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무장지대 일원의 환경보전에 대한 의식조사 연구

        변병설,홍선기,송인주 국토지리학회 2005 국토지리학회지 Vol.39 No.2

        DMZ and trans-boundary regions have distinct and well-conserved nature ecosystems in Korea because human interference in those areas had been strictly controlled during last 50 years. Therefore, excellent nature landscape and affluent biological diversity including rare fauna and flora are recognized from international academic societies. Economic and academic values as well as ecological value are also highly appreciated in world level. This paper is about the research survey on people?s consciousness on the nature conserv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MZ and trans-boundary area. 174 peoples from government officer, consultant officer, NGO, institution?s researchers, local government offic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were attended to this research survey. Concerning ecological condition of DMZ and its boundary, firstly we divided this population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questions such as ?preserved? or ?deteriorate?, and then analyz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Differential analysis between two groups in accordance with variables composed of equal-distance scale are significant in two items such as ?the degree of consciousness on natural environment of DMZ? and ?the social contribution of general planning in the trans-boundary area?. Differential analysis between two groups in accordance with variables composed of nominal scale are significant in three items such as ?the cause of deterioration of nature environment of DMZ?, ?priority items for designation of Trans-boundary Biosphere Preservation Area?, and ?management strategy of DMZ before- and after-unification of Korea?. According to the job class, except for peoples from NGO, peoples from other job class were included in group for preservation of DMZ and its boundary. 비무장지대 일대는 분단 이후 50여 년간 민간인의 접근이 통제·제한되어 왔기 때문에 그 어느 지역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자연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은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생물다양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주요 희귀 야생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자연생태계의 보고(寶庫)로 인정을 받고 있고, 경제적·학술적 가치에 있어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중앙부처 공무원, 엔지니어링 회사 임·직원, 환경 및 시민단체 임직원, 연구기관 연구원, 지자체 공무원, 교수 등 174명을 대상으로 DMZ 일원에 대한 의식과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DMZ 일원이 보전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집단과 훼손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등간척도로 구성된 변수에 따른 두 집단의 차이분석은 ‘DMZ 일원의 자연환경 인식도’와 ‘접경지역 종합계획의 환경보전 기여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조사되었다. 명목척도로 구성된 변수의 차이분석에서는 ‘DMZ일원의 자연환경훼손 원인’, ‘접경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위한 우선사항’, ‘통일과정 및 통일이후의 DMZ관리 방안’에서 보전집단과 훼손집단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DMZ 일원의 자연환경이 우수하다고 생각할수록, 접경지역종합계획이 환경보전에 기여한다고 할수록, DMZ 일원이 보전되었다고 할 성향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직업에서는 환경 및 시민단체 임직원에 비해 다른 직업들이 보전집단에 속할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기후변화대응계획 지표 개발 연구

        변병설,채정은 국토지리학회 2009 국토지리학회지 Vol.43 No.4

        Environment problem is a global agenda. Global warming is regarded as crisis threatening to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It is desirable for regional governments to take care of those, but there are no assured guidelines for making plans against climate change yet. For that reason, there are similar policies and programs which haven’t received suitability and effectiveness until now.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planning indicators is against climate change. First, strategies for the response of climate change ar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mitigation, growth and adaptation. Then draw the indicators that stands on earlier studies and cases of developed nations. Its priorities are assessed by survey experts. According to the rsult of this research, the core factors are nine including 44 planning indicators. 기후변화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지구온난화는 인류 생존을 위협하는 위기로 인식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우리나라는 Post-2012 체제에서는 의무감축국이 될 가능성이 크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변화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후변화 계획 수립을 위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기 때문에 계획의 적합성과 실효성을 검증받지 않은 유사한 정책과 프로그램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후변화를 대비한 계획의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후변화 대응계획 부문을 크게 완화, 성장, 적응 세 영역으로 나누어 기존연구와 해외 선진 사례들을 바탕으로 지표를 도출하였다. 지표의 중요도 설문을 통한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요인은 자원순환, 행정기반, 에너지 효율화, 녹색교통 체계, 자동차 이용 억제, 환경 부문, 녹색기술 경영, 안전기반, 안전대비 정보 구축의 총 9개이다.

      • 지속가능한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방향 연구

        변병설 한국습지학회 2004 한국습지학회지 Vol.6 No.4

        최근 국토의 난개발이 발생하면서 자연생태계가 훼손되고 있어, 환경부는 기존의 사후관리와 통제 중심의 환경정책에서 사전예방과 자율적 환경관리 정책으로 환경정책기조를 전환하고 있다. 자연환경보전계획은 생태계와 야생동 ․ 식물을 보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 국토전체의 자연환경을 체계적으로 보전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보전계획의 공간화와 국토․ 도시계획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자연환경보전계획의 수립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러한 자연환경보전계획이 국토 ․ 도시계획과 유기적인 연계를 확보하기 위해 어떠한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하는지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자연환경보전계획의 체계를 개편하는 것이 필요하고, 계획을 매체중심에서 공간환경 중심으로 개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도시지역에서는 비오톱지도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오톱의 조사내용, 조사방법, 도면화 방법 및 기준이 필요하다. 이와 아울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합리적인 역할분담방안을 강구하고, 자연환경보전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추진하기 위한 민관협력체제의 구축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Recently the ecosystem has been seriously damaged by reckless developmen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now shifting its policy from one of "end-of-pipe" management and being regulation-centered to one striving to be preparatory and self-regulating. The nature conservation plan has been focused on protecting only the wildlife, so a systematic conservation of the nationwide ecosystem is inherently limited. To go beyond this limit, the strengthening of the link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and the land use development plan is necessary. This study first diagnosed the “AS-IS” status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ning process and then envisioned a “TO-BE” image of the organic link between that plan and the land/metropolitan development plan. In conclus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system of planning should be reformed and the focus of the planning should be shifted from source oriented planning to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A biotope map should be drawn during this process and the examination criteria, methodology, and drawing standards are needed. The central government and self-governing bodies should have reasonable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cooperate for more efficient conservation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