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세계 이해 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연구

        사영숙,김숙령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세계 이해 교육에 대한 교사 및 원감, 원장의 태도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유아교육기관(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부터 표집된 258명의 교사와 원감, 원장이었다. 측정도구로는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유아 세계 이해 교육에 대한 교사(원감, 원장)의 인식과 태도를 묻는 1~5점 척도의 47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세계 이해 교육에 대한 교사, 원감, 원장의 태도에 있어서 연령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세계 이해 교육의 필요성, 기본생활습관, 감성계발 교육,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교사(원감, 원장)의 연령이 적을수록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경력에 따라 유아 세계 이해 교육의 6가지 하위 영역 중 전통문화 교육을 제외한 5가지 영역, 즉 세계 이해 교육의 필요성, 기본생활습관, 감성계발 교육, 창의성 교육, 반편견 교육에서 경력이 낮을수록 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전통문화 교육에서는 경력이 높을수록 전통문화 교육에 대한 점수가 높았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유아 세계 이해 교육에 대한 교사(원감, 원장)의 태도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세계 이해 교육의 필요성과 감성계발 교육에 있어서 사립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들이 병설 유치원 교사보다 더 높은 점수가 산출되었다. 반면에 전통문화 교육에서는 병설 유치원 교사와 법인 어린이집 교사들이 다른 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여 주었다.

      • KCI등재

        어머니와 교사의 마주이야기 수첩의 기록의 의미

        사영숙,이대균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rd in ‘maju story-notebook’ transcribed for a year between a mother of one-year-old infant and her teacher. The mother’s maju story-notebook shows that her biggest interests are ‘care for health’, ‘character development’, and ‘social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maju story-notebook shows that her biggest interests are ‘care and teaching’, ‘information for character development of infant’, and ‘the building of trust of the social relationship’. Reconstructed meanings based on the analysis of ‘maju story-notebook’ are as following. First, ‘maju story-notebook’ is a record of struggles from nurturing and educating a child. Second, ‘maju story-notebook’ is a biography of an infant. Third, ‘maju story-notebook’ is a sharing and empathizing an experience of inter-subjectivity. ‘Maju Story-notebook’ provides the mother and teacher an opportunity to develop a reflective thinking on their job, nurturing and caring a chil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possibilities that the daily record between a mother and teacher can be reconstructed in an educational sense. I hope and expect that in other field of education and nurture, the stories of mothers and teachers to be reconstructed by continuously exploring researchers. 본 연구는 만1세 영아의 어머니와 담임교사가 1년간 주고받은 마주이야기 수첩에 기록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마주이야기 수첩에 나타난 어머니 기록들은 ’건강을 위한 섭생, 영아기 발달특성, 영아기 사회적 관계‘로 나타났다. 교사의 마주이야기 수첩 에는 “보살핌과 가르침, 영아기 발달 특성 안내, 친밀한 협력관계’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어머니와 교사의 마주이야기 수첩이 가지고 있는 내용을 다음 3가지 의미로 재구성하였다. 첫째, 마주이야기 수첩기록은 양육과 돌봄의 분투기이다. 둘째, 마주이야기 수첩 기록은 영아의 생애사이다. 셋째, 마주이야기 수첩 상호주관성의 공감공유기이다. 마주이야기 수첩 기록은 어머니와 교사에게 자녀를 양육하고 보육하는 자신들의 일에 대하여 반성적 사고를 하는 기회를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와 교사가 자녀를 보육하는 일상의 크고 작은 이야기와 대화의 기록이 교육적 의미로 재구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후 또 다른 보육과 교육의 현장에서 교사와 어머니의 이야기가 연구자의 탐험을 통해 재구성되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 수업전문성을 추구하는 영유아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 탐구

        사영숙,이성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들이 수업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해 원내 학습공동체 활동을 하면서 경험하는 것과 자신에게 학습공동체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는 D시에 위치한 K어린이집에서 3월부터 11월 까지 9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문제는 ‘유아교사가 경험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의미는 무엇인가?’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면담한 전사 자료와 연구자 일지, 연구 참여자의 반성적 글이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읽는 ‘반복 읽기과정’과 유사한 맥락을 분류하는 ‘용어 추출 과정’을 거쳐 소주제로 범주화하는 ‘소주제 선정과정’과 소주제 내용을 반복 읽으며 의미를 찾는 ‘의미 구성 과정’을 가졌다.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삼각검증, 연구 참여자의 확인 과정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용하였다. 유아교사들은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절반의 전문가’, ‘성장하고 성숙하고 발달 가능자’, ‘인식과 실제의 혼용자’, ‘좋은 수업의 삼요소’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에게 학습공동체가 의미하는 바는 ‘동반자 되어가기’, ‘교사다움의 퍼즐’, ‘교사로의 나이테’, ‘1인 삼색 관계 맺기’, ‘능동적 아동관의 형성’, ‘도전을 위한 제안’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의 공유적 리더십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황성원,사영숙,이성희,조정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the management in practice related to the shared leadership education. The terminology "shared leadership" used in this study is "the attitude and the skill that a child is able to share the responsibility and the role with the peers in their classroom activity." To explore a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management in practice related to the shared leadership education, this study established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reality i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management in practice related to the shared leadership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s' careers. Second, What is the reality i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management in practice related to the shared leadership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hird, What is the reality i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the management in practice related to the shared leadership education according to types of facilities (e.g. kindergarten vs day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s of the shared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유아가 학습 경험을 통해 획득해야 하는 리더십은 자신이 소속해 있는 학급에서 구성원들과 문제를 공유할 뿐만 아니라 구성원 스스로가 학급 활동에 참여하는 태도와 성향이다. 이를 ‘공유적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공유적 리더십’은 21세기가 요구하고 추구하는 미래지향적 인간이 지녀야 할 태도이기도 하다. 연구자들은 ‘공유적 리더십’을 유아가 속한 공동체가 지향 하는 목표에 대하여 자신의 책임과 역할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학급 또래들과 활동의 목표를 공유하고 역할과 책임을 나눌 줄 아는 태도와 기술이라고 정의한다. 이런 정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공유적 리더십 교육에 대한 기초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고자 세 가지 연구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른 공유적 리더십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른 공유적 리더십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기관 유형(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따른 공유적 리더십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개발할 공유적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 수행 평가에 대한 인식과 평가 현황

        이성희,사영숙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는 D시 소재 어린이집 교사들의 유아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과 유아 평가실행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자들이 제작한 질문지에 대하여 141명의 어린이집 교사들이 응답하였다.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평가의 방법은 일화기록 양식에 의한 관찰 기록이었다. 5개의 발달영역을 기준으로 주로 담임교사가 실시하였고 평가의 횟수는 교사별로 매우 편차가 컸다. 유아평가관련 정보는 개인적으로 얻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평가 도구지원과 시간 확보를 우선 요구 하였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아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는 항목은 매우 적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포괄적인 수행평가 체제 제시의 필요성과 예비교사 교육에서 수행평가 내용 교육의 강화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th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in daycare centers and analyzed teacher's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41 daycare center teachers in D Cit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used for the collection of data. Frequency, F-test,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in th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were observation and anecdotal record. A person who most highly participate in assessment was a teach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the eff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for the day care center program.

      • KCI등재

        유아의 공유적 리더십 생활기술 프로그램 개발

        황성원,사영숙,이성희,조정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공유적 리더십 생활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유아 지도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아의 리더십 관련 이론 및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유아교육기관 현장 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기초하여 공유적 리더십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공유적 리더십 생활기술 프로그램은 12주간 만5세를 대상으로 총 22회 실시하였으며, 유아 50명을 실헙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별하여 적용하였다. 실험처치 전 집단 간 동질성 검사와 공유적 리더십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제공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리더십 요소인 목표달성능력, 재창조능력, 통솔력, 인간관계능력의 평균점수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가 개발한 유아의 “공유적 리더십 생활기술 프로그램”이 유아의 리더십 증진에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 of the shared leadership life skill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shared leadership program developed was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as well as on an examination of teachers' needs. The program was set up to be executed for a total session of 12 weeksto enhance the five-year-old children's shared leadership. The 'Checklist for shared leadership life skill' was administer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s pre and posttes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 of posttest scores and of pretest scores. In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it improved young children's shared leadership life skil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how that young children can benefit from the 'shard leadership life skill program'.

      • KCI등재

        프랑스 교육의 특성에 따른 교사교육의 변화

        황성원(Hwang Sung-Won),사영숙(Sa Young-Sook) 한국비교교육학회 2006 比較敎育硏究 Vol.16 No.4

          프랑스는 1789년 프랑스 혁명이념에 대중 교육의 필요성을 포함하여 공교육을 일찍부터 시도하였으나 왕정과 공화정을 번복하는 사이에 공교육 제도는 100년이 지난 1882년에 성립되었다. 공교육 체제를 법제화하면서 교원 양성 기관도 설립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었으나 교육정책에 따라 교원양성 체제는 조금씩 변화 및 발전하여왔다.<BR>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프랑스 학교교육의 특성을 바탕으로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교사들이 어떠한 과정으로 양성되어 오고 있으며, 오늘날에 논의되고 있는 교원 양성 체제의 개혁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BR>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교사들이 어떻게 교직을 지원하고, 어떠한 과정으로 양성되고 있으며, 어떠한 자격시험을 통해 선발되는지에 대한 지식과 정보는 우리나라 교원 양성 체제의 향후 개편 방향에 매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France started public education from the early in the history for the ideology of the French Revolution in 1798 included the necessity of public education. However, the system of public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1882, 100 years later, because the imperial regime and the republican governments repeated. As the system of public education became legislated, the institution to cultivate teachers was established and has continued to be in service until these days. The teacher cultivating system has been gradually chang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education policies.<BR>  In this study, it is attempted to investigate through what courses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re cultivated and what renovation is discussed these days for the teacher cultivating system in France education.<B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how teachers, who determines the quality of education, apply for teaching positions, what courses they are cultivated through, and what kinds of qualification exams they are selected by will provide significant information to be referenced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 cultivating system in our country.

      • KCI등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지역사회 세대 간 교류에 대한 유아교육 전문가의 인식

        이성희(Lee, Sung-Hee),사영숙(Sa, Young-Sook)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세대 간 교류에 대한 유아교육전문가의 인식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전문가 포커스 집단 면담을 통하여 이들이 인식하는 세대 간 교류의 필요성과 세대 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방안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D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및 대학에서 재직 중인 유아교육 전문가 10명이며, 자료 수집을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세대 간 교류의 필요성을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 부족, 세대 간 편견 해소와 공감대 형성, 세대 간 교류에 대한 기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둘째, 세대 간 교류의 장애 요인이 되는 사회 문화적인 현상에 대해서는 “교류에 대한 관심 부족, 개인주의 성향, 부모 이기주의, 감각적 자극 추구 문화, 아동학대에 대한 불안감”등을 지적하였다. 셋째, 세대 간 교류의 적절한 방안에 대해서는 “세대교류 범위의 확대, 세대간 교류 방법의 확대” 에 대해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과 논의는 앞으로 지역사회적 관점에서의 세대 간 교류에 대한 인식의 환기와 세대 간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의 범위를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of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and the ways to promote the interactions among generations. In this study,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experts from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show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in terms of the “overall lack of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the resolution of prejudices between generations through sharing empathy, and intergenerational expectations”. Second, “a lack of interest regarding social interactions, individualist tendencies, parental egoism, a culture of pursuit of stimuli, and anxiety about child abuse” were presented as socio-cultural obstacles to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Third, appropriate methods to improve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were presented in terms of the expansion of the scope and methods of general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with opportunities to rethink of the improtance of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from a community perspective and expand the scope of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tergenerational programs.

      • KCI등재

        유치원에서 장애유아 통합교육 사례

        이성희 ( Lee Sung-hee ),사영숙 ( Sa Young-sook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 No.1

        This article draw on the findings from the evaluating the development of a child with disabilities placed in kindergarten program for a year. The child’s development checked with the behavior checklist by the two teachers of the child. A brief history of the child is presented. A comparison presented in development of the child for a year. In comparison with 1st semester and the 2nd semester, the child’s problematic behavior were decreased. In the 1st semester, the child struggled with the lack of fine motor skill and self care skill and also had an unbalanced diet. However in the second semester, fine motor skill and self care skills are improved. The article argues for the expect of inclusion programs in the side of the parents of a disabled child, inclusion classroom teacher and the director of the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