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춤과 천지인(天地人) 합일의 몸짓의미

        백현순 ( Hyun Soon Baek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한국춤에서의 天(하늘)은 무엇이며 또 地(땅)는 무엇인가? 그리고 왜춤에서 천지인합일을 이루고자 하였으며 천지인 합일은 또 무엇을 의미하는가 등을 구명하고자 한 문헌연구이다. 그 결과 첫째, 천은 천제, 상천(上天), 상제 등의 의미로 초월적 절대적 권능을 가진 최고신으로 숭앙하였으며, 땅(地)은 인간 삶의 터전을 말하는데, 이 땅을 하늘의 연장으로 봄으로써 천지, 즉 하늘과 땅은 한 우주를 이루며 이 우주를 관장하는 최고의 신(天帝)이 있음을 믿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순자(荀子)의 천에 대한 개념은 객관적인 자연현상을 의미하였고 ‘회남자’에 의하면 천지는 천지간에 일어나는 모든 자연현상들을 기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렇듯 천지에 대한 개념은 다양한 관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우리 민족의 천지인 합일에 대한 사상은 천지인이란 천지인 삼원이 모두 하나의 근원(一)을 얻어 천도(天道), 지도(地道), 인도(人道)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셋째, 주역에 나타나는 천지인 합일의 삼재는 인간의 우주적 위치를 천지인 삼재지도(三才之道)로 설명하고 있는데, 주역의 핵심사상은 중(中)이며 이 중은 인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음양으로 나누어진 우주의 공간구조 중 그 수직적 입장에서 인간의 본질을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넷째, 한국춤속에 들어있는 ‘천지인 합일의 몸짓’이 가진 본질적 의미는 종교나 신앙의 무속적 의미, 자연의 의미, 무궁무진한 세계의 영원성의 의미, 도의 의미, 신인 융화의 의미를 지녔다고 본다. This literature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was the definition of heaven and earth in Korean dance? and " why was the unity of Heaven, Earth, and Human pursued and what does it mean?" .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heaven was revered as almighty God, indicating creator, the sky and king of kings. Earth was generally said to be the site of human living and was seen as the extension of heaven. It was believed that heaven and earth constitutes the universe and that God administered the universe. On the other hand, Hsun-tzu looked upon heaven as objectively observable phenomena and according to Huainanja, written by Huainanwangliuan, heaven and earth was described as all natural phenomena between heaven and earth. Then, Korean thought about the unity of heaven, earth and human should be illustrated by the fact that the three basics of the universe take one fundamental, attaining the structure of providence of heaven, earth, and human. Third, The heart of Juyeok was moderation, which was defined as ``Human`` and focuses on the interpretation of human essence in terms of vertical position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universe, divided into Yin and Yang. Last but not least, ``Unified gesture of heaven, earth, and human`` in Korean dance had, in essence, implications of shamanism, nature, eternity, self-discipline and harmony between God and human.

      • KCI등재

        한국춤의 미래 전망

        백현순 ( Hyun-soon Baek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앞으로 15년 후인 2030년, 유엔 미래보고서에서 제시한 미래 사회 환경의 변화를 바탕으로 한국춤의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한국춤이 더 이상 춤의 표현이나 기법이 새로워지지 않는 현 시점에, 과학의 발전을 바탕으로 한 과학적 상상력으로 변화시켜 본다면 미래 한국춤은 어떻게 바뀔수 있을까하는 문제와 둘째, 고전에서 신무용, 신무용에서 창작춤으로 흘러온 한국춤의 창작방향은 미래 어떻게 바뀌어 질 것인가 이다. 그 결과 첫째, 과학기술과 예술융합(STEAM)이 강화된 영상매체(기술)를 활용한 춤이 활성화 될 것으로 본다. 즉 컴퓨터를 이용한 인공지능에 의해 소통이 원활한 안무(동작)가 나올 것이며 미래엔 무용이라는 학문 혹은 예술을 하는 방법이 컴퓨터나 혹은 다른 매체를 이용하여 새롭게 바뀔 수 있다고 본다. 둘째, 순수 예술춤 영역으로 전문춤꾼들이 춤을 실재로 춘다면 미래 한국춤은 전통춤이 바탕이 된 전통재구성춤 혹은 전통재안무춤, 신전통춤, 현대 전통창작춤 등으로 전통을 현대화한 감성춤이 추어질 것이다. 셋째, 미래의 한국 창작춤은 탈장르, 융복합 등의 경향으로 해체춤, 아우른춤, 합체춤이 될 것이다. 넷째, 미래의 한국창작춤은 영상 이미지춤이 활성화 되어 직접 무대에 가서 보는 경우와는 별도로 스마트 폰이나 컴퓨터 등을 통해 볼 수 있는 춤들이 많이 제작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s to forecast Korean Dance in 2030, based on the changed future society shown in the U.N. Future Report. The research mostly discusses dual issues; first, in the situation where the dance expression and technique are not to be renewed, what will Korean Dance be like in the future if combined with scientific imagination? Second, what is the creation of Korean Dance going to focus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ance, utilizing the multimedia with STEAM embedded, is going to be popularized. The movement communicated by di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displayed, which indicates that the artistic activity like dance is going to be the new entity that employs the computer and other media. Then, Korean Dance in the future should be the form of modernized emotional dance based on tradition such as traditionally reconstructed dance, new traditional dance and modern traditional creative dance. Third, Korean Creative Dance in the future, characterized by convergence, could be an integrated and deconstructed form. Last, dance which can be seen through a smart phone and the computer will be produced more frequently with the popularity of visual image dance.

      • 종합토론 : Section of Humanities and Socialⅰ: ■ Speech 1: 한국 민속춤의 원류와 가치

        백현순 ( Hyun Soon Baek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3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민속춤의 원류를 찾아 그 춤 속에 들어있는 춤의 가치를 밝혀 보고자 한 것이다. 한국 민속춤의 원류는 고대 제천의식의 제의에서 비롯되었으며 민족의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민족의 문화를 통징하는 상징적 가치, 정신적 가치, 춤의 바탕이 되는 창조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source of Korean folk dance and the value included in the dance. The Korean folk dance dates back to an ancient harvest ritual and the folk dance contains the symbolic, spiritual, and creative value.

      • KCI등재

        비원형 신선을 이용한 고강도-고연성 펄라이트 강선의 제조

        백현무(Hyun Moo Baek),황선광(Sun Kwang Hwang),주호선(Ho Seon Joo),임용택(Yong-Taek Im),손일헌(Il-Heon Son),배철민(Chul Min Bae) 대한기계학회 2014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8 No.7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고연성 펄라이트 강선을 제조하기 위하여 비원형 신선 공정을 적용하였다. 다단 비원형 신선 공정을 A와 B로 정의한 2 종류의 가공경로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12 패스까지 수행하였다. 비원형 신선 공정과의 비교를 위해서 기존의 원형 신선 공정을 수행하고 기계적 특성과 집합조직발달에 대해 비교를 수행하였다. 원형 신선 공정으로 제조된 강선은 10 패스에서부터 박리파괴가 관찰되었지만, 비원형 신선 가공경로 B의 경우는 12 패스에서도 박리파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는 X-선회절로부터 측정된 집합조직 결과에서 원형집합조직의 발달이 적은 것과 연관된다. 따라서, 다단 비원형 신선 공정을 통하여 기존의 신선 공정보다 박리파괴의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킴으로써 높은 비틀림 연성을 갖는 고강도 펄라이트 강선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 noncircular drawing (NCD) sequence for manufacturing high-strength and high-ductility pearlitic steel wires was investigated. Multipass NCD was conducted up to the 12th pass at room temperature with two processing routes (defined as the NCDA and NCDB), and compared with the wire drawing (WD). During the torsion test, delamination fracture in the drawn wire was observed in the 10th pass of the WD whereas it was not observed until the 12th pass of the NCDB. From X-ray diffraction, the circular texture component tha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delamination fracture of the drawn wire was rarely observed in the NCDB. Thus, the improved ability of the multipass NCDB to manufacture high-strength pearlitic steel wires with high torsional ductility compared to the WD (by reducing the likelihood of delamination fracture) was demonstrated.

      • 중년여성의 건강을 위한 한국기본춤 동작연구

        백현순 ( Baek Hyun-soon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3 국제문화예술 Vol.4 No.2

        연구목적: 중년여성은 시기적으로 노화가 오는 시기로 비만 유병률이 증가하고 심리적으로도 우울증을 느끼게 되는 나이이다.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국 춤 기본동작을 연구하여 그 춤 동작을 보급함으로써 중년여성의 건강을 도모하고 대중화시키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론적 배경으로 중년여성의 건강 유지를 위해 필요한 움직임(운동)이 무엇인지 문헌이나 선행연구를 통해 밝히고 그에 적합한 춤 동작을 제시하였다. 춤 동작에 관한 것은 지금까지 연구자가 배우고 익힌 춤 동작을 바탕으로 응용하여 창작한 동작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기본춤 동작은 준비를 위한 움직임 동작부터 시작하여 호흡동작, 다리동작, 팔동작, 몸통동작, 심폐 움직임 동작, 온몸 흔들기 동작으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7가지 동작을 중년여성을 위한 한국춤 기본동작으로 만들어 <그림 1>에서 <그림 7>로 제시하였는데 한국춤 동작을 접하는 중년여성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간단하고 단순한 동작으로 구성하였다. 결론: 중년여성을 위한 생활 한국춤이자 건강운동이 되는 한국기본춤 동작은 비록 쉽고 단순하지만 중년여성의 건강에 필요한 기본 동작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지도하는 선생의 창의적인 능력에 따라 충분히 응용이나 활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Purpose: Middle-aged women are at an age when the prevalence of obesity increases and they feel psychologically depressed. This study aims to promote and popularize the health of middle-aged women by studying basic Korean dance movements targeting middle-aged women and distributing the dance movements. Method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what movements (exercises) are necessary for maintaining the health of middle-aged women is clarified through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suitable dance movements are suggested. Regarding the dance movements, this study consisted of movements created by applying based on the dance movements learned and learned by the researcher so far. Result: Korean basic dance movements started with movements for preparation, and consisted of breathing movements, leg movements, arm movements, trunk movements, cardiopulmonary movements, and whole body shaking movements. The above 7 movements were made into the basic Korean dance movements for middle-aged women and presented as < Figure 1 > to < Figure 7 >. They were composed of simple movements so that middle-aged women learning Korean dance movements for the first time could easily approach them. Conclusion: Korean basic dance movements, which are life Korean dances and health exercises for middle-aged women, suggest basic movements necessary for the health of middle-aged women, although they are easy and sim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fully applied or utilized according to the creative ability of the instructor.

      • KCI등재
      • KCI등재

        서사적 창작춤 작품분석 방법론 연구

        백현순 ( Hyun Soon Baek ),백민경 ( Min Kyung Back )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2

        본 연구는 서사적 창작춤 작품 분석 방법론에 관한 것으로, 이는 서사적 창작춤 작품을 분석할 때의 방법을 제시하여 춤 작품이 관객과의 소통을 쉽게 하고 춤 작품의 바른 이해를 통해 작품의 질적 효과를 거두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에 근거한 문헌연구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서사적 창작춤 작품에는 춤의 길이(시간)와 상관없이 ``서사``(storytelling)가 있어야 한다. 둘째, 서사적 창작춤 작품에 들어 있는 이야기는 오늘의 이야기로 춤 작품의 내용으로 대치될 수 있는 개연성이 있으며, 이야기로 춤 작품을 구성함으로써 관객은 안무자가 무엇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이해하기가 쉽다. 셋째,서사적 창작춤 작품에 있어서 이야기를 해야 하는 이유는 이야기가 있는 춤 작품은 청중을 몰입시키고 춤의 내용전개에 관심을 가지게 만들며 무엇보다 이야기의 재미에 몰입함으로써 춤 공연의 대중성을 획득하기가 쉽다. 넷째, 시드 필드의 패러다임 분석은 이야기의 극적 해결을 위한 치밀한 구조를 만들어 줄 수 있는 분석표로 서사적 창작춤 춤 작품에 적용되었을 경우 춤 작품을 적절한 시간으로 배분하여 지루함 없이 관객이 작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methodology of dance analysis, which helps promote dancers`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enhance qualificative effects of dance performance by facilitating an understanding of dance on the audience`s part. The methodology employed here is document research based upon a qualitative on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creative dance performance should have storytelling without regard to the duration or running time of the performance. Second, the narrative of creative dance is characterized by its plausibility, tapping into contemporary ideas and accordingly, it can be replaced with the contents of the work. In brief, the narrative being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 the audience finds it easy to figure out what the choreographer aims to convey through the dance work. Third, the storytelling of creative dance allows the audience to be immersed in the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y feel more interested in how the work will be deployed and it will thus lead to enhancing the popular appeal of the work. Eventually, the paradigm analysis of Syd Field is an analysis table which creates an elaborate, well-organized structure for a dramatic solution of a story. In case, this particular method is applied to dance performanc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divide the work into an appropriate time frame so that it might help the audience to appreciate the performance without getting bo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