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영숙,이대균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rd in ‘maju story-notebook’ transcribed for a year between a mother of one-year-old infant and her teacher. The mother’s maju story-notebook shows that her biggest interests are ‘care for health’, ‘character development’, and ‘social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maju story-notebook shows that her biggest interests are ‘care and teaching’, ‘information for character development of infant’, and ‘the building of trust of the social relationship’. Reconstructed meanings based on the analysis of ‘maju story-notebook’ are as following. First, ‘maju story-notebook’ is a record of struggles from nurturing and educating a child. Second, ‘maju story-notebook’ is a biography of an infant. Third, ‘maju story-notebook’ is a sharing and empathizing an experience of inter-subjectivity. ‘Maju Story-notebook’ provides the mother and teacher an opportunity to develop a reflective thinking on their job, nurturing and caring a chil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possibilities that the daily record between a mother and teacher can be reconstructed in an educational sense. I hope and expect that in other field of education and nurture, the stories of mothers and teachers to be reconstructed by continuously exploring researchers. 본 연구는 만1세 영아의 어머니와 담임교사가 1년간 주고받은 마주이야기 수첩에 기록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마주이야기 수첩에 나타난 어머니 기록들은 ’건강을 위한 섭생, 영아기 발달특성, 영아기 사회적 관계‘로 나타났다. 교사의 마주이야기 수첩 에는 “보살핌과 가르침, 영아기 발달 특성 안내, 친밀한 협력관계’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어머니와 교사의 마주이야기 수첩이 가지고 있는 내용을 다음 3가지 의미로 재구성하였다. 첫째, 마주이야기 수첩기록은 양육과 돌봄의 분투기이다. 둘째, 마주이야기 수첩 기록은 영아의 생애사이다. 셋째, 마주이야기 수첩 상호주관성의 공감공유기이다. 마주이야기 수첩 기록은 어머니와 교사에게 자녀를 양육하고 보육하는 자신들의 일에 대하여 반성적 사고를 하는 기회를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와 교사가 자녀를 보육하는 일상의 크고 작은 이야기와 대화의 기록이 교육적 의미로 재구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후 또 다른 보육과 교육의 현장에서 교사와 어머니의 이야기가 연구자의 탐험을 통해 재구성되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사영숙,김숙령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세계 이해 교육에 대한 교사 및 원감, 원장의 태도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유아교육기관(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부터 표집된 258명의 교사와 원감, 원장이었다. 측정도구로는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유아 세계 이해 교육에 대한 교사(원감, 원장)의 인식과 태도를 묻는 1~5점 척도의 47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세계 이해 교육에 대한 교사, 원감, 원장의 태도에 있어서 연령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세계 이해 교육의 필요성, 기본생활습관, 감성계발 교육,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교사(원감, 원장)의 연령이 적을수록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경력에 따라 유아 세계 이해 교육의 6가지 하위 영역 중 전통문화 교육을 제외한 5가지 영역, 즉 세계 이해 교육의 필요성, 기본생활습관, 감성계발 교육, 창의성 교육, 반편견 교육에서 경력이 낮을수록 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전통문화 교육에서는 경력이 높을수록 전통문화 교육에 대한 점수가 높았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유아 세계 이해 교육에 대한 교사(원감, 원장)의 태도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세계 이해 교육의 필요성과 감성계발 교육에 있어서 사립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들이 병설 유치원 교사보다 더 높은 점수가 산출되었다. 반면에 전통문화 교육에서는 병설 유치원 교사와 법인 어린이집 교사들이 다른 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여 주었다.
수업전문성을 추구하는 영유아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 탐구
사영숙,이성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들이 수업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해 원내 학습공동체 활동을 하면서 경험하는 것과 자신에게 학습공동체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는 D시에 위치한 K어린이집에서 3월부터 11월 까지 9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문제는 ‘유아교사가 경험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의미는 무엇인가?’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면담한 전사 자료와 연구자 일지, 연구 참여자의 반성적 글이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읽는 ‘반복 읽기과정’과 유사한 맥락을 분류하는 ‘용어 추출 과정’을 거쳐 소주제로 범주화하는 ‘소주제 선정과정’과 소주제 내용을 반복 읽으며 의미를 찾는 ‘의미 구성 과정’을 가졌다.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삼각검증, 연구 참여자의 확인 과정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용하였다. 유아교사들은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절반의 전문가’, ‘성장하고 성숙하고 발달 가능자’, ‘인식과 실제의 혼용자’, ‘좋은 수업의 삼요소’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에게 학습공동체가 의미하는 바는 ‘동반자 되어가기’, ‘교사다움의 퍼즐’, ‘교사로의 나이테’, ‘1인 삼색 관계 맺기’, ‘능동적 아동관의 형성’, ‘도전을 위한 제안’ 등으로 나타났다.
황성원,사영숙,이성희,조정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the management in practice related to the shared leadership education. The terminology "shared leadership" used in this study is "the attitude and the skill that a child is able to share the responsibility and the role with the peers in their classroom activity." To explore a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management in practice related to the shared leadership education, this study established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reality i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management in practice related to the shared leadership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s' careers. Second, What is the reality i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management in practice related to the shared leadership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hird, What is the reality i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the management in practice related to the shared leadership education according to types of facilities (e.g. kindergarten vs day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s of the shared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유아가 학습 경험을 통해 획득해야 하는 리더십은 자신이 소속해 있는 학급에서 구성원들과 문제를 공유할 뿐만 아니라 구성원 스스로가 학급 활동에 참여하는 태도와 성향이다. 이를 ‘공유적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공유적 리더십’은 21세기가 요구하고 추구하는 미래지향적 인간이 지녀야 할 태도이기도 하다. 연구자들은 ‘공유적 리더십’을 유아가 속한 공동체가 지향 하는 목표에 대하여 자신의 책임과 역할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학급 또래들과 활동의 목표를 공유하고 역할과 책임을 나눌 줄 아는 태도와 기술이라고 정의한다. 이런 정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공유적 리더십 교육에 대한 기초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고자 세 가지 연구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른 공유적 리더십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른 공유적 리더십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기관 유형(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따른 공유적 리더십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개발할 공유적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