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rehensive DNA barcodes for species identification and discovery of cryptic diversity in mayfly larvae from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freshwater ecosystem biomonitoring

        서경인,황정미,배연재,강지현 한국곤충학회 2019 Entomological Research Vol.49 No.1

        DNA barcoding of aquatic macroinvertebrates holds much promise as a tool for taxonomic research and for providing baseline reference for phylogenetic analysis and aquatic ecosystem biomonitoring. We obtained 112 novel sequences of the barcode region of the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representing 11 families, 25 genera, and 43 species of mayfly (Insecta: Ephemeroptera) from South Korea. No species shared barcode sequences and all can be identified with barcodes with a possible exception of some species. Minimum levels of interspecific genetic distances ranged from 6.7 to 32.9% (mean: 23.7%), whereas average levels of intraspecific divergence was 3.7%. The latter value was inflated by the presence of very high divergences within some taxa. In fact, approximately 33.3% (15/45) of the species included two or more haplotype clusters showing greater than 5.0% sequence divergence and some values were as high as 32.9%. Many of the species with high intraspecific divergences are para‐ or polyphyletic and represent the possibility of species complexes. Our study suggests that type or topotype specimens should be sequenced to identify accurate barcoding clusters with morphological species concepts and also to determine the status of currently synonymized species.

      •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의 품종간 구분을 위한 specific 분자마커의 개발

        서경인,공원식,장갑열,유영복,김광호 한국버섯학회 2007 버섯 Vol.11 No.1

        느타리버섯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생산량이 많은 버섯으로 2002년 품종보호제도에 의해 가장 먼저 대상버섯으로 결정되어 현재 14개 품종이 품종보호출원 등록이 되어 있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품종은 품종생산판매신고만으로 판매가 가능하여 현재 80여 품종이 보급되고 있는데 이중 일부는 동일한 품종이 다른 이름으로 판매되어 농가의 느타리재배에 혼선을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느타리버섯 품종 가운데 가장 많이 재배되는 원형, 수한, 춘추2호에 대한 특이 분자마커를 개발하고 품종간 구분을 위하여 RAPD를 이용하였다. 우선 공시된 79개 시판품종을 대상으로 유사한 밴드양상을 보이는 품종을 정리하여 18품종으로 DNA 밴드 팬턴을 검색하여 세 품종에 대한 특이밴드를 찾았다. 3가지 품종에서 타품종에 없는 특이밴드의 단편을 elusion하여 cloning하고 sequencing하여, 그 염기서열 정보를 바탕으로 500~1,000bp 크기의 PCR 산물을 얻을 수 있도록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이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공시품종에서 원형, 춘추2호, 수한 품종에 대한 특이밴드를 보이는 SCAR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마커를 개발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에 사용된 전체 154개 random primer중에서 3개의 표준품종에만 형성되는 특이 밴드를 보인 primer는 춘추2호에서 2개, 원형에서 14개, 수한에서 3개로 나타났다. 젤에서 추출한 특이 band의 사이즈는 700~1300bp정도였으며, 특히 원형느타리에서 특이밴드를 보이는 primer가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특이밴드로부터 유래한 염기서열 정보를 바탕으로 제작된 프라이머는 대개의 경우 세 개 품종에 대한 유일하고도 명확한 단일밴드를 보이지는 않았다. RAPD 결과에서는 random primer 종류 중에서 OPH primer가 원형느타리에서 7개의 특이밴드를 나타내어 그 자체로 밴드 다양성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의 품종간 구분을 위한 specific 분자마커의 개발

        서경인,공원식,장갑열,유영복,김광호 한국버섯학회 2007 한국버섯학회지 Vol.5 No.3·4

        느타리버섯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생산량이 많은 버섯으 로 2002년 품종보호제도에 의해 가장 먼저 대상버섯으로 결정되어 현재 14개 품종이 품종보호출원 등록이 되어 있 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품종은 품종생산판매신고만으 로 판매가 가능하여 현재 80여 품종이 보급되고 있는데 이 중 일부는 동일한 품종이 다른 이름으로 판매되어 농가의 느타리재배에 혼선을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느타리버섯 품종 가운데 가장 많이 재배되는 원형, 수 한, 춘추2호에 대한 특이 분자마커를 개발하고 품종간 구 분을 위하여 RAPD를 이용하였다. 우선 공시된 79개 시판 품종을 대상으로 유사한 밴드양상을 보이는 품종을 정리 하여 18품종으로 DNA 밴드 팬턴을 검색하여 세 품종에 대한 특이밴드를 찾았다. 3가지 품종에서 타품종에 없는 특이밴드의 단편을 elusion하여 cloning하고 sequencing 하여, 그 염기서열 정보를 바탕으로 500~1,000bp 크기의 PCR 산물을 얻을 수 있도록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이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공시품종에서 원형, 춘추2호, 수한 품종에 대한 특이밴드를 보이는 SCAR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마커를 개발하기 위해 실 험을 수행했다. 실험에 사용된 전체 154개 random primer중에서 3개의 표준품종에만 형성되는 특이 밴드를 보인 primer는 춘추2호에서 2개, 원형에서 14개, 수한에 서 3개로 나타났다. 젤에서 추출한 특이 band의 사이즈는 700~1300bp정도였으며, 특히 원형느타리에서 특이밴드 를 보이는 primer가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특이밴드로부 터 유래한 염기서열 정보를 바탕으로 제작된 프라이머는 대개의 경우 세 개 품종에 대한 유일하고도 명확한 단일밴 드를 보이지는 않았다. RAPD 결과에서는 random primer 종류 중에서 OPH primer가 원형느타리에서 7개의 특이밴 드를 나타내어 그 자체로 밴드 다양성이 이용될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28 Polymorphic SSR Loci from Castor Bean (Ricinus communis L.)

        서경인,이명철,이기안,마경호,현도윤,박용진,정종욱,이석영,곽재균,김정곤 한국작물학회 2011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14 No.2

        Castor bean (Ricinus communis) is cultivated for seed oil throughout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but the understanding of its genetic variability is limited. Because applicable microsatellite markers are not sufficient, we isolated and characterized polymorphic simple sequence repeat (SSR) loci acquired from a microsatellite-enriched genomic DNA library of castor bean. Finally, 28 SSR loci revealed polymorphisms in a castor bean collection consisting of 72 accessions. A total of 73 alleles were detected, with an average of 3.18 alleles per locus, and the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ranged from 0.03 to 0.47 (mean = 0.26). Values for observed (HO) and expected (HE) heterozygosity ranged from 0.00 to 0.19 (mean = 0.11) and from 0.04 to 0.54 (mean = 0.31), respectively. To understand 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castor bean collection, a dendr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profiles of the 28 SSR loci. These newly developed SSRs will be useful tools for assessing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in castor bean.

      • KCI등재

        남자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과 스트레스 반응, 주관적 웰빙 및 삶에 대한 동기 및 기대

        서경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과 스트레스 반응, 주관적 웰빙, 삶의 동기 및 기대와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두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학생 448명이었으며, 연령은 15세에서 19세(M=16.54, SD=.73)까지 분포되어 있다. 분석 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잠재적 위험군은 일반 사용자보다 스트레스 반응을 더 많이 보였고, 인터넷 게임 고위험군은 잠재적 위험군보다 스트레스 반응을 더 많이 보였다. 또한 인터넷 게임 잠재적 위험군과 고위험군은 일반 사용자보다 부정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인터넷 게임 고위험군은 잠재적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보다 삶의 동기 수준이 낮았고, 일반 사용자보다 삶에 대한 기대도 적었다. 스트레스 반응과 주관적 웰빙 그리고 삶의 동기 및 기대는 각각 남자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을 21.8%, 4.7%, 6.0% 가량을 설명하고 있었다. 인터넷 게임중독과 스트레스 반응 및 삶의 동기간의 관계를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stress responses, subjective well-being, and life motivation/expectancy. Participants were 448 male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two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its suburb, whose ages ranged from 15 to 19 (M=16.54, SD=.73). Results indicated that potentially addicted group to internet games showed more stress responses than normal users, and highly addicted group showed more stress responses than potentially addicted group. Potentially addicted group and highly addicted group to internet games had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than normal internet users. Highly addicted group to internet games were less motivated to live than potentially addicted group and normal internet users, and showed lower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than normal internet users. Each of stress responses, subjective well-being, and life motivation/expectancy accounted for around 21.8%, 4.7%, and 6.0% variance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It was discussed the relations of internet game addition to stress responses and life motivation with findings of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 KCI등재

        금연 성공의 예측 요인: 입원 금연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서경,유제민 한국건강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인, 신체․생리적 변인, 흡연행동 변인, 및 심리적 변인들로 1년 동안의 금연성공 요인을 탐색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입원(4박 5일)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73명이었는데, 이들의 평균 연령은 44.89(SD=9.61)세 이었으며, 남성이 65명이고 여성이 8명이었다. Fagerstrom의 니코틴 의존도 검사, 아이젱크 성격검사, 다차원적 대처 척도, 및 Jerusalem과 Schwarzer의 자기효능감 척도를 참여자에게 주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의학적 검사의 측정치도 분석에 포함되었다. 43가지 변인들로 의사결정 나무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적극적 대처, 체념, 고집, 정신병적 경향성, 신경증적 경향성, 체중 및 수면장애가 1년 동안의 장기적 금연 성공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적극적 대처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이런 결과는 금연의 장기적 성공에 대한 심리적 변인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with demographic profiles, physical and physiological variables, smok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Participants were 73 smokers (65 males, 8 females) participated in an hospit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whose mean age was 44.89 (SD=9.61).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Eysenck Personality Inventory,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and Jerusalem and Schwarzer's Self-Efficacy Scale. And data from variety of clinical measurements were included for analysis. Data Mining Answer Tree was performed with 43 variables. Results revealed that active coping, renunciation, obstinacy, psychoticism, neuroticism, body weight, and sleep disorder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till 1-year after hospit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Active coping were most determinant variable for long-term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These results suggest roles of psychological variables for long-term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