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polyphenols isolated from barnyard millet (Echinochloa utilis L.) and their role inhibiting a-glucosidase

        서경혜,나지은,이성준,이지혜,김선림,이진환,서우덕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5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58 No.4

        The extracts and chemical compounds isolated from barnyard millet (Echinochloa utilis) grains were investigated as part of a search for naturally derived antihyperglycemic medicinal plants. Among the five different solvent extracts, the ethyl acetate extract showed the lowest IC50 value against Saccharomyces cerevisiae a-glucosidase (70.2 lg/mL). Chromatography yielded eight phenolic compounds that may have been responsible for this effect. Among them, N-p-coumaroyl serotonin (1, CS), feruloyl serotonin (2, FS), and luteolin (5) potently inhibited aglucosidase with IC50 values of 1.3–17.8 lM compared with those of deoxynojirimycin (DNJ, IC50 = 2.5 ± 0.1 - lM) and acarbose (IC50 = 255.1 ± 15.6 lM). Additionally, for the first time, we found that CS and F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mammalian rat intestinal sucrase (IC50 of 3.0 and 8.2 lM) and reduced glucose content (73 and 52 % at 0.1 mg/wells) in Caco-2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Furthermor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revealed improved glucose tolerance following treatment with the barnyard millet grains extract by retarding the postprandial rise in blood glucose in vivo.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rnyard millet grain can be used as a natural functional medicine to prevent and alleviate type-2 diabetes.

      • KCI등재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전통적 접근의 특징을 고찰하고 그 한계를 논의하였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의 개념을 고찰한 후,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대안적 접근을 고찰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제 사례, 예컨대 National Writing Projects, Critical Friends Groups, Lesson Study, 협동학습연구회 등에서 이루어지는 전문성 개발 활동을 살펴보고,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전문성 개발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셋째, 교사학습공동체를 둘러싼 주요 쟁점을 고찰하고 그 한계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협력과 자율성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 전문성 개발에 시사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first, the concep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examin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raditional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Thir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analyzed. Fourth, the issues and limitation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investigated. In particular, teacher collaboration and autonomy were discussed.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on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discussed.

      • 메밀묵과 도토리묵의 物理的 性質에 관한 硏究

        서경혜,김인화 曉星女子大學家政學會 1975 효대가정학회지 : 효성여대 Vol.5 No.1

        메밀묵과 도토리묵 그리고 이들에 對해 밀가루, 감자가루, 한천, 설탕, 젤라틴을 각각 10%씩 소금 5%, M.S.G. 1%를 첨가 했을 때 粘稠度, 硬度, 破斷力, 圓錐針入 등을 측정 비교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메밀 전분은 도토리 전분보다 호화유도기가 느리고 길며 점도 증가가 완만했으며 호화온도도 낮았으며 감자가루, 한천, 설탕 첨가는 호화를 촉진시켰다. 2. 粘度, 硬度, 破斷力은 메밀묵이 도토리묵보다 높았으며 메밀묵에서는 한천 감자가루 첨가는 粘性을 증가 시켰고 소금과 화학조미료의 소량첨가로 硬度와 破斷力을 현저하게 증가 시킬 수 있었다. 3. 첨가성분이 메밀묵과 도토리묵의 물리성에 미치는 효과는 똑같지 않았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 측정된 粘度, 硬度, 破斷力 상호간에는 일정범위 內에서는 상당한 正의 相關에 있는 듯 했다. "A Study on the Rheological propeties of the traditional Gelatinoneous Food Buck wheat Mook Acorn starch Mook."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tudy the phys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Buck wheat starch mook and Acorn starch mook, when wheat flour, sugar, potato flour, agar, and Salt are added to the starch jelly material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nduction period of paste and the increase of viscosity were more slow in Buck wheat starch than in Acorn starch. 2. When the Visco Sity, Hard ness, and elasticity were more high in Buck wheat starch Mook than in Acorn Starch Mook. 3. The effect of additional component in Buck wheat Starch Mook and Acorn Starch Mook were not same.

      • 종이조형활동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서경혜 한국불교상담학회 2011 불교상담학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미술활동의 하나인 종이조형활동을 통한 노인집단미술치료가 노인들의 심리·정서적인 면에서 과거, 현재, 미래 간에 조화로운 견해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치료자와 대상자, 대상자와 대상자간의 긍정적인 상호 교류를 통해서 자기 통찰을 하도록 돕고, 나아가 자신의 이미지를 시각화하는 특성을 통해 노인들의 삶을 새롭게 재평가하고 재통합하도록 돕고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예비교사 교직인성 분석: 재학기간, 교육실습, 교육봉사 및 진로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서경혜,최진영,김수진,이지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 재학기간, 교육실습, 교육봉사 및 진로 요인에 따른 예비교사의 교직인성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중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기간에 따른 예비교사의 교직인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4학년 예비교사들의 교직인성이 1학년 예비교사들의 교직인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 과목 수강 여부에 따른 예비교사들의 교직인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실습 기간에 따른 교직인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주 초과 교육실습을 받은 예비교사들의 교직인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봉사 수강 여부 및 시간에 따른 예비교사들의 교직인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0시간 초과 교육봉사에 참여했던 예비교사들의 교직인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직을 희망하는 예비교사들이 그 외 진로를 희망하는 예비교사들보다, 그리고 교육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예비교사들이 그 외 진로를 희망하는 예비교사들보다 교직인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교직인성 계발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 규칙성과 함수를 중심으로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Everyday Mathematics, and Investigations in Number, Data, and Space Curriculum

        서경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3 교육과학연구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규칙성과 함수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제 7차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미국의 Everyday Mathematics와 Investigations in Number, Data, and Space Curriculum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은 규칙성과 함수 내용의 범위와 계열에 초점을 두었다. 세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 규칙성과 함수 내용과 다른 수학 내용 영역들 간의 연계성과 규칙성과 함수내용의 계열성이 가장 큰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Everyday Mathematics와 Investigations Curriculum 의 경우, 규칙성과 함수 내용이 수, 연산, 도형, 측정 등 수학의 전 영역을 걸쳐 다루어 졌고, 핵심 내용이 반복적으로 소개되면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심화·확대되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경우, 규칙성과 함수 내용과 다른 영역들 간의 연계성이 부족한 편이었고 내용의 체계적인 계열성 또한 부족한 편이었다. 세 교과서 비교 분석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규칙성과 함수 내용의 범위와 계열성과 관련하여 몇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규칙성과 함수 내용과 다른 내용 영역들 간의 연계성이 요구된다 수와 연산, 도형, 측정 등 여섯 개의 영역에서 다루는 내용이 배타적일 것이 아니라 중요한 수학 내용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규칙성과 함수 내용의 보다 체계적인 계열성이 요구된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는 내용이 한번 가르쳐지고 다음 내용으로 넘어가는 단선형 조직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와 함께 중요한 내용이 반복 심화 확대되는 나선형 조직 방식도 필요하다. 그리하여 학습자가 중요한 내용을 배울 수 있는 충분한 기회와 시간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re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the 7th Korean national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Everyday Mathematics, and Investigations in Number, Data, and Space Curriculum - focusing on the patterns and functions. The results showed a great difference in teaching patterns and function between the Korean and American mathematics textbooks.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showed a lack of sequence and integration in teaching patterns and functions. In contrast, Everyday Mathematics and Investigations Curriculum exhibited a systematic and integrated approach to teaching patterns and functions. Pattern and function concepts and skills were taught from the kindergarten years and extended and deepened throughout the elementary school years. Further, patterns and function concepts and skills were taught in other content domains, for example, number, measurement, geometry, and so on. Thus these textbooks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learn patterns and funct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se three textbooks took different approaches to teaching patterns and functions in elementary schools. Each approach had its own strengths and weakness. Nevertheless, the finding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suggest that the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needed a more sequential and integrated approach to teaching patterns and functions.

      • KCI등재

        초등 수학 교육과정 내용 조직 비교 분석 : 제 7차 교육과정과 Everyday Mathematics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Everyday Mathematics

        서경혜,유솔아,정진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2 교육과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제 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조직을 연속성, 계열성, 통합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내용이 일회적이고 분절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내용 간의 통합성도 부족하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한 개선 안 모색을 위해 외국의 초등 수학 교육과정 내용 체계를 살펴보았다. 그 중 시카고 대학의 수학 연구팀에 의해 개발된 「Everyday Mathematics」는 수학 내용 조직과 관련하여 유용한 시사점을 주었다. 첫째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수학 내용을 배울 수 있는 충분한 활동과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행 초등 수학 교육과정의 경우 내용이 일회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어 그 시점에서 제대로 학습하지 못하면 배울 기회를 잃게 되고 이러한 상황이 누적될 때 학생들은 결국 수학 학습 실패의 경험을 하게 되고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잃게 된다. 둘째는 수학 내용 간에 그리고 내용 영역들 간에 연관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수학 내용을 한 내용 영역에서만 단편적으로 가르칠 것이 아니라 여러 내용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다룸으로써 학생들이 중요한 수학 내용을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고 그리하여 수학 내용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cusing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mathematical content. The results showed a lack of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of mathematical content. Mathematical concepts and skills are usually introduced once with little relation to previously taught concepts and skills. In addition, six content domains tend to be mutually exclusive, showing students little connections among six domains. In order to find out the alternatives, we review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r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In particular, Everyday Mathematics curriculum provided useful suggestions. In Everyday Mathematics,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and skills are introduced in the first grade and extended and deepened throughout the elementary school years. Thus the curriculum provides students with ample time and opportunities to learn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and skills. Further, mathematical content domains are closely related and so a mathematical concept is taught in several content domain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doing so, the curriculum helps students develop an in-depth understanding of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The purpose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is not to argue that the Korean Curriculum should follow the way the mathematical content was selected and organized in the Everyday Mathematics. Instead, we hope that this comparative study promotes further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alternative approaches to curriculum development as well as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mathematical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