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관측교통량을 이용한 다차종 OD 통행량 추정

        백승걸,임용택,김현명,임강원 대한교통학회 2001 대한교통학회지 Vol.19 No.2

        기존의 링크교통량으로부터 OD추정모형은 기존 OD에 대한 추정의 종속성이 커, 기존 OD나 관측링크교통량의 오차에 따라 추정결과가 일관적이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관측링크교통량의 정확도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차종구분 없이 링크교통량을 이용하여 정보의 손실을 초래하였고 결과적으로 OD 추정력을 저하시켰다. 그렇지만 다차종 링크교통량으로부터 다차종 OD를 구하는 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그 추정결과가 단일차종에 대한 추정결과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연구도 전무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OD 추정모형이 기존 OD에 대해 종속성을 가지며 차종구분 없이 모형을 구성함으로써 추정력의 저하를 초래하였음을 밝히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종속성 문제를 완화하고 차종구분을 통해 OD 추정모형의 추정력을 증진시키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다차종 OD행렬 추정모형(GAMUC)을 구축하고, 이를 기존의 바이레벨 모형의 IEA 알고리즘 및 다차종으로 확장한 모형(IEAMUC)과 게임이론측면에서 검토하였으며, 사례네트워크에 대해 각 기법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OD 추정기법을 축도로에 적용한 임용택 등(2000)과 이를 네트워크로 확장한 백승걸 등(2000)의 연구를 다차종으로 확장한 것이다. 사례분석 결과 기존 OD의 오차변화나 관측링크교통량의 오차변화 등에 있어 GAMUC가 IEA나 IEAMUC보다 추정력이 양호하여, 실제 OD를 알 수 없는 도시부 네트워크에서 GAMUC 모형의 적용력이 우수하였다. 또한 차종을 구분하지 않은 기존 모형은 실제 OD와는 전혀 다른 OD 구조를 도출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단일 차종을 여러 차종으로 구분하여 OD를 추정하는 것이 더 양호한 추정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동홍천양양고속도로 터널 및 교량 차로변경 허용 시범운영 효과분석

        백승걸,이승준,한동희,염춘호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8 No.-

        국내의 터널 및 교량에서는 앞지르기를 금지하고 및 차로변경을 금지하고 있다. 터널과 교량에서의 차로변경 금지는 교통소통뿐만 아니라 교통안전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6월에 개통한 인제양양터널 구간(13.7km)의 시범운영 효과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실선터널구간은 통행속도의 분산이 크게 나타났으며, 평균차두시간은 점선구간이 실선구간보다 길게 나타났다. 또한 실선구간은 속도가 다른 차량군 형성으로 인하여 LOS에 따른 차두시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차로변경율은 일반구간 > 점선구간> 실선구간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한 결과 시범구간의 점선설치에 대한 인지는 운전자 중 57.5%만이 낮게 조사되었으며, 응답자의 약 60%가 차로 변경을 허용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효과분석결과 터널 및 교량에서의 차로변경을 허용하는 것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위해 터널에서 차로변경 허용(점선 운용)을 원칙으로 하되, 공학적 판단에 의해 예외적으로 차로변경을 금지(실선 운용)하는 방향으로 개선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Method for Estimating Population OD Matrix Based on Probe Vehicles

        백승걸,임용택,이성모,최기주 대한토목학회 2010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4 No.2

        Origin-Destination (OD) has always been a concern in obtaining accurate link traffic volume, because it is one of the major inputs to the travel demand forecasting procedure. This paper examines a new approach for estimating static OD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ensors embedded in probe vehicles. More specifically, sample OD based on RFID and route information were used for deriving static OD set. This type of method allows for relative ease in data collection for large scale areas. However, data collected by probe vehicles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raffic on the links, because the number of probe vehicles is limited in practice. Thus, the traffic data collected from probe vehicles are a partial OD matrix, although vehicles can be tracked from origin to destination. In this regard, a sample OD can be expanded to a population OD matrix through sampling ratio. Sampling ratios are then specified to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assigned and observed link flows. The proposed algorithm has performed successfully with an example network and an actual site in Jeju, Korea.

      • KCI우수등재

        OD구조 변화시 링크관측교통량으로부터 OD추정모형의 추정력에 관한 연구

        백승걸,김현명,임용택 대한교통학회 2001 대한교통학회지 Vol.19 No.6

        Previous OD matrix estimation methods from link traffic counts have focused on the formulation of mathematical model and its solution algorithm. Thereby those methods have assumed that true or real OD is similar to the target OD and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properties of the change of OD structure. Although it is general situation that each OD pair increases or decreases due to significant land use and to large time variation between target OD with real OD, those methods have set unrealistic assumptions that target OD increases or decreases uniformly and that the OD structure does not change. Therefore those methods have showed poor performance of OD estimation in general situation. To cope with the problem. this paper suggests a new concept of OD matrix structure and shows the shortcomings of previous method′s dependancy on target OD matrix. We divide "OD trips" into "OD scale" and "OD structure". Where OD scale is a quantitative magnitude of OD trips and "OD structure" is ordinal OD scale. This paper use the same solution algorithm developed by Baek et al. (2000) for analysing the OD structure. Results of numerical example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is better than that of previous methods, while the previous methods have better performance in estimation only when OD trips increase or decrease. In addition to, if OD structure does not change, the results show that the error of estimation is low relatively regardless of the large difference of trips between target OD and real OD. This paper also shows that the model performance on OD structure and on OD trips is low as the number of origins that OD structure is changed increase. From th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change of OD structure can be more important information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arget OD and real OD in OD estimation steps.

      • KCI등재

        차량검지기자료를 이용한 고속도로 설계시간계수 산정 연구

        백승걸,김범진,이정희,손영태 대한교통학회 2007 대한교통학회지 Vol.25 No.6

        Design Hourly Volume (DHV) is the hourly volume used for designing a section of road. DHV is also used to estimate the expected number of vehicles to pass or traverse the relevant section of road in a future target year.The Design Hour Factor (DHF) is defined as the ratio of DHV to Average Annual Daily Traffic (AADT). In addition to high precision of predicted traffic volume, in order to design a roadway to be the proper scale, applying appropriate DHFs considering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and type of area which surrounds the relevant roadway is important. This study categorizes sections of expressway (Suh Hae An Expressway) according to their area type and estimates DHFs utilizing traffic data obtained from a vehicle detection system (VDS). This study shows that DHFs calculated using VDS data are different from those using traffic data acquired from a coverage survey. While AADTs from both data show similar values, peak hour volumes from both data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especially for recreational areas. DHFs from the coverage survey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values provided by the Korean design guide or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DHFs for urban areas are higher than recreational areas. However, DHFs from VDS shows similar values to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using VDS for estimating DHFs is more reliable than using a coverage survey. 설계시간교통량(DHV: Design Hourly Volume)은 도로설계의 기본이 되는 장래시간 교통량으로, 계획목표년도에 대상 도로구간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 시간 교통량을 말한다. 설계시간계수(K)는 “계획목표연도의 연평균 일교통량에 대한 설계시간 교통량의 비율(DHV/AADT)”로 정의되며, 30번째 시간 교통량을 이용할 경우 설계시간계수는 K30으로 나타낸다. 적정규모의 도로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교통량의 예측 및 도로의 지역특성과 교통특성을 반영한 설계시간계수(DHF : Design Hour Factor)를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를 지역적 특성별로 유형분류한 후, 서해안 고속도로 차량검지기자료의 연간 시간대별 교통량자료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설계시간계수를 구하였다. 분석결과 정기교통량조사 자료와 차량검지기자료에서 연평균일교통량은 유사한 반면, 첨두시간교통량은 특히 관광부에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기교통량조사 자료는 실제 시간교통량 특성을 반영하기가 어려워 정기교통량조사 자료를 이용한 평균설계시간계수는 기존 지침이나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결과와 다르게 산출되었으며, 기존 지침과 상반되게 도시부가 지방부와 관광부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차량검지기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설계시간계수는 기존 지침에서 제시되고 있는 설계시간계수와 비교하여 도시부는 유사하게, 지방부는 약간 높게 산출되었다. 따라서 서해안고속도로에 대한 분석결과만을 이용하여 해석할 때 정기교통량 자료를 이용하는 것보다 차량검지기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 설계시간계수가 기존 관련지침에 제시된 값들과 비교적 유사하며,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하여 신뢰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