningful as a driving interest in the oceans and at the same time as a counterargument to the China-centered theory of continental Asia, the charge of Japan-centered perception of (oceanic) Asia cannot be denied either. In the postwar Asia-Pacific, the industrialization of Japan, Korea and Taiwan was driven by the US East Asian strategy, which was developed by economic aid including military aid. This shows that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base networks in Japan, Korea, and Taiwan by US aid and the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of these countries are closely related. The fact that the industrialization of East Asian countries after the war was driven by the developmentalism of each country, but that industrialization took place within the East Asian branch system under the U.S. Asia-Pacific strategy, and that the center of industrialization was mostly the sea area, reminds us that the impact of this industrialization on the people of the maritime region needs to be examined. These include islands as military bases, fishing villages where nuclear power plants have been installed, and coastal special zones where the Import and Export Corporation has been built.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genous people and migrants who lived in the region and the changes in society that they shaped.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동아시아 지식네트워크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 동아시아 근대 출판의 성립과 이동을 중심으로

        서광덕(Seo, Kwang-Deok)(徐光德)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1 No.-

        근대는 활자 미디어의 시대이다. 활자의 발명은 인쇄술의 혁명을 가져왔고, 인쇄술의 발달은 대량의 신문잡지와 책의 출판을 가능하게 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 대중들은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게 되었고, 또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근대적인 출판이 시작된 곳은 바로 해역도시들이었고, 이 도시들을 중심으로 각 지역으로 지식이 전파되기도 하고 또 수용되기도 하였다. 근대 동아시아 지역에서 지식의 수용과 전파는 이렇게 형성된 동아시아 출판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 동아시아의 출판네트워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해서 동아시아 지역의 각 국가들을 중심으로 살피고, 또 이 지역에서 생산된 출판물들이 해역도시들 간에 어떻게 이동되었는지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여기서 도서만이 아니라 출판업 곧 인쇄소, 출판사, 서점 등의 하드웨어 자체가 이동한 것을 중심으로 파악했다. 이것은 근대 이후 동아시아 지역에서 출판의 대중화와 산업화가 이 지역 사람들의 근대적인 지식을 전유하는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 나아가 동아시아의 인문네트워크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다. Modern times are the age of type media. The invention of type has led to a revolution in printing, and the development of printing has enabled the publication of large amounts of newspaper magazines and books. And based on this, the general public got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they could express their thoughts. The modern publications in East Asia were in the sea areas, and knowledge was spread and accepted to each area centered on these cities. The acceptance and dissemination of knowledge in the modern East Asia was based on the publication network of Northeast Asia. This paper examines how the publishing network of modern Northeast Asia was formed, focusing on each country in East Asia, and summarizes how the publications produced in this region were moved between the sea cities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is is a basic work to examine what role the popular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publications in East Asia since the modern era played in preserving modern knowledge of people in this region and furthermore, how it affected the formation of humanistic networks in Northeast Asia.

      • KCI등재
      • KCI등재

        IP 망을 통한 MPEG-2 TS 기반의 프로그레시브 스트리밍을 위한 de-jitter 버퍼링 시간 추정 기법

        서광덕(Kwang-deok Seo),김현정(Hyunjung Kim),김진수(Jin-soo Kim),정순흥(Soon-heung Jung),유정주(JeongJu Yoo),정영호(Youngho Jeong)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1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6 No.5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stimation of network jitter that occurs when transmitting TCP packets containing MPEG-2 TS in progressive streaming service over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s. Based on the estimated network jitter size, we can calculate required de-jitter buffering time to absorb the network jitter at the receiver side. For this purpose, by exploiting the PCR timestamp existing in the TS packet header, we create a new timestamp information that is marked in the optional field of TCP packet header to estimate the network jitter. By using the proposed de-jitter buffering scheme, it is possible to employ the conventional T-STD buffer model without any modification in the progressive streaming service over IP networks.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cable to the recently developed international standard, MPEG 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technology.

      • KCI등재

        해방이후 한국의 중국학 성립 과정에 대한 고찰 -인문학을 중심으로

        서광덕(Seo, Kwang Deok) 한국아시아학회 2019 아시아연구 Vol.22 No.2

        이 논문은 한국에서 근대학문의 성립 양상을 중국학을 대상으로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한국에서 중국학이란 학문 역시 해방이후 근대학문 일반의 수립과 마찬가지로 일제 강점기의 비자주적 연구와 교육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분과학문으로서 자리매김해왔다. 하지만 중국을 대상화하고 이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는 근대적인 학문으로서 자기 정립은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일본 식민지 시기의 학문적 경향 또 냉전의 대상국 중국이란 이미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객관적이고 주체적인 학문의 하나로서 자리잡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지난 세기말 이후 중국이 우리 앞으로 다가왔고, 40여 년간의 단절을 극복해가는 도중에 최근에는 급성장한 중국을 목도하면서 중국학의 의미를 새롭게 정립해야 하는 시점에 와있다. 해방이후 중국학에 대한 역사적 검토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중국학 전망에 대해서 점검해보았다. This thesis reviewed the formation aspect of modern scholarship in Korea in an overview of Chinese scholarship. The Chinese scholarship in Korea has also become a full-fledged scholarly discipline after liberation,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modern scholarship, away from the autonomous research and educ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it took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establish itself as a modern scholarship to target China and to look after itself through it. The academic tendency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image of the Cold War state China, etc., were difficult to establish as one of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scholarship. China has been approaching us since the end of the last century, and we have recently come to the point where we need to establish a new meaning of Chinese science while witnessing the rapidly growing China. After liberation, I reviewed the historical review of Chinese studies and the prospect of Chinese studies in Korea based on this.

      • KCI등재
      • 근대 동아시아의 바다와 전쟁 - 『海國圖志』 「籌海篇」細讀

        서광덕(Seo, Kwang-Deo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1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21 No.07

        It was the defeat in the Opium War that led Qing to pursue policies to improve marine power. If the Opium war is the event that drove the modernity of East Asia as well as China,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modernity of East Asia originated from war. However, wars in East Asia were historically frequent before modern times. And there was no naval battle lik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but the reason that the modern East Asian era originated from the war is that it was a war that occurred in the sea or sea area. So,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modern naval warfare and the Opium war such as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is difference is the standard to distinguish the modern and the modern. In order to explore this difference in connection with the modern East Asian era, I would like to examine the Book of World Geography "Haegukdoji" as an analysis o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