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Probo or Demonstro in Thomas Aquinas’ Five Ways

        Chung-Hyun Baik(백충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82 No.-

        ‘신이 존재하는가’라는 문제에 관하여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는 『신학대전』 제1부 제2문에서 소위 “다섯 가지 길들”을 통하여 신의 존재가 증명될 수 있다고 대답한다. 첫 번째 길은 운동으로부터 시작하여 부동의 제일운동자에게로 나아간다. 두 번째 길은 작용인으로부터 시작하여 제일원인에게로 나아간다. 세 번째 길은 가능성으로부터 시작하여 필연적 존재에로 나아간다. 네 번째 길은 부분적 완전성으로부터 시작하여 완전성에로 나아간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길은 세계의 통치로부터 시작하여 지적인 존재에로 나아간다. 이 다섯 가지 길들의 증명의 본성에 관하여 많은 논의들이 있어 왔다. 이 논문은 토마스가 “신의 존재(Dei esse, the existence of God)”라는 구절 대신에 “신이 존재한다(Deum esse, God exists)”는 구절을 사용하고 있음에 기본적으로 주목하면서, 이것들의 증명이 지닌 특성들을 탐구하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은 토마스가 『신학대전』에서 거룩한 학문과 증명을 논의한 문맥 안에서 다섯 가지 길들을 검토한다. 그 결과로 “신이 존재한다”를 주장하는 증명이 지닌 한계들을 발견하게 된다. 다섯 가지 길들을 통하여 우리는 신의 존재 또는 본질을 알지는 못하고, 다만 “신이 존재한다”는 점을 안다. 다섯 가지 길들은 신이 누구이신지를 완전히 다 보여주지는 않는다. 다만, 신이 존재하는 방식들의 몇몇 측면들만을 보여줄 뿐이다. 이러한 까닭에 토마스는 다섯 가지 길들의 각각의 결론에서 이러한 존재가 신이다(This is God)라고 말하기를 피하고, 그 대신에 이러한 존재를 사람들이 신이라고 일컫는다(This being people call God)라고 느슨하게 표현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한계들에도 불구하고, 다섯 가지 길들이 “신이 존재한다”는 점을 우리가 일반적으로 애매하게 아는 앎으로부터, “신이 존재한다”는 점을 절대적으로 아는 앎으로 좀 더 가까이 이끌어갈 수 있는 가능성이 여전히 있음을 또한 인정할 필요가 있다. ‘신이 존재하는가’라는 문제에 관하여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는 『신학대전』 제1부 제2문에서 소위 “다섯 가지 길들”을 통하여 신의 존재가 증명될 수 있다고 대답한다. 첫 번째 길은 운동으로부터 시작하여 부동의 제일운동자에게로 나아간다. 두 번째 길은 작용인으로부터 시작하여 제일원인에게로 나아간다. 세 번째 길은 가능성으로부터 시작하여 필연적 존재에로 나아간다. 네 번째 길은 부분적 완전성으로부터 시작하여 완전성에로 나아간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길은 세계의 통치로부터 시작하여 지적인 존재에로 나아간다. 이 다섯 가지 길들의 증명의 본성에 관하여 많은 논의들이 있어 왔다. 이 논문은 토마스가 “신의 존재(Dei esse, the existence of God)”라는 구절 대신에 “신이 존재한다(Deum esse, God exists)”는 구절을 사용하고 있음에 기본적으로 주목하면서, 이것들의 증명이 지닌 특성들을 탐구하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은 토마스가 『신학대전』에서 거룩한 학문과 증명을 논의한 문맥 안에서 다섯 가지 길들을 검토한다. 그 결과로 “신이 존재한다”를 주장하는 증명이 지닌 한계들을 발견하게 된다. 다섯 가지 길들을 통하여 우리는 신의 존재 또는 본질을 알지는 못하고, 다만 “신이 존재한다”는 점을 안다. 다섯 가지 길들은 신이 누구이신지를 완전히 다 보여주지는 않는다. 다만, 신이 존재하는 방식들의 몇몇 측면들만을 보여줄 뿐이다. 이러한 까닭에 토마스는 다섯 가지 길들의 각각의 결론에서 이러한 존재가 신이다(This is God)라고 말하기를 피하고, 그 대신에 이러한 존재를 사람들이 신이라고 일컫는다(This being people call God)라고 느슨하게 표현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한계들에도 불구하고, 다섯 가지 길들이 “신이 존재한다”는 점을 우리가 일반적으로 애매하게 아는 앎으로부터, “신이 존재한다”는 점을 절대적으로 아는 앎으로 좀 더 가까이 이끌어갈 수 있는 가능성이 여전히 있음을 또한 인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회심과 변혁

        백충현(Chung Hyun Bai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40 No.-

        회심(conversion)이라는 용어는 라틴어로 콘베르시오(conversio)이며 그리스어로 에피스트로페(ἐπιστροφή)로서 마음을 돌리는 것 또는 마음이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한국에서 회심에 관하여 기존에 발표된 논문들을 모아서 정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기존의 논문들을 연도별로 또는 연구 주제별, 연구 방법별로 분류하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회심에 관하여 어떻게 이해되고 연구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한국에서 진행된 회심 연구에서 1998년 이후로 주된 흐름을 형성하는 기존의 심리학적-상담학적 접근의 특징들을 몇 가지로 정리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서 본 논문은 장 칼뱅(John Calvin), 칼 바르트(Karl Barth), 다니엘 밀리오리(Daniel L. Migliore)를 중심으로 회심에 관한 조직신학적인 접근에서의 논의들을 살펴보면서 그 특징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본 논문은 심리학적-상담학적 접근과 조직신학적 접근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간략하게 정리할 것이다. 각 접근에서 회심이 변화 또는 변혁을 함의하고 있음과 회심의 범위가 삶에서 다차원적이고 전인격적이며 평생 동안 총체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 공통적이다. 반면에 두 접근은 각각의 연구 초점과 분석 방법에서 차이가 난다. 즉 심리학적-상담학적 연구에서는 회심이 지니는 경험적, 심리적, 의식적, 자기초월적 측면들에 초점을 두면서 회심 주체의 의식과 심리의 변화와 과정에 대한 현상적인 분석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반면에 조직신학적 접근에서는 회심의 방향과 목적에 초점을 두면서, 회심의 궁극적인 주체와 근원적인 기초에 대한 신학적인 분석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이러한 비교분석의 고찰을 통하여 회심에 대한 연구에서 심리학적-상담학적 접근과 조직신학적 접근이 함께 사용된다면 회심에 대한 이해를 더욱 다차원적으로 풍성하게 해 줄 것이며, 회심에서 일어나는 변화 또는 변혁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석하게 해 줄 것이라고 제안하고 기대한다. Conversion which is conversio in Latin and evpistrofh in Greek, refers to “turning or changing mind.”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examine previous studies on conversion in Korea according to their chronological order or their research theme and method. In so doing, this paper inquires into how conversion has been understood and studied. Especi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a psychological-pastoral approach, which has been forming a main stream in studying conversion in Korea since 1998, and enumerates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then, this paper examines a systematic theological approach, centering on John Calvin, Karl Barth, and Daniel L. Migliore, and enumerates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These examinations lead to showing som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 psychological-pastoral approach to conversion and a systematic theological approach to conversion. Both are common in affirming that conversion implies change or transformation and that conversion is multidimensional, whole-personal, and lifelong in its scope. On the other hand, bot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research focus and method. The former focuses on experiential, psychological, conscious, self-transcendental aspects of conversion, with a method of phenomenal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change and process of conversion, while the latter focuses on direction and goal of conversion, with a method of theological analysis of the ultimate subject and fundamental basis of conversion. Finally, this paper ends with an expectation that both approaches could contribute to a more multidimensional and multifarious understanding of conversion together and also would facilitate a more effective analysis of change or transformation.

      • KCI등재

        아돌프 폰 하르낙(Adolf von Harnack)의 복음과 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백충현(Chung-Hyun Baik)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100 No.-

        According to Claude Welch, the theme “Christianity and Culture” appeared throughout the 19th century, but more markedly at the end of the century to be blended into Kulturprotestantismus, which attempted to justify Christianity in a modern society. At this time, Adolf von Harnack(1851-1930) worked vigorously, discussing the relation between Gospel and culture by exploring the core of Christian Gospel. Being focused on What Is Chrsitianity?(Das Wesen des Christentums) published in 1900 from his lectures at Berlin University in 1899-1900.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analyze Harnack’s position on the relation between Gospel and culture, and to give a critical review of it. For Harnack, there are both distinction and connection between Gospel and culture. The former is a kernel as an essential content, whereas the latter is a husk as a historial form or mode. And Gospel and culture work together with each other at each period of history. While culture is concerned with the external side, Gospel is concerned with the internal side to seek the inner transformation of humans. And Gospel is related to God the Father, but not directly to Jesus Christ or the Holy Spirit. Though Harnack’s position might have been positive in his times, his reductionistic and essentialistic understanding of Gospel may cause an ignorance or indifference of diverse interactions between Gospel and culture. And it may cause an individualistic and inner escape or complacency, which may also disregard a complex approach to culture. And Harnack’s argument of the Hellenization of Christianity may not be persuasive any longer in terms of several critiques of it today. One of the implications of the critical examination in this paper is that the distinction and interaction between Gospel and culture are important, but that what is more important is how to understand the particular content of Gospel. Only then we may secure the relation between both more fully.

      • KCI등재
      • KCI등재

        종교/신학과 과학과의 풍성한 만남에 기여하는 기포드강좌의 시도들 - 바버, 미즐리, 브룩 & 칸토어를 중심으로-

        백충현 ( Chung-hyun Baik ) 한국대학선교학회 2020 대학과 선교 Vol.45 No.-

        오늘날 ‘종교와 과학’ 또는 ‘신학과 과학’에 관한 논의가 아주 활발하고 풍성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것은 또한 기존의 신학적 논의에도 직간접적으로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의미 있는 변화를 일으킨 데에는 여러 요인들이 있지만, 그 중 중요한 하나의 요인은 바로 기포드강좌(The Gifford Lectures)이다. 이 논문은 기포드강좌에서 종교/신학과 과학과의 풍성한 만남에 기여한 중요한 시도들을 선별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공동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도되는 이 논문은 이안 바버(Ian G. Barbour), 메리 미즐리(Mary Midgley), 그리고 존 헤들리 브룩(John Hedley Brooke)와 제프리 칸토어(Jeffrey Cantor)를 살펴본다. 첫째, 물리학자인 바버는 종교/신학과 과학과의 관계를 네 유형들로 나누어 논의를 하면서 과학에서의 자료들조차도 이론에 준거한 것이며 과학으로 들여다보고 있는 자연조차도 모형 또는 패러다임을 통한 것이라는 점을 드러내었다. 둘째, 철학자인 미즐리는 과학이 객관성에 대해 과도하게 확신하고 있으며 무비판적 허세가 있음을 지적하고 그 한계들을 비판하면서, 심리적 요소들, 즉 종합적인 세계-그림들, 신화들, 드라마들, 판타지 등과 같은 심리적 요소들이 인간의 지적 활동의 상상의 배경을 형성함을 주장한다. 셋째, 과학사 학자들인 브룩과 칸토어는 역사적 연구에서의 여러 접근들을 제시함으로써 종교/신학과 과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다양하게 열어놓았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이러한 연구들을 통하여 자연이 관념화 또는 이상화의 과정을 통해 재구성되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는 아름다음과 고상함에 대한 바램과 탐구를 담당하는 미학까지도 어느 정도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에서 다룬 학자들은 각각의 논의를 통하여 종교/신학과 과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한층 더 풍성하게 하였다. 그래서 이 논문의 작업을 통하여 우리는 종교와 과학 또는 신학과 과학에 관하여 풍성하고 다양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이것은 오늘날 사람들로 하여금 양자의 관계를 새롭게 생각해볼 수 있는 귀한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Today, discussions on ‘religion and science’ or ‘theology and science’ are very active and abundant, and this also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s various theological discussions. There are a number of factors that have led to this significant change, but one of them is the Gifford Lectures. This paper intensively analyzes important attempts that contributed to the abundant encounter between religion/theology and science in the Gifford Lecture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Ian G. Barbour, Mary Midgley, and John Hedley Brooke & Jeffrey Cantor. First, Barbour, dealing with the four typ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theology and science, showed that even data in science are theory-laden, and even nature is seen through models or paradigms. Second, Midgley pointed out that science is overly convinced of objectivity and that there is an uncritical bluff. Thus, while criticizing its limitations, she argu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comprehensive world-pictures, myths, dramas, and fantasy form the imaginary background of human intellectual activity. Third, Brooke & Cantor opened up a variety of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theology and science by presenting several approaches within historical research. They went further to show that nature is reconstructed through the process of idealization, and that, in this course, even aesthetics plays a role to an certain extent. These scholars examined in this paper have enri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theology and science through each own discussion. So, through the work of this paper, we will be able to gain a rich and varied insight into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theology and science. And thus this will also provide people with valuable help in reth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oday.

      • KCI등재

        레오나르도 보프의 "페리코레시스-연합 모델"에 관한 비판적 고찰

        백충현(Chung Hyun Baik) 한국기독교학회 201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79 No.-

        This paper provides a critical review of Leonardo Boff`s model of perichoresis-communion, with which he seeks a transformation in social relations amist economic inequality and political oppression. Placing his model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renaissance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this paper analyses and reappraises his dealings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Trinity and society. In so doing, this paper argues that Boff`s own theological limitations lurking in his discu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Trinity and society finally betray his "social project" or "liberation program." Boff`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is remarkably characterized by his emphasis on perichoresis, which means complete communion among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ccording to Boff, such perichoresis could imply not only Filioque (and from the Son), but also Patreque (and from the Father) and Spirituque (and from the Spirit). This complete communion of perichoresis becomes "the basic thesis" or "the structuring principle" for his discussion. With these Boff has a theological prospect that faith in the Holy Trinity would be able to unleash its liberating potential in society. However, a meticulous review of Boff`s discu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economic Trinity and the immanent Trinity shows that, despite his original intension to accept Rahner`s rule of identity, he unavoidably leads to introducing a gap between them, which, in turn, comes to loosen a close link, correlation, or correspondence between them. Thus, for him, the immanent Trinity is much more than the economic Trinity. And Boff states that the mystery of the Trinity is partially, not fully, manifested to us, and that the economic Trinity provides merely glimpses of the immanent Trinity. Another careful reading of Boff`s discussion on the economic-immanent Trinity relation reveals that his prominent concentration on the unfathomable mystery lurks in his discussion on the Trinity and thus betrays his own theological prospect. In brief, Boff`s strong focus on the mystery of the Trinity makes an impact on his position which opens a wide gap between the immanent and the economic Trinity. And this gap, in turn, finally betrays his "social project" or "liberation program."

      • KCI등재

        로잔운동에서 크리스토퍼 라이트의 ‘하나님의 선교’(the Mission of God)에 관한 연구

        백충현(Chung-Hyun Bai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2 신학사상 Vol.- No.196

        ‘하나님의 선교’(the mission of God) 또는 라틴어 표현인 ‘미시오 데이’(missio Dei) 용어는 오늘날 선교, 교회, 신학 등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에큐메니컬 진영에서만이 아니라 소위 에반젤리컬이라고 하는 복음주의 진영에서도 사용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를 크리스토퍼 라이트(Christopher J. H. Wright, 1947-현재)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논문은 라이트의 ‘하나님의 선교’ 개념을 연구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로잔운동에서의 선교(mission) 개념에 관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선교에 관한 스토트의 입장을 정리 및 분석하고, 또한 스토트와 비교하여 라이트의 입장을 정리 및 분석한다. 로잔운동에서의 선교 개념은 기본적으로 복음 전도와 사회 정의를 모두 필요하다고 여기는 통전적 선교 또는 통합적 선교를 추구하면서도 복음 전도의 우위성, 우선성, 긴급성을 강조한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시대적 상황에 대한 민감성과 적실성을 고려하면서 교회-복음-세상의 순서가 복음-교회-세상의 순서를 거쳐 복음-세상-교회의 순서로 변화해나가고 있다. 라이트는 선교가 하나님의 본성에서 나오는 것과 우리가 세상 속으로 보냄을 받음을 강조하면서 복음의 중심성을 바탕으로 복음 전도와 사회적 행동 사이의 통합적 관계를 주장한다. 그런 다음 성경 전체의 거대 서사에서 하나님의 선교 이야기를 탐색하며, 또한 그 안에 참여하는 우리의 선교를 이야기한다. 이러한 선교적 해석학을 통해서 ‘하나님의 선교’는 세계관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면서 삶의 모든 영역들에서 우리가 누구이며 어떤 목적을 위하여 존재하는지를 밝혀주며, 심지어 자기 비판적이며 체제 전복적인 작업까지 포함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하나님의 선교’ 개념은 세상의 모든 영역들 속으로 보냄을 받은 그리스도인들인 우리가 누구이며, 또한 어떤 목적과 계획에 참여하여 사는지에 관해 많은 함의점들을 제시할 것이며, 또한 교회의 선교와 실천에 귀중한 통찰들을 제공할 것이다. The term ‘the mission of God’ or its Latin expression ‘missio Dei’ is used a lot in mission, church, theology, etc. not only in the ecumenical camp, but also in the so-called evangelical camp, a representative example of which can be found in Christopher J. H. Wright (1947-present). This paper studies Wright’s concept of ‘the mission of God.’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 of mission in the Lausanne movement is examined. Then Stott’s position on mission and Wright’s position on mission are analyzed. The concept of mission in the Lausanne movement basically emphasizes the primacy, priority, and urgency of evangelism, while pursuing a holistic or integral mission that considers both evangelism and social justice necessary. However, as time goes by, the order of the church-gospel-world has been changing from that of the gospel-church-world to that of gospel-world-church, taking into account the sensitivity and relevance of the times. Wright argues for an integrated relationship between evangelism and social action based on the centrality of the gospel, emphasizing that mission comes from God’s nature and that we are sent into the world. Then he explores the story of God’s mission in the grand narrative of the entire Bible, which in turn includes our mission. Through this missional hermeneutics, ‘the mission of God’ shapes and changes our worldview, revealing who we are and for what purpose we exist in all areas of life, thereby even providing self-critical and subversive change.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the mission of God’ could suggest many implications for who we are as Christians sent into all areas of the world and for what purpose and plan we participate in. It could also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the mission and practice of church.

      • KCI등재
      • KCI등재

        윤동주의 기독론 : 그의 시(詩)에서 드러나는 예수 그리스도

        백충현(Chung-Hyun Bai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3

        윤동주(尹東柱, 1917-1945)의 시(詩)에서 드러나는 신학 세계를 총체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연구 작업의 일환으로 시도되는 이 논문은 그의 시(詩)에서 드러나는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집중적으로 다루되, 신학적으로 분석하고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그의 시(詩)에 대한 신학적 접근을 취하며, 특히 기독론적인 접근을 취한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 또는 ‘십자가’를 직접적으로 언급한 시(詩)들을 자료로 삼아 다루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단어들이 직접적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지만, 예수 그리스도 또는 십자가와 연관된 시(詩)들을 함께 다룬다. 1941년 5월 31일에 쓰여진 「십자가」, 1934년 12월 24일에 쓰여진 「초 한 대」, 그리고 1940년 12월에 쓰여진 「팔복」을 중심으로 다룬다. 이 논문에서의 작업을 통하여 볼 때 윤동주의 시(詩)에서 드러나는 예수 그리스도의 핵심적인 모습은 십자가에서의 고난과 죽음의 모습이지만, 그것을 춤으로 승화시킨 행복한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이다. 이런 점에서 윤동주의 기독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에 초점을 두는 형이상학적 기독론에 집중하지 않으며, 또한 신성에서 인성으로 나아가는 ‘위로부터의 기독론’(Christology from above)도 아니다. 오히려 ‘아래로부터의 기독론’(Christology from below)으로서 눈물과 피를 흘리시며 십자가에서의 고난과 죽음을 당하는 예수 그리스도에 집중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의 희생을 통하여 어두운 세계를 밝히시며 향내를 풍기시는 변화와 소망의 예수 그리스도이시며, 고난과 죽음 자체를 춤으로 승화시키며 행복을 느끼는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이러한 기독론은 또한 우리 그리스도인들의 삶과 바로 연결된다. 즉 윤동주의 기독론은 기독교 윤리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This paper is part of a research project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theological world represented in Dong-Ju Yoon’s (1917-1945) poems. It focuses on the image of Jesus Christ in Yoon’s poetry to analyze and reconstruct it theologically. To this end, it takes a theological approach, and especially a Christian approach to his poetry. In addition, it deals with poems that directly mention “Jesus Christ” or “the cross.” Also, although these words are not used directly, it also deals with poems related to Jesus Christ or the cross. Throughout the work of this paper, the core image of Jesus Christ represented in his poems is that of suffering and death on the cross, but also the image of the happy Jesus Christ sublimated through dance. In this aspect, Yoon’s Christology is not primarily metaphysical, which focuses on the divinity and humanity of Jesus Christ. And it is not “Christology from above” that goes from divinity to humanity. Rather, as “Christology from below,” it focuses on Jesus Christ shedding tears and blood in the suffering and death on the cross. Jesus Christ is the one who gives change and hope, illuminating the dark world through his sacrifice and refreshing the world through his scent. Jesus Christ is the one who sublimates suffering and death through dance and feelings of happiness. This Christology is also directly connected to the lives of Christians who are to follow Jesus Christ. In other words, Dong-Ju Yoon’s Christology is very closely related to Christian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