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파수응답함수 결합법을 이용한 승용차 핸들지지 T 빔의 진동저감 재설계

        변성준,박남규,박윤식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duce the level of idling vibration on a steering wheel. In some cases, vibration on steering wheel is amplified due to the resonance between the first natural frequency of T-beam and engine idling speed. Using SDM(structural dynamic modification) technique, T-beam is redesigned to reduce its vibration. This paper used FRF(frequency response function) synthesis technique which is entirely dependent on experiment. But this method requires lots of test efforts to enhance its reliability of design. While combining this method with an analytic method. the experimental burden, the major drawback of FRP synthesis method, can be considerably relieved. Using ana1ytic sensitivity analysis, some effective modification regions are preliminarily chosen as candidate Positions where SDM can be applied to modify T-beam\`s dynam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위치기반(LBS) 쇠퇴지역 재난재해 위험성 예측 시스템 구축

        변성준,조용한,최상근,조봉래,이건원,민병학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1

        This study uses beacons and smartphon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s to establish a location-based disaster/hazard prediction system. Beacons are usually installed indoors to locate users using triangulation in the room, but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because the system is used outdoors to collect information on registration location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in hazardous areas. In addition, since it is installed outdoors, waterproof, dehumidifying, and dustproof functions in the beacons themselves are required, and in case of heat and humidity, the sensor must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 waterproof function is supplemented with a separate container. Based on these functions, information on declining and vulnerable areas is identified in real time, and temperature/humidity information is collected. We also propose a system that provides weather and fine-dust information for the area concerned. User location data are acquired through beacons and smartphone GPS receivers, and when users transmit from declining or vulnerable areas, they can establish the data to identify dangerous areas. In addition, temperature/humidity data in a microspace can be collected and utilized to build data to cope with climate change. Data can be used to identify specific areas of decline in a microspace, and various analyses can be made through the accumulated data. 본 논문에서는 비콘과 스마트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하여 위치기반 쇠퇴지역 재난재해 위험성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비콘은 주로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의 삼각측위를 이용한 이용자 위치 파악에 사용되었으나 실외에 설치되어 위험지역 등록위치 및 온습도 정보 수집에 활용하여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 또한, 실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비콘 자체의 방수, 방습, 방진 기능이 필요하며 온습도 비콘의 경우 센서가 외부에 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컨테이너로 방수 기능을 보완하였다. 이러한 기능을 바탕으로 쇠퇴·취약 지역을 실시간으로 정보를 파악하고, 온도/습도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해당 지역의 날씨 및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비콘과 스마트폰 GPS 수신기를 통해 사용자 위치 데이터가 습득되며, 사용자가 쇠퇴·취약 지역을 전송할 시 데이터를 구축하여 위험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시공간의 온도/습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해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시공간에서의 쇠퇴지역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축적되는 데이터를 통하여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

      • KCI등재

        강우발생 시 해안지역 대장균 유출에 관한 연구

        변성준,최계운,조형근,Byeon,Seong-Joon,Choi,Gye-Woon,Jo,Hyoung-Geun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5

        해안지역은 해수욕, 어패류의 수집 등의 각종 레크레이션에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간이며, 해수는 해안지역에서 각종 활동 중 섭취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질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해수욕장의 수치 모의(수리, 수문, 수질)를 통하여 우수 및 오수가 지표를 통해 해안으로 유입될 경우의 해안지역에서 수질의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지표에서의 우수 유출 및 오수의 흐름 수치해석은 MOUSE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해안지역의 수치해석은 MIKE 3 모델을 사용하였다. 또한 수질 분석을 위하여 대장균의 증감에 영향을 주는 해당 지역의 기온, 수온, 일조량 등의 각종 인자를 구성하여 MIKE 3의 ECOLAB 모듈을 통하여 생물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해수의 오염이 발생하면, 해수욕이 가능한 기간을 위주로 확인하였을 시, 대장균이 해수에 존재하는 시간은 연간 총 200시간 가량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 시 해수의 오염이 발생하면 강우가 그친 뒤에도 대장균이 완전히 사멸할 때 까지 4~6시간의 정화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첨두 오염 부하량은 비가 그친 직후에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장균의 해수 유입은 5 mm 이상의 강우일 경우에 기준치 이상의 대장균이 발생하고, 해당 지역에 합류식 하수관거가 있을 시에 더욱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astal areas are excellent venues for tourism and recreational activities promoting health and therapeutic benefits for its users. Thus, needless to say,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good water quality in these bathing areas to protect people`s health. Various guidelines regarding beach water quality exist throughout the world. However, proper monitoring systems for efficient collection and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up-to-dat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re yet to be widely implemented. In this study, bathing water quality modeling and analysis is performed through the conjunctive use of several powerful modeling softwares. MOUSE, a physically-based model, was used to represent a one-dimensional pipe network model simulating the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behavior of the urban drainage system of Gentofte, Denmark. MIKE 3 FM was also applied to simulate coastal hydraulics and bacterial advection.dispersion considering biological decay. For the simulated rain events, checking exceedance (where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500 counts per 100 ml) in defined bathing points identified a maximum total duration of 58 hours in Bellevue beach. However, checking for the entire coastal area revealed a maximum exceedance duration of 212.5 hours.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determination of bathing water quality in the area.

      • KCI등재

        Hydraulic Experiments of Urban River Meandering Method and Fish Habitat Revitalization

        변성준,최형진,최계운,김동욱 대한토목학회 2016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0 No.7

        Recently, the number of urban river restoration projects that use artificial spurs to create ecologically sound rivers has steadily increas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pur placement on improv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rivers is investigated for an optimal riverbank spur design based on small-scale experimental result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varying the placement of the spur formations, the spur types, and the dimensionless Froude Numbers. Stone mattress, wickerwork, and combinations of these materials were used as spu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pur placement helped create a gentle meandering river and secured the fish habitat. A combination of stone mattress and wickerwork (wickerwork beneath a stone mattress) resulted in the most effective type of spur for achieving a gentle meandering and sound fish habitat. The average water flow velocities in front of the spurs decreased by roughly 30%, while the average water flow velocities behind the stone mattress decreased by approximately 70%. Consequently, it is concluded that the well-implementation of spurs could induce an ecologically favorable habitat for fish and fish spawning.

      • KCI등재

        하천수위의 단기 예측을 위한 수위 및 강우량 계측정보의 활용

        변성준,이성호,최계운,정재광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2

        최근 태풍 및 집중호우에 의한 하천범람 및 홍수재해가 지구환경 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로 자주 발생하고 있으 며그 대책들 중 가장 최선의 대책은 정확한 홍수위 예측을 통하여 실시간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잠재적 홍수 피해 를 저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유역으로는 섬진강의 제 1지류인 오수천 유역을 선정하였으며, 최적화된 매개변 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홍수통제소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고 있는 수위관측소와 우량관측소의 10분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유역평균 시 강우자료와 예측지점의 시 수위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Case1), 유역평균 10분 강우자료와 예측지점의 10분 수위자료를 이용한 경우(Case2), 우량관측소 각 지점의 시 강우자료와 예측지점의 시 수위자료를 이용한 경우(Case3), 우량관측소 각 지점의 10분 강우자료와 예측지점의 10분 수위자료를 이용하한 경우(Case4)의 4가지 방법으로 다중선형회귀 모형을 구성하여 매개변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검증 사상에 적용하여 매개변수의 적용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모의 결과 10 분 간격의 자료를 사용하고 면적 평균강우를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간편하게 확인 가능한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오수천 유역의 오수 지점에 대한 수위를 예측 할 수 있었으 며, 이를 토대로 홍수 예보시 충분한 선행시간을 확보하여 하천의 홍수범람으로 인한 대상 유역 인근 주민들의 생명과 재산의 보호와 피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